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06
발행년 : 2012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인간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60215637 
윤리적 선택과 판단의 기로에 선 인간의 윤리 원칙에 대한 성찰 

= Reflection on the Moral Principles of Human Standing at the Crossroads of Moral Choice and Judgment

  • 저자[authors] 유혜숙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인간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No.23[2012]
  • 발행처[publisher]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7-53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2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114
  • 주제어[descriptor] 윤리규범,양심,법,양심과 법,양심과 법의 충돌,윤리적 갈등,윤리적 선택과 판단,Moral Norms,Conscience,Law,Conscience and Law,Conflict between Conscience and Law,Moral Conflict,Moral Choices and Judgements

초록[abstracts] 
[본고는 다원화된 사회·종교·문화적 상황에서 포스트모더니즘 사상의 영향을 받으며 살아가는 오늘의 인간이 선과 악, 옳고 그름, 정의와 불의 사이에서 윤리적 갈등과 혼란을 겪을 때 과연 무엇을 기준으로 선택하고 결단하며 판단해야 하는지에 주목한다. 특히 양심과 법이 서로 충돌할 때 인간은 과연 무엇을 기준으로 자신의 행위를 식별하고 판단해야 하는지 교회의 전통적인 가르침과 현대 신학의 성찰을 바탕으로 고찰한다.  이 문제를 전개하는 데 있어 본고는 양심을 주관적 규범이라고 말하고 법을 객관적 규범이라고 말하는 통상적인 정의에 문제를 제기하면서 양심은 주관성뿐만 아니라 객관성, 법은 객관성뿐만 아니라 역사성을 갖는다는 사실을 피력한다. 더 나아가 교회가 전통적으로 가르쳐 온 양심 판단의 세 가지 원리에 입각하여 그 해결책을 제시하며 양심과 법의 올바른 관계를 모색한다.  인간적 행위의 윤리성을 평가하는 데 있어서도 전통적으로 제시하는 세 가지 요소, 곧 행위의 대상, 행위가 이루어지는 직접적인 상황, 행위자의 지향을 고찰하면서, 양심과 법의 맥락에서 행위의 목적과 행위자의 목적, 행위와 행위자, 죄와 죄인의 문제를 심화한다. 더 나아가 인간은 자신의 윤리성을 완성하기 위하여 선한 양심을 양성하고 법을 준수하며 자신의 행위와 그 행위의 결과에 책임을 질 줄 알고 인간 윤리성의 완성자 예수 그리스도를 닮고 따르는 삶을 살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본고는 다원화된 현대 사회와 주관주의, 상대주의, 회의주의, 허무주의, 상황윤리로 대변되는 현대 사상의 영향 속에서 살아가는 오늘의 인간이 일상의 삶에서 겪는 수많은 윤리적 선택과 판단의 기로에서 유념해야 할 윤리 기준과 원칙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standards and principles against which human beings, affected by post-modernism under the pluralistic social, religious and cultural environment, make choices and judgements when they face conflicting moral values between good and bad, right and wrong or justice and injustice. This study particularly examines the standards and principles against which humans understand and make judgements on their acts when conscience and law are in conflict, based on the traditional teachings of the Church and the reflection of contemporary theology.  To develop this issue, this paper raises a question about the view that regards conscience as subjective norms and law as objective norms, in order to emphasize that conscience contains both subjectivity and objectivity while law includes both objectivity and historicity. In addition, based on the three principles of the Church to evaluate conscience, this study provides solutions to the aforementioned question and pursues the right relationship between conscience and law.  By taking into account the three principles to assess morality of human act (the object, the immediate circumstance where the act is conducted, and the intention), questions about end of act and actor, act and actor, and sin and siner are advanced in the context of conscience and law. To complete morality, humans must foster good conscience, comply with law, hold responsibilities for their actions and the results, and follow the life of Jesus Christ, who is the ultimate being of human morality.  This study aims at suggesting moral standards and principles that humans must remember at the crossroads of the moral choices and judgements of their everyday lives while living in the contemporary society of subjectivism, relativism, skepticism, nihilism and situational ethics.]

목차[Table of content] 
Ⅰ. 인간의 윤리적 행위에 대한 갈등과 결단 Ⅱ. 인간의 윤리적 행위에 대한 평가 Ⅲ. 인간의 윤리적 행위를 완성하기 위한 과제 참고 문헌 국문초록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246 1 윤리학 연구논문 : 주민등록번호 변경규정 마련을 위한 입법적 과제 -헌법재판소 2015. 12. 23. 2013헌바68 중심으로- / 김종세 2016  449
245 1 윤리학 생명윤리법에서의 도덕성과 합법성 논의 : 생명윤리법에서 정언적 원리의 정초와 관련해서 / 이인영 2011  444
244 1 윤리학 한스 요나스 : 자연생명의 존엄성에 대한 인간의 책임 / 박상웅 2006  441
243 1 윤리학 줄기세포에 대한 윤리적·법적 논쟁의 변화 / 백수진 2012  434
242 1 윤리학 미국법의 현대적 과제 ; 미국의 인간배아줄기세포 연구의 규제 동향 / 김민우, 류화신 2015  432
241 1 윤리학 중용(mesot?s)의 양적 또는 비(非)양적 해석 문제 : 『니코마코스 윤리학』에서의 ‘절제’, ‘용기’, ‘온화’를 중심으로 / 이정주 2016  432
240 1 윤리학 생명과학기술의 발달에 따른 형사입법의 회고와 전망 / 이인영, 김성천 2007  427
239 1 윤리학 생명윤리법 제조과정에 있어서 정책갈등과 조정에 관한 연구 / 한성구 2004  426
238 1 윤리학 빅데이터 거버넌스와 표준화 동향 / 조완섭 2017  426
237 1 윤리학 죽음에 관한 기독교 윤리적 탐구 : 케이건(Shelly Kagan)과 몰트만(Jürgen Moltamm) 비교와 케이건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중심으로 / 송화준 2015  420
236 1 윤리학 새로운 치료법 도입과 관련된 법적 분쟁에 관한 연구 / 신정원 2011  419
235 1 윤리학 분배정의론이란 무엇인가? -자유주의 분배정의론의 쉬운 이해와 통괄적 연구를 위한 틀 / 김동일 2014  417
234 1 윤리학 동물실험 교육과정에서 윤리교육 강화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 유동미 외 2014  416
233 1 윤리학 영상정보처리장치(CCTV)와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연구 / 장성수 2014  415
232 1 윤리학 생명윤리법학의 의의 / 김현철 2014  405
231 1 윤리학 한국 의료법체계의 성격과 역사적 변천 / 박형욱 2001  398
230 1 윤리학 인간성과 폭력에 대한 법사회학 및 법철학적 해석론의 교차 / 김종호 2018  398
229 1 윤리학 미국 NASW 윤리강령의 변화과정 및 2018 개정의 함의 / 김성호 2018  395
228 1 윤리학 기본적 인권 침해방지를 위한 사회복지시설제도 개선방향에 관한 고찰 /장인호 2018  393
227 1 윤리학 사생활의 비밀의 절차적 보호규범으로서의 개인정보보호법리 : 개인정보보호법 및 위치정보보호법의 해석 및 적용의 헌법적 한계 / 박경신 2011  3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