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06
발행년 : 201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윤리교육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6026434 


칸트의 도덕 감정 인식과 교육

= Kant's Perspectives of ‘Moral Emotion’ and Education


  • 저자[authors] 박장호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윤리교육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0No.51[2019]
  • 발행처[publisher] 한국윤리교육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429-472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9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As Virtue-based education becomes a main current of moral education, approaches based on Kant's rational, autonomous morality  have relatively been weakened. However, even though Kant had been known as a critic against classical virtue theories, Kant sought  to make use of motivational force of virtue or emotion so that practical reason or moral will could work better. In his earlier books Kant argued that act on natural sympathy had not any moral values. But in his later book Moral Metaphysics, Kant suggested his virtue ethics composed of 'virtue duty' and categorized sympathy as 'moral emotion' that should be developed and should be a indirect duty.  This paper aims to focus on why those changes happened and what those changes means to Kant's ethical theory. I propose that those changes were caused by weak points of Kant's theory such as formalistic, intellectualistic, and anti-emotional orientation etc. However, by virtue of those changes Kant's ethical theory has more promising vision to comprehensive moral education that both judgement  and sympathy play a role, than his earlier times.


국문 초록[abstracts] 

덕 기반의 윤리교육이 도덕교육의 주류적 접근으로 부상하면서 도덕법칙과 의무개념을 주축으로 하는 칸트의 윤리이론에 근거한 도덕교육 접근법들은 상대적으로 위축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경향은 고전적인 덕이론이나 칸트의 윤리이론에 대해 이분법적으로 해석하고 적용하려는 시각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본 연구는 칸트의 주요 저서들을 통해서 칸트가 ‘비판기’에 있어서 그리고 기본적으로 이성중심의 도덕관을 유지하면서도 후기로 가면서 점차 소극적이긴 하나 도덕성 형성에 있어서 감정의 역할을 시인하며, 윤리체계에 있어서 감정이 도덕적 행위의 실천과 수행에 있어서 판단력 못지않게 중요한 것으로 부상하고 있음을 추적하고자 한다.  칸트는 고전적인 덕론에 대해 비판적인 자세를 취해왔고, 칸트의 비판시기 저술들에서는 선험적 인식의 결과 도덕원칙을 욕구나 감정, 경험 등과 무관한 형식에서 찾는다. 이에 따라 윤리이론은 이성의 동기적 측면을 부각시키며 욕구나 감정의 동기적 측면을 배제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비판기에 참된 도덕적 가치를 인정하지 않았던 명예나 동정심은 점차 도덕성 함양을 위한 도구적 가치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리고『도덕 형이상학』에서 칸트는 행위의 형식에 목적을 동시에 구비한 ‘덕의무’를 제안하고, ‘덕에의 책무’를 강조한 덕론과 도덕실천을 고양시키는 ‘도덕 감정’ 개념을 정립한다. 명예나 동정심은 계발해야 될 도덕적 소질로서 간접적 의무의 대상이 되며, 도덕적 수행에 있어서 쾌의 긍정적 역할이 강조된다.  본 연구는 칸트의 후기 저서에서 나타난 덕과 도덕 감정을 분석함으로써 칸트가 도덕 감정의 인지적 요소와 동기화 기능을 시인하고 있음을 논증하며, 나아가 실제적으로는 도덕 감정교육이 요구되고 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06 1 윤리학 국가정책과 법이 양심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 / 유혜숙 2017  36
305 1 윤리학 성공적인 지능정보행정 도입을 위한 정부부문의 역할에 관한 연구 / 전대성 외 2017  37
304 1 윤리학 과학 기술 시대의 도덕 교육의 위기와 극복 방안 연구 / 정결 2017  42
303 1 윤리학 The Role of National Ethics Commissions in Finland 2003  44
302 1 윤리학 의생명과학기술 법정책에서 성주류화의 필요성 - 보조생식술과 임상시험을 중심으로 - / 김은애 외 2017  48
301 1 윤리학 의료광고 사전심의제도에 대한 윤리적 고찰 / 김준혁 2018  48
300 1 윤리학 통합 개인정보보호법안의 입법체계 검토 / 황태정 2009  49
299 1 윤리학 Open Borders and the Ethics of US Alien Vaccination Law 2015  53
298 1 윤리학 2017년 여성·가족 관련 주요 법률 개정 동향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8  53
297 1 윤리학 일본형법상 성범죄 관련 규정의 개정내용 검토 -개정경과 과정을 중심으로- / 홍태석 2018  56
296 1 윤리학 개인정보보호법을 대비한 개인정보보호 시스템에 관한 연구 / 김동례 2011  59
295 1 윤리학 개인정보 분쟁조정제도의 활성화를 위한 헌법상 연구 / 권수진 외 2017  60
294 1 윤리학 개인정보 유출에 따른 손배해상청구와 관련하여 / 류승훈 2016  61
293 1 윤리학 인간존엄에 관한 신학적 논증의 가능성과 한계 / 임종태 2018  62
292 1 윤리학 2017년도 국내 동물실험윤리위원회 운영실태 분석 / 문지영 외 2018  62
291 1 윤리학 정신적으로 제약이 있는 자의 자기 결정권 보호를 위한 법제 / 배현아 2013  70
290 1 윤리학 Toward an Anthropology of Ethics: Foucault and the Pedagogies of Autopoiesis 2001  71
289 1 윤리학 GDPR 환경에서 국내 개인정보보호 관련 인증제도 및 표준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 / 최보미 외 2018  71
288 1 윤리학 논문 : 미국 로스쿨의 임상법학교육이론과 방법론 -우리나라 임상법학교육의 전망과 과제- / 전해정 2008  74
287 1 윤리학 강제입원의 위법과 손해배상책임 / 신권철 2017  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