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06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경제규제와 법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411212 

프랑스의 사생활 보호권과 개인정보보호 
= Le droit au respect de la vie privée et la protection des données personnelles en France

  • 저자[authors] 전학선(Hakseon Jeon)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경제규제와 법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1No.1[2018]
  • 발행처[publisher] 서울대학교 공익산업법센터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52-70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대테러 입법(Legislation sur l’antiterrorisme),사생활보호(Droit au respect de la vie privee),개인정보보호(Protection de la donnee personnelle),헌법재판소(Conseil constitutionnel),프랑스(France)


초록[abstracts] 

[테러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테러리스트의 입국이나 활동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테러리스트들에 대한 정보의 수집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정보수집에 있어서 개인의 사생활의 자유가 침해되거나 개인정보보호와 관련하여 개인정보보호권이 침해될 수 있다.    프랑스에서 테러가 발생하여 국민들을 생명 및 신체에 대한 위해가 발생하자 프랑스 정부는 대테러 정책의 일환으로 테러방지를 위한 입법을 하고 있다. 2006년도에는 「대테러 투쟁과 안전 및 국경통제에 관한 법률」(loin°2006-64 du 23 janvier 2006 relative à la lute contre le terrorisme et portant dispositions diverses relatives à la sécurité et aux contrôles frontaliers)을 제정하였고, 2017년에는 「국가안전과 대테러 투쟁에 관한 법률」(loi n°2017-1510 du 30 octobre 2017 renforçant la sécurité intérieure et la lute contre le terrorisme)을 제정하는 등 테러방지를 위한 입법을 많이 하고 있다.    프랑스는 헌법재판소는 2017년 8월 4일 결정에서 테러위험인물에 대하여 정보를 수집하는 것은 사생활 보호권을 침해하지 않으나, 테러위험인물 주변인에 대하여 정보를 수집하는 것은 사생활 보호권을 침해한다고 하였다. 테러위험인물 주변인들에 대한 정보 수집은 그 범위가 너무 광범위하고 주변인의 수도 무제한이라는 것이 문제이기 때문에 주변인의 정보를 수집하는 것과 공공질서 침해 및 범죄 예방과의 사이에 비례성이 성립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테러는 일반 시민의 생명과 재산에 피해는 주는 만큼, 테러가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과 대응이 필요하다. 그러나 테러를 방지하기 위한 입법도 법치국가원리에 위반되어서는 안되고 국민의 기본권을 침해해서는 안된다. 프랑스에서 지속적으로 테러방지를 위한 입법을 하고 있는 과정에서 헌법재판소가 테러방지입법에 대하여 위헌 결정을 함으로써 국민들의 기본권이 침해되지 않도록 하고 있으며, 법치국가원리가 준수되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목차[Table of content] 국문초록  Ⅰ. 서론  Ⅱ. 테러 주변인물 실시간 정보수집에 대한 위헌결정  Ⅲ. 사생활 보호권과 개인정보보호  Ⅳ. 테러 인물 정보수집의 위헌성  Ⅴ. 결론  참고문헌  RESUM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06 1 윤리학 국가정책과 법이 양심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 / 유혜숙 2017  36
305 1 윤리학 성공적인 지능정보행정 도입을 위한 정부부문의 역할에 관한 연구 / 전대성 외 2017  37
304 1 윤리학 과학 기술 시대의 도덕 교육의 위기와 극복 방안 연구 / 정결 2017  42
303 1 윤리학 The Role of National Ethics Commissions in Finland 2003  44
302 1 윤리학 의생명과학기술 법정책에서 성주류화의 필요성 - 보조생식술과 임상시험을 중심으로 - / 김은애 외 2017  48
301 1 윤리학 의료광고 사전심의제도에 대한 윤리적 고찰 / 김준혁 2018  48
300 1 윤리학 통합 개인정보보호법안의 입법체계 검토 / 황태정 2009  49
299 1 윤리학 Open Borders and the Ethics of US Alien Vaccination Law 2015  53
298 1 윤리학 2017년 여성·가족 관련 주요 법률 개정 동향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8  53
297 1 윤리학 일본형법상 성범죄 관련 규정의 개정내용 검토 -개정경과 과정을 중심으로- / 홍태석 2018  56
296 1 윤리학 개인정보보호법을 대비한 개인정보보호 시스템에 관한 연구 / 김동례 2011  59
295 1 윤리학 개인정보 분쟁조정제도의 활성화를 위한 헌법상 연구 / 권수진 외 2017  60
294 1 윤리학 개인정보 유출에 따른 손배해상청구와 관련하여 / 류승훈 2016  61
293 1 윤리학 인간존엄에 관한 신학적 논증의 가능성과 한계 / 임종태 2018  62
292 1 윤리학 2017년도 국내 동물실험윤리위원회 운영실태 분석 / 문지영 외 2018  62
291 1 윤리학 정신적으로 제약이 있는 자의 자기 결정권 보호를 위한 법제 / 배현아 2013  70
290 1 윤리학 Toward an Anthropology of Ethics: Foucault and the Pedagogies of Autopoiesis 2001  71
289 1 윤리학 GDPR 환경에서 국내 개인정보보호 관련 인증제도 및 표준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 / 최보미 외 2018  71
288 1 윤리학 논문 : 미국 로스쿨의 임상법학교육이론과 방법론 -우리나라 임상법학교육의 전망과 과제- / 전해정 2008  74
287 1 윤리학 강제입원의 위법과 손해배상책임 / 신권철 2017  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