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06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法學論集(Ewha law journal)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727840 

학술연구논문 : 자기결정권에 대한 법철학적 고찰
= Articles : Jurisprudential Considerations on Self-Determination Rights




 제어번호 : 100727840

 저자명 : 김현철 ( Hyeon Cheol Kim ) 

 학술지명 : 法學論集(Ewha law journal)

 권호사항 : Vol.19 No.4 [2015] 

 발행처 :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자료유형 :  학술저널

 수록면 :  357-372(16쪽)

 언어  : Korean

 발행년도  :  2015년

 등재정보 :  KCI등재

 주제어
자기결정  ,자율성  ,자기결정권  ,자기결정권 보유  ,자기결정권 행사  ,자기결정권 승인  ,권리의 구조  ,Self-determination  ,Autonomy  ,Self-determination rights  ,Possession of self-determination rights  ,Realization of self-determination rights  ,Recognition of self-determination rights  ,Structure of righ 


 소장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중앙도서관



초록


자율성과 그 표현인 자기결정권은 정치철학, 법학, 생명윤리 등에서 이론적으로 중요한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이 자기결정권의 기본적 구조에 대한 쟁점들을 고찰할 필요가 있다. 우선, 자기결정과 자기결정권은 구별되어야 한다. 자기결정은 자기결정권의 대상이고 그 자체는 경험적, 심리적 차원의 것이다. 이에 대해 자기결정권은 규범적 차원의 정당화 기능을 갖게 된다. 그리고 자기결정권에 있어 자기결정이라는 내용에 못지않게, 권리라는 형식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특히 권리에 있어, 주체, 상대방, 내용의 3가지 구조를 통해 자기결정권의 구조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도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R(S(I-D))↔O. 나아가 이렇게 이해된 자기결정권은 3가지 차원을 가진다. 그것은 1) 자기결정권의 주체, 2) 자기결정권의 행사, 3) 자기결정권에 대한 승인이라는 표현으로 이해하는 것이 좋겠다고 제안 하고자 한다. 이를 다르게 표현하면, 첫째, 누가 자기결정권을 보유하는가(possession), 둘째, 어떻게 자기결정권을 행사하는가(realization), 셋째, 타인의 자기결정권을 승인 한다는 것은 무엇인가(recognition)의 세 가지 물음이 된다. 이렇게 자기결정권을 3가지 차원으로 구분하는 것은 실천적으로도 의의를 가진다. 무엇보다 자기결정권을 둘러싼 이론적 혼란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해 줄 것이다. 나아가 자기결정권 보호에 관한 사회적 책무와 개인적 책무에 대한 주의로 논의를 확대시킬 필요가 있다.


http://www.riss.kr/link?id=A10072784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66 1 윤리학 노인복지시설의 신체안전관리 실태 및 대책방안에 관한 연구 / 김두현 2018  235
165 1 윤리학 첨단치료 의료제품(ATMP)에 대한 유럽연합의 규제법 고찰 / 박수헌 2014  232
164 1 윤리학 생명권의 보장과 본질적 내용의 침해 금지/권건보 2013  232
163 1 윤리학 법에 있어서의 인간상에 관한 고찰 / 김종덕 2016  231
162 1 윤리학 유네스코 '생명윤리와 인권보편선언'의 권고사항과 국내 실천을 위한 제언 / 이인영 2006  230
161 1 윤리학 보건의료기본법의 윤리적 평가 / 유호종, 손명세 2002  230
160 1 윤리학 인공지능과 법률 서비스:현황과 과제 / 전정현, 김병필 2019  228
159 1 윤리학 치매상담센터 종사자의 업무 수행도-필요도 분석 / 어수지 2018  223
158 1 윤리학 생명의료의 발전에 따른 민사책임의 발전과 과제 / 김기영 2012  223
157 1 윤리학 Understanding 'Anticipatory Governance' 2014  222
156 1 윤리학 기업범죄에 있어 대향적 관여자의 형사책임 / 홍태석 2016  222
» 1 윤리학 학술연구논문 : 자기결정권에 대한 법철학적 고찰 / 김현철 2015  221
154 1 윤리학 관계적 돌봄의 철학 / 허라금 2018  221
153 1 윤리학 학술연구논문 : 개인정보 보호의무 위반에 따른 배상 가능한 “손해”에 대한 고찰 / 오일석 2015  218
152 1 윤리학 장애인의 존엄한 삶과 헌법 : 장애인운동이 고안해 낸 새로운 권리의 사법적 수용가능성을 중심으로 / 윤수정 2016  217
151 1 윤리학 한국의 개인정보 국외이전 법제 현황과 개정방향 / 이창범 2016  216
150 1 윤리학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초등과학교과 생명윤리 관련 통합단원 개발 / 박세철 2014  214
149 1 윤리학 생명윤리 성찰을 위한 인간 몸의 인간학적 의미 고찰 / 정재우 2015  213
148 1 윤리학 윤리적 선택과 판단의 기로에 선 인간의 윤리 원칙에 대한 성찰 / 유혜숙 2012  209
147 1 윤리학 EU 개인정보보호규칙(GDPR)의 제정과 시사점 / 류승균 2016  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