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06

흄의 의료윤리와 정직의 덕 / 김다솜

1 윤리학 조회 수 197 추천 수 0 2019.04.11 14:11:48
발행년 : 201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철학탐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6066896 
흄의 의료윤리와 정직의 덕 
= Hume's medical ethics and the virtue of honesty

  • 저자[authors] 김다솜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철학탐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53No.-[2019]
  • 발행처[publisher]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26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9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I try to interpret Hume's ethical theory from viewpoint of virtue ethics to apply to medical ethical issues. Hume's medical ethical point of view can provide action-guiding to doctor, nurse, even a patient in a special medical situation. Hume's virtue of honesty interpreted from viewpoint of virtue ethics eliminates unilateral application of duty-based principle. In Hume's case the morality of action takes into account the interest of the beneficiary which depends on feelings of the actor's approval. not unconditional fulfillment of duty. Therefore to Hume the virtue of honesty is actor's character-traits, and it is not an unchanging principle of conduct, but a characteristic that can be appli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patient's condition.

국문 초록[abstracts]
나는 이 글에서 흄의 윤리이론을 의료윤리적 문제에 적용하기 위해서 그의 윤리이론을 덕윤리적 관점에서 해석한다. 흄의 덕윤리적 관점은 특수한 의료적 상황에서 의사나 간호사, 혹은 가족은 물론 심지어는 환자 자신도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훌륭한 행위지침을 제공할 수 있다. 덕윤리적 관점에서 해석된 흄의 정직의 덕은 환자에게 진실을 말해야 할 의무 혹은 원칙의 일방적인 적용을 배제한다. 흄에게 어떤 행위의 도덕성은 의무나 원칙의 무조건적 이행이 아니라 행위 수혜자의 이익을 고려하는 행위이며, 이는 공감과 유덕한 행위자의 시인의 감정에 의존한다. 그리고 그에 따라 행위하는 행위자가 갖는 성품적 특질들 중의 하나가 정직의 덕이다. 따라서 흄의 윤리이론에서 하나의 덕으로서의 정직은 모든 경우에 준수되고 실행되어야 하는 고정 불변하는 행위 원칙이 아니라 정직이 요구되는 구체적인 여건에서 형성되는 성품특질 또는 인격특질이다. 정직이 갖는 이러한 성격 때문에 흄의 관점에서 질병의 치료와 건강을 목적으로 하는 의사와 간호사에게 제일의 덕목은 자율성의 원칙이 아니라 선행의 원칙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306 1 윤리학 독일의 출생신고 법제에 관한 소고 / 한명진 2019  11781
305 1 윤리학 일본형법상 성범죄 관련 규정의 개정내용 검토 / 홍태석 2018  11126
304 1 윤리학 개인정보, 가명정보, 익명정보에 관한 4개국 법제 비교분석 / 전승재, 권헌영 2018  7708
303 1 윤리학 테일러의 생명중심주의 사상의 환경윤리교육적 함의 / 이제용 2014  4638
302 1 윤리학 현행 형집행정지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이석배 2013  4158
301 1 윤리학 노인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 김충묵 외 2016  2537
300 1 윤리학 칸트 법철학에서 형벌이론과 사형제도 정당화에 대한 연구 / 김세빈 2016  2300
299 1 윤리학 도덕철학에서 왜 다시 덕이 문제인가 : 아리스토텔레스와 매킨타이어의 덕 윤리를 중심으로 / 김지윤 2015  2158
298 1 윤리학 비혼모의 출산 및 양육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최보희 2018  2151
297 1 윤리학 미래 의료용 나노로봇기술이 가져올 수 있는 해악 및 그 방지를 위한 입법적 개선방안 제언 ― 표적치료제 나노로봇을 중심으로 ― / 정천교 2018  2096
296 1 윤리학 헌법상 행복추구권의 의미와 실현구조 / 장영수 2017  2072
295 1 윤리학 칸트의 윤리학에 나타난 인간 존엄성의 근거와 보편 가능성으로서의 도덕법칙의 요청 / 김광연 2016  2006
294 1 윤리학 아동학대 관련 법제의 한계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김경수 2018  1534
293 1 윤리학 사회 철학적 관점에서 본 순자 성악설 : 사회적 생명·윤리문제 측면에서 / 허영주 2016  1494
292 1 윤리학 생명윤리에 대한 형법적 보호의 범위와 한계 / 이석배 2008  1472
291 1 윤리학 한국과 일본 의료법 체계에 관한 연구 / 김계현 2002  1403
290 1 윤리학 베트남 국제사법의 특징과 유의점 / 한종규 2016  1388
289 1 윤리학 아리스토텔레스의 덕 이론 : 『니코마코스 윤리학』에 나타난 교육철학적 의의와 현대적 적용 / 윤대홍 2018  1381
288 1 윤리학 마이클 샌델의 정의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안민영 2016  1317
287 1 윤리학 지식재산권법에 관련된 헌법적 쟁점과 향후 과제 / 이규홍 2019  12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