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06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선교와 신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675052 


과학기술에 관한 윤리적 규범 모색을 위한 철학적 사회학적 신학적 관점에서의 융합적 연구

: 엘륄(Jacques Ellul)의 기술 이해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트랜스휴머니즘에 대한 적용을 중심으로


  • 저자[authors] 이창호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선교와 신학

  • 권호사항[Volume/Issue] Vol.45No.-[2018]

  • 발행처[publisher]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331-379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과학기술, 과학과 종교, 과학기술사회학, 트랜스휴머니즘, 자끄 엘륄, 기독교윤리, Scientific technology, science and religion, sociology of scientific technology, transhumanism, Jacques Ellul, Christian ethics


초록[abstracts]

[특이점이나 트랜스휴머니즘으로 대표되는 미래의 인간과 세계 구상에 대해 기독교 신앙은 어떻게 응답할 것인가? 현대 과학기술 문명의 의미를 비평적으로 성찰한 대표적인 기독교 사상가를 꼽으라면, 엘륄(Jacques Ellul)을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엘륄은 현대 과학기술 문명에 관한 비평서들에 이미 ‘기술의 종교화’의 가능성과 그 확장성에 대해 예민하게 파악하며 철학적으로, 사회학적으로, 신학적으로 또 윤리적으로 응답을 시도하였다. 엘륄은 자신의 기술 문명에 대한 비평서인 『기술 체계』에서 엘륄은 현대사회에 과학기술이 종교성을 띠고 있다고 진단하면서, 어떻게 그러한 종교성을 벗겨낼 수 있는지에 대해 진지하게 묻는다. 『기술 체계』를 비롯한 몇 권의 저서를 통해 엘륄은 현대 과학기술에 내재된 몇 가지 주된 본성적 특징들을 자동성(혹은 선택의 자동성), 자기확장성(혹은 자기창조성), 통합성, 보편성, 자율성 등으로 제시한다. 기술은 스스로 창조의 잠재력(혹은 능력)을 가지며 스스로를 변화시키고 확장할 수 있고 또 그렇게 하고 있다. 기술은 인간 사회를 구성하는 여러 요소 가운데 하나의 지위에 머물지 않고, 다른 요소들과 결정적 관계성을 형성하고 또 제 요소들을 통합하는 핵심적 지위를 차지한다. 엘륄은 기술의 이러한 특징들을 일종의 ‘종교성’으로 파악하고 있으며, 현대사회의 과학기술이 갖는 이러한 종교성을 기독교 신앙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있다. 과학기술이 인간의 삶과 문명에 미칠 영향에 관한 미래 전망뿐 아니라 현재 과학기술이 갖고 있는 강력하고 또 광범위한 영향을 고려할 때, 과학기술의 본질에 관한 신학적 윤리적 탐구는 필요한 학문적 실천적 과제가 될 것이다. 이에 필자는 본 연구를 통해 신학적 관점뿐 아니라 철학적 사회학적 관점도 적절하게 고려하는 일종의 융합적 접근을 취함으로써 좀 더 균형 잡힌 규범적 결론에 이르고자 하며 또 그렇게 산출된 규범을 트랜스휴머니즘과 같은 중요한 과학기술 논제에 적용함으로써 규범의 실제적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How should and can Christian faith respond to the future of human beings and their world that is anticipatorily described as one of singularity and transhumanism. Ellul is arguably one of the most critical thinkers who are eager to discuss the meaning of humankind’s technological civilization. Noting the possibility of ‘religionization of technology’ in modern history, he attempts to respond to the possibility and its actualization philosophically, sociologically, theologically and ethically in his critical books on technology. While he maintains that technology retains religious nature in itself in his book Technological System, he simultaneously questions how we can strip away the religious nature from technology. Ellul defines automaticity, self-creativity, integration, universality and autonomy as essential features of contemporary technology in several books including Technological System. Technology has its own creative power and transforms itself with the power. It is not simply one of the various elements that constitute human societies, but plays the crucial role so that it unifies the elements. In short, Ellul sees religious nature in these features and tries to criticize such religionization in terms of Christian faith. Considering powerful and comprehensive influences scientific technology has had and will have on human life and civilization, it becomes a necessary task of ours to do theological and ethical inquiries of the nature of scientific technology. In this study, I attempt to take an integrated approach in a way that honors philosophical and sociological perspectives as well as a theological one. In doing this, I will suggest ethical norms that can illumine our reflection on scientific technology,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the validity of the norms to such practical issues as transhumanism.]


목차[Table of content] 

논문 초록   I. 들어가는 말   II. 엘륄의 과학기술의 본질적 특징에 대한 이해   III. 과학기술사회학적 탐구와 엘륄 기술관에 대한 비평적 성찰   IV. 과학기술에 대한 신학적 윤리적 성찰과 엘륄과의 비평적 대화 모색   V. 트랜스휴머니즘에 대한 윤리적 성찰   VI. 나가는 말   참고 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26 1 윤리학 빅데이터 활용과 인권보호 / 김영진 2017  253
125 1 윤리학 과 비판적 사고 / 김세화 2005  254
124 1 윤리학 회고적 시각에서 본 생명윤리 관련 법규 변천 / 이인영 2013  254
» 1 윤리학 과학기술에 관한 윤리적 규범 모색을 위한 철학적 사회학적 신학적 관점에서의 융합적 연구 / 이창호 2018  255
122 1 윤리학 불교에서 보는 생명의 탄생과 죽음의 문제/ 하유진 2009  258
121 1 윤리학 결혼이주여성 배우자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가족건강성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 이미경 2018  258
120 1 윤리학 형법에 있어서 생명의 보호 / 이재석 2013  265
119 1 윤리학 잊혀질 권리`` 도입의 정보윤리적 의미와 쟁점 / 임상수 2016  267
118 1 윤리학 유럽연합(EU) 개인정보보호법의 특징과 최근 발전 / 문재완 2016  267
117 1 윤리학 21세기 생의학과 생명정치 / 과학기술학연구편집부 2014  272
116 1 윤리학 법률행위의 일부가 강행법규를 위반한 경우의 법률관계 / 강윤희 2017  276
115 1 윤리학 인공지능으로 인한 법률 서비스의 파괴적 혁신과 시사점 / 양종모 2017  280
114 1 윤리학 연구논문 : 정치인의 이미지가 유권자의 후보자 선택에 미치는 영향 -미국 대통령 예비선거 과정을 중심으로- / 박선영 2016  282
113 1 윤리학 연구논문 : 베트남 국제사법의 특징과 유의점 -재산관계의 준거법을 중심으로- / 한종규 2016  283
112 1 윤리학 인공지능로봇을 위한 윤리 가이드라인 연구 - 인공지능로봇윤리의 4원칙을 중심으로 - / 변순용 2018  286
111 1 윤리학 생명윤리와 헌법의 상보성 : 뷰챔프와 칠드러스의 넓은 반성적 평형과 헌법적 “인간” 개념 중심으로 / 류재한 2014  289
110 1 윤리학 생명정치와 디스토피아 문학 / 이정현 2018  289
109 1 윤리학 공정거래법상 행정지도에 따른 부당한 공동행위에 대한 법적 검토 / 유성희 외 2016  293
108 1 윤리학 로봇윤리 vs. 로봇법학: 따로 또 같이 / 김건우 2017  294
107 1 윤리학 인간 개념의 혼란과 포스트휴머니즘 문제/백종현 2015  2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