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06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245922 
포스트휴먼 주체로서 사이보그의 정체성 찾기 - 루퍼트 샌더스의 <고스트 인 더 쉘>(2017) 중심으로

  • 저자[authors] 이재은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6No.2[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영상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89-104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고스트 인 더 쉘> 2017, 정체성, 사이버네틱스 신체, 기억, 포스트휴먼 주체, Ghost in the Shell 2017, identity, cybernetic body, memory, posthuman subject

초록[abstracts] 
[본 연구는 2017년에 개봉한 루퍼트 샌더스 감독의 영화 <고스트 인 더 쉘>을 토대로 포스트휴먼 주체의 정체성에 대해서 고찰하고자 한다. 이 영화의 원형은 동일한 제목의 시로 마사무네의 만화(1989)와 오시이 마모루의 애니메이션(1995)이다. 오시이 마모루의 애니메이션은 첨단과학기술의 결정체로서 사이보그의 탄생과 진화에 집중하고 있다면, 루퍼트 샌더스의 영화는 포스트휴먼 주체로서의 사이보그 정체성 확립 과정을 강조하고 있다. 다시 말하자면, 그는 로봇 골격과 인간 고스트가 결합한 킬리언 소령이 어떻게 정체성을 형성해나가는지에 대해 초점을 두었다. 따라서 이 영화는 우리에게 감각이 사라진 사이버네틱스 신체와 사라진 기억이 제기하는 정체성의 위기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사유할 기회를 제공해 준다. 본 연구자의 화두는 감각이 없는 사이버네틱스 신체가 인간과 기계의 경계선상의 존재의 정체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인간의 정신이 사이버네틱스 신체와 결합하는 방법이다. 이를 살펴봄으로써 본 논문은 루퍼트 샌더스의 사이보그는 첨단과학기술 사회가 생산과 통제할 수 있는 살아있는 인형이 아니라 미래의 새로운 존재, 포스트휴먼의 주체임을 밝히고자 한다.

In this paper, I examine what the identity of the post-human subject based on Rupert Sander's Ghost in the Shell, which was released in 2017. The film is based on the 1989 Japanese 'manga' of the same name by Masamune Shirow and the 1995 Japanese animation by Mamoru Oshii. While Mamoru Oshii's animation focuses on the birth and evolution of cyborgs as the fruit of the most advanced scientific technology, Rupert Sanders's film emphasizes establishing a cyborg's identity as post-human subject. That is to say, he was focused on resolving how the main protagonist of the film, Major Killian, defines herself through the juxtaposition of a human's ghost combined with a robotic skeleton. Thus, the film gives us the opportunity to think about the suffering caused by a cyborg's identity crisis due to her loss of memory, and what a cybernetic body means if it is without actual human senses. The central issues of concern here are how a cybernetic body being without senses can affect the identity of the being, the blurring of the boundary between humans and machines, and how a human's ghost interjoins with a cybernetic body. By exploring from these perspectives, this essay shows that Rupert Sanders's cyborg is not a living doll that a technologically advanced society can produce and control but is rather a post-human subject as a new entity of the future.]

목차[Table of content]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2. 거울 이미지에 투사된 정체성의 혼란   3. 포스트휴먼으로서의 존재 조건    3.1 아름다움으로 치환된 감각의 상실 문제    3.2 재구(再構) 되는 기억    3.3 행동하는 정의   4. 결론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46 1 윤리학 미국 NASW 윤리강령의 변화과정 및 2018 개정의 함의 / 김성호 2018  395
245 1 윤리학 관계적 돌봄의 철학 / 허라금 2018  221
244 1 윤리학 프랑스의 사생활 보호권과 개인정보보호 /전학선 2018  1113
243 1 윤리학 기본적 인권 침해방지를 위한 사회복지시설제도 개선방향에 관한 고찰 /장인호 2018  393
242 1 윤리학 가족관계등록제도 시행 10년간의 성과 및 향후의 개선방안/현소혜 2018  103
241 1 윤리학 비혼모의 출산 및 양육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최보희 2018  2152
240 1 윤리학 인공지능 및 사이버휴먼 시대의 윤리적 논쟁과 규범윤리의 요청 / 김광연 2018  117
239 1 윤리학 “유발 하라리의 『사피엔스』와 『호모 데우스』의 인간이해에 대한 해석학적 진단- 호모 사피엔스, 호모 데우스, 호모 렐리기오수스” / 왕대일 2018  297
» 1 윤리학 포스트휴먼 주체로서 사이보그의 정체성 찾기 - 루퍼트 샌더스의 <고스트 인 더 쉘>(2017) 중심으로 / 이재은 2018  164
237 1 윤리학 사이버 페미니즘(다나 헤러웨이)과 에코 페미니즘(김선희)의 비교 분석 / 김영숙 2018  169
236 1 윤리학 인공적 도덕 행위자 설계를 위한 고려사항 / 목광수 2018  124
235 1 윤리학 한국의 개인정보 보호법이 중국의 입법에 주는 시사점 / 나혜란 2018  119
234 1 윤리학 한스 요나스의 책임 윤리에 관한 비판적 고찰 -메타 윤리와 신경 과학적 접근을 중심으로- / 정결 2018  802
233 1 윤리학 인간성과 폭력에 대한 법사회학 및 법철학적 해석론의 교차 / 김종호 2018  397
232 1 윤리학 인간존엄의 기본권성에 관한 고찰 / 장영철 2018  124
231 1 윤리학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헌법상 근거와 보호영역 / 전상현 2018  453
230 1 윤리학 미국의 법 영역에서 문제되는 인과관계와 역학적 인과관계의 관계에 대한 고찰 / 이승현 2018  115
229 1 윤리학 광고 사전심의 제도의 위헌성에 대한 헌법적 고찰 - 의료기기 광고 사전심의 제도의 위헌성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 / 장석권 2018  97
228 1 윤리학 형사사법정보의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법·정책적 과제/김한균 2018  155
227 1 윤리학 인공지능 시대에 있어서 인간에 대한 철학적 성찰/ 김영례 2018  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