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06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倫理硏究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456130 


인공지능 발달에 따른 윤리학의 필요성 연구

= A Study on the Necessity of Ethics for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 저자[authors] 이기훈 ( Lee Ki-hoon )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倫理硏究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20No.-[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윤리학회(구 한국국민윤리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293-317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인공지능 행위자, 인공지능, 로봇 윤리, 공리주의, 경험주의, 효과적 이타주의, artificial intelligent agent, artificial intelligence and ethics, roboethics/robot ethics, utilitarianism, empiricism, effective altruism


초록[abstracts] 

[현대 사회에서 인공지능은 더 이상 낯선 단어가 아니다. 광범위한 분야에서, 인공 지능은 사람들을 돕고 있다. 다양한 측면에서 인공지능은 사람들의 삶의 질을 크게 향상시켰다. 반면에 인공지능의 발달에 대한 우려하는 이들도 존재한다. 그들은 우리의 예상을 뛰어넘는 인공지능의 발전 속도가 우리에게 재앙이 될 수 있다고 우려한다. 인공지능의 단계를 구분하는 여러 방식이 존재하지만, 결국 이러한 방식을 통해서 이야기하고 있는 것은 인공지능이 인간을 닮아야한다는 것이다. 이는 인공지능이 인간의 지능뿐만 아니라 마음까지도 모방해야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인공지능이 인간의 마음을 지닌다는 것은 의식, 이해, 의지, 그리고 감정을 총체적으로 지닌다는 것이다. 먼 미래에 이것은 현실이 될 가능성이 있으며, 그럴 가능성이 있다면 우리는 미리 그것을 준비해야할 것이다. 인공지능과 관련하여 어떤 미래가 올지는 확언할 수 없다. 하지만 적어도 예상가능한 것은 인공지능이 우리의 상상을 초월하게 발달할 것이고, 그러한 인공지능을 연구하고 만드는 인간들에게 그 위험성이 내제되어있다는 것이다. 때문에 우리는 어떤 미래가 오더라도 혼란이 없도록 미리 준비해야한다. 미래에는 고도화된 인공지능이 인간의 윤리를 부정할지도 모른다. 그런 미래를 맞이하지 않기 위해서 가장 최선의 방법은 인간의 윤리를 받아들인 인공지능을 설계하는 것이다. 더욱이 이러한 과정에서 경험주의, 특히 공리주의는 탁월한 역량을 발휘하게 될 것이다. 공리주의가 주장해온 평등성과 혁명성은 새로운 세대의 윤리를 제시하는데 매우 적합한 것이기 때문이다.,


In modern society, artificial intelligence is no longer a strange word. In a wide range of fields, artificial intelligence is helping people. In many ways, artificial intelligence has greatly improved people's quality of life. On the other hand, there are those who are concerned about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y fear that the rate of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beyond our expectations could be catastrophic for us. There are many ways to distinguish between stag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but what we are talking about in this way is that it has to resemble humans. This means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must mimic not only human intelligence but also the mind. Artificial intelligence has the human mind, which means that it has a whole set of consciousness, understanding, will and emotion. In the distant future, this is likely to be a reality, and if that is possible, we will have to prepare for it in advance. With regard to artificial intelligence, there is no telling what future will come. But at least what is expected is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will develop beyond our imagination and that risks are inherent in humans who study and build it. Therefore, we must be prepared in advance so that no future will be confused. In the future, advanced artificial intelligence may deny human ethics. The best way to avoid such a future is to design artificial intelligence that accepts human ethics. Moreover, in this process, empiricism, particularly utilitarianism, will have excellent capabilities. The equality and revolution that utilitarianism has been advocating is a very good fit for presenting the ethics of a new generation.]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 1 윤리학 인공지능 발달에 따른 윤리학의 필요성 연구 / 이기훈 2018  891
225 1 윤리학 공개된 개인정보의 보호와 활용에 관한 연구 / 김민주 2018  99
224 1 윤리학 과학기술에 관한 윤리적 규범 모색을 위한 철학적 사회학적 신학적 관점에서의 융합적 연구 / 이창호 2018  255
223 1 윤리학 트랜스휴머니즘의 윤리적 고찰 : 한스 요나스의 책임윤리를 중심으로 / 김명은 2018  1147
222 1 윤리학 취약한 존재를 위한 정의론 / 김은희 2018  127
221 1 윤리학 생명과학Ⅰ에서 윤리적 궁지 해결 수업이 의사결정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지양석 2018  114
220 1 윤리학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구성과 효율성 분석 / 황현덕, 정선양 2018  91
219 1 윤리학 ‘개인의 명예 존중’과 ‘사생활 보호’ 관련 뉴스 보도에 관한 연구 / 최경진 2018  91
218 1 윤리학 개인정보, 가명정보, 익명정보에 관한 4개국 법제 비교분석 / 전승재, 권헌영 2018  7708
217 1 윤리학 인공지능은 법의 제국의 왕자가 될 수 있는가 / 서치원 2018  116
216 1 윤리학 미래의 인간상 / 이을상 2018  142
215 1 윤리학 데이터 소유권 개념을 통한 정보보호 법제의 재구성 / 박상철 2018  247
214 1 윤리학 포스트휴먼은 인간의 존엄성을 위협하는가? / 이재숭 2018  493
213 1 윤리학 [법률상식] 사이버권리 침해 분쟁사례와 대응방법 / 김민주 2017  105
212 1 윤리학 법률행위의 일부가 강행법규를 위반한 경우의 법률관계 / 강윤희 2017  276
211 1 윤리학 동아시아의 사형제도 현실과 미래 / 허일태 2017  575
210 1 윤리학 탄생철학과 아렌트의 시작의 의미 / 공병혜 2017  179
209 1 윤리학 인간 향상의 윤리적 쟁점과 도덕교육적 의미 / 김동창 2017  253
208 1 윤리학 제도적 위험과 규범적 자율성 / 신동일 2017  79
207 1 윤리학 과학 기술 시대의 도덕 교육의 위기와 극복 방안 연구 / 정결 2017  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