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06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哲學論叢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672807 
포스트휴먼은 인간의 존엄성을 위협하는가? 
= Does Post-human Threaten Human Dignity?


  • 저자[authors] 이재숭(Lee, Jae Soong)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哲學論叢
  • 권호사항[Volume/Issue] Vol.94No.-[2018]
  • 발행처[publisher] 새한철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21-40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인간 향상,트랜스휴먼,포스트휴먼,인간 존엄성,도덕적 지위,human enhancement,transhuman,posthuman,human dignity,moral status


국문 초록[abstracts] 기술은 늘 인간 자신과 인간 삶의 형식에 거대한 전환을 야기했다. 기술에 대한 인간의 태도는 늘 양가적이었다. 어떤 사람들은 기술의 발전에 경이로워하며 환영하는 반면, 또 어떤 사람들은 기술의 발달이 초래할 인간 자신과 삶의 형식의 변화를 경계해온 것이 사실이다. 인간 향상 기술을 바라보는 시선들도 이와 다르지 않다. 특히 현대의 첨단 과학기술과 생명공학, 인지과학, 정보통신기술의 결합에 의한 인간 향상 기술은 소위 ‘트랜스휴먼’과 ‘포스트휴먼’이라 불리는 새로운 인간형의 등장을 예고하고 있다. 기술의 융합으로 인한 인간 향상은 이제 인간의 근본적 본성과 지위에 관한 철학적 · 윤리적 담론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 인간 향상의 의미가 무엇인지에 관해 살피고, 이를 통해 트랜스휴먼, 포스트휴먼에 대한 개념적 명료화를 시도할 것이다. 그리고 향상 기술에 의한 이러한 새로운 인간형의 등장은 현생인류의 존엄성과 도덕적 지위에 위협이 될 수 있다 주장하는 생명보수주의자들의 논증의 타당성을 검토한다. 그런 다음 인간 향상이 인간의 존엄성을 위협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과 향상된 인간의 경계는 점차 약화될 것이며 오히려 이러한 변화는 우리가 직면해 있는 여러 위기적 상황들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주장한다.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Technology has always led to a huge shift in human being and human"s forms of life. Human attitudes toward technology have always been ambivalent. While some people are wondering and welcoming the advancement of technology, others have also warned of changes in the way in which humans themselves and the way of life are brought about by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 eyes that look at human enhancement technology are no different. Especially, human enhancement technology by combination of modern high technology and biotechnology, cognitive science,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predicts the emergence of a new humanoid type called "transhuman" and "posthuman". Human enhancement through technological convergence now raises the need for philosophical and ethical discourse on the fundamental nature and status of human beings.    In this paper, I will examine what the meaning of human enhancement is, and try to clarify the concept of trans human and post human. And I review the validity of the arguments of the bio-conservatists who argue that the emergence of this new type of humanity through the enhancement technology can be a threat to the dignity and moral status of human beings. Then, I argue that human enhancement is not a threat to human dignity, but that the boundaries between humans and enhanced humans will gradually weaken, and that this change can be an alternative to overcoming the many current crisis situations we face.


목차[Table of content] 한글요약  Ⅰ. 들어가는 말  Ⅱ. 인간 향상, 트랜스휴먼, 포스트휴먼  Ⅲ. 향상에 대한 생명보수주의자들의 우려  Ⅳ. 향상과 존엄성의 문제  Ⅴ. 인간 향상은 왜 필요한가?  Ⅵ.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06 1 윤리학 독일의 출생신고 법제에 관한 소고 / 한명진 2019  11781
305 1 윤리학 일본형법상 성범죄 관련 규정의 개정내용 검토 / 홍태석 2018  11132
304 1 윤리학 개인정보, 가명정보, 익명정보에 관한 4개국 법제 비교분석 / 전승재, 권헌영 2018  7708
303 1 윤리학 테일러의 생명중심주의 사상의 환경윤리교육적 함의 / 이제용 2014  4640
302 1 윤리학 현행 형집행정지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이석배 2013  4158
301 1 윤리학 노인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 김충묵 외 2016  2537
300 1 윤리학 칸트 법철학에서 형벌이론과 사형제도 정당화에 대한 연구 / 김세빈 2016  2315
299 1 윤리학 도덕철학에서 왜 다시 덕이 문제인가 : 아리스토텔레스와 매킨타이어의 덕 윤리를 중심으로 / 김지윤 2015  2164
298 1 윤리학 비혼모의 출산 및 양육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최보희 2018  2153
297 1 윤리학 미래 의료용 나노로봇기술이 가져올 수 있는 해악 및 그 방지를 위한 입법적 개선방안 제언 ― 표적치료제 나노로봇을 중심으로 ― / 정천교 2018  2128
296 1 윤리학 헌법상 행복추구권의 의미와 실현구조 / 장영수 2017  2072
295 1 윤리학 칸트의 윤리학에 나타난 인간 존엄성의 근거와 보편 가능성으로서의 도덕법칙의 요청 / 김광연 2016  2015
294 1 윤리학 아동학대 관련 법제의 한계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김경수 2018  1538
293 1 윤리학 사회 철학적 관점에서 본 순자 성악설 : 사회적 생명·윤리문제 측면에서 / 허영주 2016  1498
292 1 윤리학 생명윤리에 대한 형법적 보호의 범위와 한계 / 이석배 2008  1472
291 1 윤리학 한국과 일본 의료법 체계에 관한 연구 / 김계현 2002  1403
290 1 윤리학 베트남 국제사법의 특징과 유의점 / 한종규 2016  1388
289 1 윤리학 아리스토텔레스의 덕 이론 : 『니코마코스 윤리학』에 나타난 교육철학적 의의와 현대적 적용 / 윤대홍 2018  1383
288 1 윤리학 마이클 샌델의 정의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안민영 2016  1320
287 1 윤리학 지식재산권법에 관련된 헌법적 쟁점과 향후 과제 / 이규홍 2019  12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