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06

Understanding 'Anticipatory Governance'

1 윤리학 조회 수 222 추천 수 0 2016.03.24 11:37:38
발행년 : 2014 
구분 : 국외학술지 
학술지명 : Social Studies of Science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O62689774 


[자료 문의 : lib@nibp.kr /  http://riss.kr 에서 직접 원문 복사 신청 가능, 관련링크 참고]



Understanding ' Anticipatory Governance'



제어번호   62689774

저자명   Guston, D.H. 

학술지명   Social studies of science

권호사항   Vol.44 No.2 [2014] 

발행처   SAGE PUBLICATIONS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18-242    [※수록면이 p5 이하이면, Review, Columns, Editor's Note, Abstract 등일 경우가 있습니다.]

ISSN   0306-3127

언어   eng

발행년도   2014년

등재정보   SCI;SSCI;SCIE;AHCI;SCOPUS



http://www.riss.kr/link?id=O62689774




Abstract

Anticipatory governance is ‘a broad-based capacity extended through society that can act on a variety of inputs to manage emerging knowledge-based technologies while such management is still possible’. It motivates activities designed to build capacities in foresight, engagement, and integration – as well as through their production ensemble. These capacities encourage and support the reflection of scientists, engineers, policy makers, and other publics on their roles in new technologies. This article reviews the early history of the National Nanotechnology Initiative in the United States, and it further explicates anticipatory governance through exploring the genealogy of the term and addressing a set of critiques found in the literature. These critiques involve skepticism of three proximities of anticipatory governance: to its object, nanotechnology, which is a relatively indistinct one; to the public, which remains almost utterly naïve toward nanotechnology; and to technoscience itself, which allegedly renders anticipatory governance complicit in its hubris. The article concludes that the changing venues and the amplification within them of the still, small voices of folks previously excluded from offering constructive visions of futures afforded by anticipatory governance may not be complete solutions to our woes in governing technology, but they certainly can contribute to bending the long arc of technoscience more toward humane end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86 1 윤리학 비췀과 췰드리스의 생명의료윤리학 논의에서의 넓은 반성적 평형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목광수 2014  540
85 1 윤리학 생명윤리와 헌법의 상보성 : 뷰챔프와 칠드러스의 넓은 반성적 평형과 헌법적 “인간” 개념 중심으로 / 류재한 2014  289
84 1 윤리학 원불교적 관점에서 본 생명윤리쟁점 고찰 / 김은숙 2014  157
83 1 윤리학 테일러의 생명중심주의 사상의 환경윤리교육적 함의 / 이제용 2014  4641
82 1 윤리학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초등과학교과 생명윤리 관련 통합단원 개발 / 박세철 2014  214
81 1 윤리학 첨단 생명의료과학에 근거한, 시체(屍體)의 민법상 지위 고찰 / 유지홍 2014  181
80 1 윤리학 첨단치료 의료제품(ATMP)에 대한 유럽연합의 규제법 고찰 / 박수헌 2014  232
79 1 윤리학 가톨릭 사회교리에 기초한 국제보건의료윤리 교육에 관한 연구 / 오승민 2014  147
78 1 윤리학 에디트 슈타인의 단일 존재로서의 몸철학과 생명형이상학을 통한 몸의 환원주의적 시각 비판 / 이은영 2014  164
77 1 윤리학 전부개정 된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의 연구대상자 보호 측면에서의 의의와 한계 / 김은애 2014  449
76 1 윤리학 생명윤리 법제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에 관한 연구 / 안영하, 서순택, 우제창, 오정균, 엄애용 2014  489
75 1 윤리학 비교법적 관점에서 본 한국 환경형법의 인과관계와 행위자의 특정 / 조병선 2014  462
» 1 윤리학 Understanding 'Anticipatory Governance' 2014  222
73 1 윤리학 현대 사회에서 정의감의 문제/고현범 2014  322
72 1 윤리학 분배정의론이란 무엇인가? -자유주의 분배정의론의 쉬운 이해와 통괄적 연구를 위한 틀 / 김동일 2014  416
71 1 윤리학 자유주의적 공동체주의의 가능성-마이클 샌델의 정치철학을 중심으로 하여 / 양천수 2014  698
70 1 윤리학 개인정보 유출을 통해 본 잊혀질 권리와 개인정보보호법의 개선방안 / 권혁빈 2014  136
69 1 윤리학 개인정보 보호법의 문제점과 실효성 확보방안에 관한 연구 / 이인곤 2014  322
68 1 윤리학 "잊혀질 권리"에 관한 유럽사법 재판소(ECJ) 판결의 유럽 법제상 의미와 우리 법제에 대한 시사점 / 최경진 2014  107
67 1 윤리학 영상정보처리장치(CCTV)와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연구 / 장성수 2014  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