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06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401474 

제목 현대 사회에서 정의감의 문제


영문명 Sense of Justice in Modern Society: Concerning John Rawls
저자 고현범(Ko Hyun bum)
학술지명 생명연구(Studies on Life and Culture)
권호사항 Vol.34No.-[2014]
발행처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원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3-45
발행년도 2014
KDC 200
주제어 사회철학 윤리학,정의감,롤즈,정의론,분노,죄책감,수치심,투겐타트,sense of justice,Rawls,A Theory of Justice,indignation,guilt shame,Tugendhat




초록 

이 글에서는 현대 사회에서 정의감의 문제를 롤즈의 『정의론』을 중심으로 감정 이론과 도덕 심리학의 관점에서 논의했다. 롤즈는 『정의론』에서 정의감의 발달 과정을 도덕 발달 과정을통해, 특히 죄책감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한다. 롤즈는 자연적 감정으로서 사랑과 정의감을 연결시키는데 이러한 연결을 죄책감에 관한 논의가 뒷받침한다. 데이는 감정 이론의 관점에서 이러한 롤즈의 정의감에 관한 논의를 비판한다. 데이에 따르면 롤즈의 죄책감 논의는 그 정의에 있어서 불확실할뿐더러 자연적 감정과 도덕 감정 간의 구별을 어렵게 한다. 그러나 자연적 감정인 회한과 도덕 감정인 죄책감의 구별에 관한 데이의 논의 또한 분명한 것은 아니다. 한편 자기-평가적 감정으로서 죄책감을 파악하는 테일러에 따르면 롤즈에게서 죄책감은 자기-평가적이라기보다는 지나치게 사회화된 감정으로 이해되고 있다. 감정 이론의 관점에서 제기되는 이러한 비판에 대해 이 글은 낙관론의 입장에서 가능한 반론을 구성해보고자 했다. 이 글이 옹호하고자 하는 롤즈의 낙관론은 다음 두 가지를 그 내용으로 한다. 즉 첫째 자연적 감정인 사랑과 도덕 감정인 정의감이 연관되고 함께 발달한다. 둘째 도덕 규범의 정당화 문제는 한 공동체 구성원들이 상호 인정하고 존중하는 원칙의 문제로 간주된다. 이 글은 이러한 낙관론의 관점에서 투겐타트의 논의가 롤즈 이후에 정의감을 이해하는 유의미한 방식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을 보이고자 했다.



목차 

초록
1. 들어가는 말
2. 롤즈의 정의감 - 도덕 발달 과정의 단계와 그 법칙
3. 정의감과 죄책감 - 존 데이와 테일러의 반론
4. 낙관론의 옹호 - 투겐타트의 도덕 정당화 논의를 통한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06 1 윤리학 인간의 시점에 대한 우리 법의 입장 고찰 / 손명세, 유호종, 이경환 2002  84
205 1 윤리학 수형자의 치료받을 권리에 대한 법적·의료적 현황과 문제점 / 이석배 2015  103
204 1 윤리학 독일에서 의료영역의 리베이트와 형법 / 이석배 2013  188
203 1 윤리학 현행 형집행정지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이석배 2013  4159
202 1 윤리학 생명윤리에 대한 형법적 보호의 범위와 한계 / 이석배 2008  1472
201 1 윤리학 인간 개념의 혼란과 포스트휴머니즘 문제/백종현 2015  297
200 1 윤리학 나고야의정서의 국내 이행 필요사항 분석/박원석 2013  162
199 1 윤리학 몸의 성서신학적 이해/백운철 2016  323
» 1 윤리학 현대 사회에서 정의감의 문제/고현범 2014  322
197 1 윤리학 학술연구논문 : 자기결정권에 대한 법철학적 고찰 / 김현철 2015  221
196 1 윤리학 난민과 탈북자의 윤리적 문제 - 아감벤과 레비나스의 이론을 중심으로 - / 이종원 2016  567
195 1 윤리학 사회 철학적 관점에서 본 순자 성악설 : 사회적 생명·윤리문제 측면에서 / 허영주 2016  1498
194 1 윤리학 인간존엄성 : 인간중심적 사고의 부활인가? / 김종엽 2010  347
193 1 윤리학 연구논문 : 정치인의 이미지가 유권자의 후보자 선택에 미치는 영향 -미국 대통령 예비선거 과정을 중심으로- / 박선영 2016  282
192 1 윤리학 연구논문 : 주민등록번호 변경규정 마련을 위한 입법적 과제 -헌법재판소 2015. 12. 23. 2013헌바68 중심으로- / 김종세 2016  449
191 1 윤리학 일본 개정 행정불복심사법에 관한 고찰 -공정성과 준사법절차를 중심으로- / 박웅광 2016  324
190 1 윤리학 일조권에 관한 법적 검토 / 이재삼 외 2016  519
189 1 윤리학 공정거래법상 행정지도에 따른 부당한 공동행위에 대한 법적 검토 / 유성희 외 2016  293
188 1 윤리학 유비쿼터스 컴퓨팅환경하에서 디지털 포렌식 수사절차에 관한 연구 / 권양섭 2016  251
187 1 윤리학 형사사법정보의 이용,제공 실태 및 입법적 개선방안 / 김기범 2016  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