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06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8 No.2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044053 

정보 교과의 '정보 윤리' 주제의 학습 요소에 관한 연구 = Study on the Learning Elements of Information Ethics Topic of Informatics Subject



초록 ( Abstract )

  • ICT의 발전으로 인해 삶의 형태가 빠르게 변화되고 있는 정보화 사회에서는 새로운 규범의식 즉, 정보 윤리 의식이 필요하다. 정보 윤리 의식은 교육에 의해 극대화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 ...
  • ICT의 발전으로 인해 삶의 형태가 빠르게 변화되고 있는 정보화 사회에서는 새로운 규범의식 즉, 정보 윤리 의식이 필요하다. 정보 윤리 의식은 교육에 의해 극대화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 윤리 교육에 대한 교육 필요성과 함께 급변하는 정보화 사회에서 새로운 기술의 발전과 사회 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교육 과정을 새롭게 구성해야 할 필요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한국정보교육학회에서는 정보 교과의 내용 체계에 대한 개정안에 대하여 연구하였으며, 정보 교육 내용을 ‘소프트웨어’, ‘컴퓨터 시스템’ 및 ‘융합 활동’의 세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융합 활동’ 영역을 ‘정보 윤리’, ‘생산성 도구’ 및 ‘로봇’의 세 주제로 구성하였다. 이에 따라 ‘정보 윤리’ 주제에 대하여 초등학교 1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의 교육 내용을 연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 윤리’에 대한 국내외 교육과정 및 연구 결과와 새롭게 대두되는 정보 윤리 이슈들을 분석하여 학습 요소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이에 대한 성취 기준, 교수 학습 방법 및 평가 방안을 학년군 별로 세분화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정보 윤리’에 대한 학습 요소들은 정보화 사회의 역기능에 슬기롭게 대처하고 미래 사회에 필요한 올바른 인재 양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 Index )

    요약

    ABSTRACT

    1. 서론

    2. 정보 윤리와 정보 윤리 교육

    2.1 정보 윤리의 정의

    2.2 정보 윤리 교육

    2.3 국내의 정보 윤리 교육 내용

    2.4 외국의 정보 윤리 교육 내용

    3. 정보 윤리 교육 내용 체계

    4. 성취 기준

    4.1 1~2학년 단계

    4.2 3~4학년 단계

    4.3 5~6학년 단계

    4.4 중학교 단계

    5. 교수 학습 방법

    5.1 1~2학년 단계

    5.2 3~4학년 단계

    5.3 5~6학년 단계

    5.4 중학교 단계

    6. 평가 방법

    6.1 1~2학년 단계

    6.2 3~4학년 단계

    6.3 5~6학년 단계

    6.4 중학교 단계

    7. ‘정보 윤리’ 학습 요소 평가

    8.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46 1 윤리학 Toward an Anthropology of Ethics: Foucault and the Pedagogies of Autopoiesis 2001  71
    245 1 윤리학 Understanding 'Anticipatory Governance' 2014  222
    244 1 윤리학 Open Borders and the Ethics of US Alien Vaccination Law 2015  53
    243 1 윤리학 The Role of National Ethics Commissions in Finland 2003  44
    242 1 윤리학 신경윤리의 독자성과 주요 쟁점들 / 김효은 외 2018  158
    » 1 윤리학 정보 교과의 '정보 윤리' 주제의 학습 요소에 관한 연구 / 정인기, 김갑수 2014  365
    240 1 윤리학 과 비판적 사고 / 김세화 2005  254
    239 1 윤리학 의료법세션 : 최근 국가 의료정책의 변화에 관한 의료법리학적 평석 / 김향미 2012  317
    238 1 윤리학 생명윤리법학의 의의 / 김현철 2014  405
    237 1 윤리학 줄기세포주 등록과 관련된 생명윤리법 규정의 해석 / 민혜영 2014  679
    236 1 윤리학 가족관계등록법의 문제점 및 그 개선방안 : 신분등록제도의 개편을 중심으로 / 문흥안 2013  485
    235 1 윤리학 의약품 품목허가제도의 자기결정권, 보건권 침해 여부 : 약사법 제31조 제8항 등 위헌확인을 중심으로 / 차승현 2013  344
    234 1 윤리학 줄기세포에 대한 윤리적·법적 논쟁의 변화 / 백수진 2012  434
    233 1 윤리학 ‘의료화’에서 ‘생의료화’로 : 정신장애의 사례 / 김환석 2014  1065
    232 1 윤리학 21세기 생의학과 생명정치 / 과학기술학연구편집부 2014  272
    231 1 윤리학 비췀과 췰드리스의 생명의료윤리학 논의에서의 넓은 반성적 평형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목광수 2014  539
    230 1 윤리학 미국의 생명공학연구 규제입법의 헌법적 함의 / 이상경 2013  599
    229 1 윤리학 형법에 있어서 생명의 보호 / 이재석 2013  266
    228 1 윤리학 생명윤리와 헌법의 상보성 : 뷰챔프와 칠드러스의 넓은 반성적 평형과 헌법적 “인간” 개념 중심으로 / 류재한 2014  289
    227 1 윤리학 생명의료의 발전에 따른 민사책임의 발전과 과제 / 김기영 2012  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