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06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연세 의료·과학기술과 법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774102 


인공지능은 법의 제국의 왕자가 될 수 있는가 

― 드워킨의 ‘법의 제국’을 중심으로 분석한 인공지능의 판사 대체 가능성 ―

= Can A.I become ‘the Prince’ in Law’s Empire - Analyzing the possibility of A.I replacing juges’ roles in courts through Dworkin’s Law’s Empire -



  • 저자[authors] 서치원 ( Seo Chee Won )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연세 의료·과학기술과 법
  • 권호사항[Volume/Issue] Vol.9No.2[2018]
  • 발행처[publisher]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의료·과학기술과 법센터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26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법의 제국, 로널드 드워킨, 인공지능, 판사, 특이점, Law’s Empire, Ronald Dworkin, Artificial Intelligence, Judge, Singularity

국문 초록[abstracts] 

한계가 뚜렷했던 지난 20세기의 법률 분야의 인공지능과 달리 오늘날 컴퓨터 연산 능력의 획기적인 발전과 기계학습을 바탕으로 한 인공신경망 기술과 딥러닝 등의 기술을 통하여 인공지능이 판사를 대체하는 것은 충분히 실현 가능한 일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인공지능이 판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지그 가능성에 대하여 기술적으로 검토하고, 만약 인공지능이 판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면 그것이 갖는 의미를 로널드 드워킨의 ‘법의 제국’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인공지능이 여러 측면에서 인간 판사에 비해 갖는 장점이 있는 것은 분명하고 향후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인공지능이 판사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는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인공지능은 누적된 선행 판례에 기속될 수밖에 없다는 치명적인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궁극적으로 인공지능이 갖는 가능성과 한계를 고려하여 사법제도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한지에 대하여 논하였다.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Unlike in the twentieth century when there existed clear limits to applying technology in the legal sphere, possibility of modern technology, aided by revolutionary improvements in artificialintelligence and deep-learning abilities, replacing judges’ roles in courts has become more feasible than ever before. Therefore, this research (1) examines the technical validity of moder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replacing judges’ roles in courts and (2) investigates its real-world implications using Ronald Dworkin’s Law’s Empire. After all, although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ssuming judges’ authorities certainly offers various practical benefits, the idea simultaneously entails inherent limitations includ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s complete reliance on precedents and disregarding of contextual interpretations. Consequently, this study also discusses appropriate utilization and application of modern technology in the court syste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7
306 1 윤리학 독일의 출생신고 법제에 관한 소고 / 한명진 2019  11783
305 1 윤리학 일본형법상 성범죄 관련 규정의 개정내용 검토 / 홍태석 2018  11136
304 1 윤리학 개인정보, 가명정보, 익명정보에 관한 4개국 법제 비교분석 / 전승재, 권헌영 2018  7711
303 1 윤리학 테일러의 생명중심주의 사상의 환경윤리교육적 함의 / 이제용 2014  4641
302 1 윤리학 현행 형집행정지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이석배 2013  4160
301 1 윤리학 노인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 김충묵 외 2016  2537
300 1 윤리학 칸트 법철학에서 형벌이론과 사형제도 정당화에 대한 연구 / 김세빈 2016  2329
299 1 윤리학 도덕철학에서 왜 다시 덕이 문제인가 : 아리스토텔레스와 매킨타이어의 덕 윤리를 중심으로 / 김지윤 2015  2171
298 1 윤리학 미래 의료용 나노로봇기술이 가져올 수 있는 해악 및 그 방지를 위한 입법적 개선방안 제언 ― 표적치료제 나노로봇을 중심으로 ― / 정천교 2018  2166
297 1 윤리학 비혼모의 출산 및 양육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최보희 2018  2153
296 1 윤리학 헌법상 행복추구권의 의미와 실현구조 / 장영수 2017  2073
295 1 윤리학 칸트의 윤리학에 나타난 인간 존엄성의 근거와 보편 가능성으로서의 도덕법칙의 요청 / 김광연 2016  2023
294 1 윤리학 아동학대 관련 법제의 한계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김경수 2018  1538
293 1 윤리학 사회 철학적 관점에서 본 순자 성악설 : 사회적 생명·윤리문제 측면에서 / 허영주 2016  1501
292 1 윤리학 생명윤리에 대한 형법적 보호의 범위와 한계 / 이석배 2008  1473
291 1 윤리학 한국과 일본 의료법 체계에 관한 연구 / 김계현 2002  1404
290 1 윤리학 아리스토텔레스의 덕 이론 : 『니코마코스 윤리학』에 나타난 교육철학적 의의와 현대적 적용 / 윤대홍 2018  1391
289 1 윤리학 베트남 국제사법의 특징과 유의점 / 한종규 2016  1388
288 1 윤리학 마이클 샌델의 정의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안민영 2016  1326
287 1 윤리학 지식재산권법에 관련된 헌법적 쟁점과 향후 과제 / 이규홍 2019  12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