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06
발행년 : 2014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한동대학교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511984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초등과학교과 생명윤리 관련 통합단원 개발


  • 저자 : 박세철
  • 형태사항 : v, 93 p.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서병선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한동대학교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2014. 2
  • 발행국 : 경상북도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14
  • 주제어 : 기독교, 초등학교, 과학, 생명윤리



초록 ( Abstract )

  • 오늘날 한국의 과학 교육은 진화론을 진리로 여기며 교육의 방향을 이끌어 가고 있다. 아무런 여과 장치 없이 그냥 서구의 교육이 최고라 여기며 알게 모르게 그들의 사상과 세계관이 우리 ...
  • 오늘날 한국의 과학 교육은 진화론을 진리로 여기며 교육의 방향을 이끌어 가고 있다. 아무런 여과 장치 없이 그냥 서구의 교육이 최고라 여기며 알게 모르게 그들의 사상과 세계관이 우리 아이들에게 흘러들어오고 있다. 지금 서구의 과학 교육은 자연주의 세계관에 비롯된 사상으로 태초부터 이 세상의 모든 만물은 아주 작은 세포로부터의 진화였다고 얘기한다. 아주 오랜 시간이 흐르면서 이렇게 진화된 동물과 인간들이 나왔다고 주장한다. 그들의 이론은 사실이 아니라 하나의 가설이고, 하나의 주장에 불과할 뿐이다.
    본 연구는 이런 잘못된 과학 교육의 현실을 바로잡고자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과학교육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는 현재 한국의 공립학교에서 일반교사들이 그리스도인, 비 그리스도인을 구분 없이 학생들에게 하나님이나 성경에 나오는 용어들을 인용하거나 사용하지 않고 가르칠 수 있는 교재 개발연구이다.
    잘못된 세계관 교육으로 인해서 아이들은 공부와 미래에 대한 스트레스로, 성인들은 돈과 권력, 사회에 대한 비관으로 인해서 자살률 1위라는 불명예를 안고 있는 상황이다. 아이들이 생명의 소중함을 어렸을 때부터 잘 배운다면 생명보다 더 소중한 가치가 없다는 것을 알 것이고, 그렇게 되면 다른 사람을 죽이거나 자신의 생명을 내던지는 일들은 줄어들 것이다. 또한 생명은 그냥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위대한 창조주의 손에서 나올 수밖에 없는 대단한 창조물이라는 것을 깨닫게 될 것이다.
    최근에는 첨단과학기술이 고도로 발달되면서 사람들은 과학에 대한 맹신과 기대감을 갖게 되었고, 그 기술로 인해서 인류의 미래를 불투명하게 만들 가능성까지 대두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배아줄기세포연구로 인해 복제 인간이나 복제 장기 같은 논란은 윤리적으로도 끊이지 않고 있다. 물론 이런 복잡하고 어려운 내용들은 아직 ‘세포’라는 개념을 배우지 않은 초등학생들에게 자세하게 가르치는 것은 힘들다. 그래서 본 연구는 생명윤리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부분 중에서 초등학생들이 배우기 적합한 내용으로 선정하고, 쉬운 용어를 선택해서 초등학생 고학년 수준에 맞게 교재를 개발하였다.




    목차 ( Index )

    초록..................................................................................ⅰ

    표 목차..............................................................................ⅳ

    그림 목차..........................................................................ⅴ

    Ⅰ. 서론..............................................................................1

    1. 연구의 필요성................................................................1

    2. 연구의 목적....................................................................3

    3. 연구의 범위 및 제한점...................................................4

    Ⅱ. 이론적 배경..................................................................4

    1. 생명과학기술.................................................................4

    2. 생명윤리........................................................................6

    3. 생명에 대한 기독교 세계관적 조망.............................10

    가. 생명의 기원................................................................10

    나. 생명의 신비................................................................11

    다. 생명의 존중................................................................13

    4. 공립학교에 나타난 생명윤리......................................14

    가. 2009개정 교육과정....................................................14

    나. 교과서에 나타난 생명윤리........................................15

    5. 성경적 관점에서 본 과학교육.....................................17

    6. 선행연구 고찰..............................................................19

    Ⅲ. 연구 내용 및 연구 결과..............................................19

    1. 2013 기독교 과학과 교육과정 총론 개발....................19

    가. 2013 기독교 교육과정의 성격...................................20

    나. 2013 기독교 교육과정의 구성의 방향.......................20

    다. 2013 기독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구성의 중점...........20

    라. 2013 기독교 교육과정에서 과학과의 목표................21

    2. 생명윤리 관련 통합 단원 개발.....................................21

    가. 단원 주제를 위한 기독교 세계관적 탐색...................21

    나. 학습 모형 개발...........................................................26

    다. 단원 지도계획............................................................27

    라. 차시별 지도계획........................................................28

    Ⅳ. 결론 및 제언...............................................................87

    1. 결론..............................................................................87

    2. 제언..............................................................................88

    가. 기대성과.....................................................................88

    나. 제언............................................................................90

    참고문헌..........................................................................9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306 1 윤리학 국가정책과 법이 양심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 / 유혜숙 2017  36
    305 1 윤리학 성공적인 지능정보행정 도입을 위한 정부부문의 역할에 관한 연구 / 전대성 외 2017  37
    304 1 윤리학 과학 기술 시대의 도덕 교육의 위기와 극복 방안 연구 / 정결 2017  42
    303 1 윤리학 The Role of National Ethics Commissions in Finland 2003  44
    302 1 윤리학 의생명과학기술 법정책에서 성주류화의 필요성 - 보조생식술과 임상시험을 중심으로 - / 김은애 외 2017  48
    301 1 윤리학 의료광고 사전심의제도에 대한 윤리적 고찰 / 김준혁 2018  48
    300 1 윤리학 통합 개인정보보호법안의 입법체계 검토 / 황태정 2009  49
    299 1 윤리학 Open Borders and the Ethics of US Alien Vaccination Law 2015  53
    298 1 윤리학 2017년 여성·가족 관련 주요 법률 개정 동향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8  53
    297 1 윤리학 일본형법상 성범죄 관련 규정의 개정내용 검토 -개정경과 과정을 중심으로- / 홍태석 2018  56
    296 1 윤리학 개인정보보호법을 대비한 개인정보보호 시스템에 관한 연구 / 김동례 2011  59
    295 1 윤리학 개인정보 분쟁조정제도의 활성화를 위한 헌법상 연구 / 권수진 외 2017  60
    294 1 윤리학 개인정보 유출에 따른 손배해상청구와 관련하여 / 류승훈 2016  61
    293 1 윤리학 인간존엄에 관한 신학적 논증의 가능성과 한계 / 임종태 2018  62
    292 1 윤리학 2017년도 국내 동물실험윤리위원회 운영실태 분석 / 문지영 외 2018  62
    291 1 윤리학 정신적으로 제약이 있는 자의 자기 결정권 보호를 위한 법제 / 배현아 2013  70
    290 1 윤리학 Toward an Anthropology of Ethics: Foucault and the Pedagogies of Autopoiesis 2001  71
    289 1 윤리학 GDPR 환경에서 국내 개인정보보호 관련 인증제도 및 표준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 / 최보미 외 2018  71
    288 1 윤리학 논문 : 미국 로스쿨의 임상법학교육이론과 방법론 -우리나라 임상법학교육의 전망과 과제- / 전해정 2008  74
    287 1 윤리학 강제입원의 위법과 손해배상책임 / 신권철 2017  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