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06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 교육학과 윤리교육 전공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729861 
아리스토텔레스의 덕 이론 : 『니코마코스 윤리학』에 나타난 교육철학적 의의와 현대적 적용 

= Aristotle's Virtue Theory : The Significance of Education Philosophical in『Nikomakean Ethics』and Its Modern Application

  • 저자[authors] 윤대홍
  • 발행사항 서울 :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 형태사항[Description] 70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김성민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 교육학과 윤리교육 전공 2018.2
  • 발행국(발행지)[Country] 서울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 아리스토텔레스,덕 윤리,전인교육
  • 소장기관[Holding] 건국대학교 상허기념도서관 (211004)
  • UCI식별코드 I804:11004-200000000778

초록[abstracts] 
전통 사회와 달리 현대 사회에서 상실된 가장 큰 가치는 기준점을 상실했다는 점에 있다. 과학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에서, 전체로서 인간이 아닌, 개별적인 능력과 성취 및 효율성에 따라 개별적인 개인으로서 인간의 기능을 강조하고 있다. 더 이상 전통 사회에서 강조할 수 있는 구성원을 통합할 수 있는 어떠한 도덕적 기준이나 가치를 현대 사회에서 적용하기는 곤란하게 됐다. 개인으로서 인간의 기준은 오직 자기 자신의 판단 혹은 자신의 편익을 추구하는 방향으로써 가치를 삼는다.   변화하는 사회상을 반영하고 인간다운 행위의 기준을 설립하기 위해선 학교 교육에서의 변화가 우선되어야 한다. 2015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도덕상은 도덕성을 내면화하고 이를 통해 자신 밖에 세상과의 관계에서 옳음을 자율적으로 실천함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하지만 거창한 목표에도 불구하고, 이론 중심의 학교 교육은 학생들의 지속적인 도덕 실천의 기반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복잡화 다변화되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학생들은 일관된 덕성을 발휘하기 힘들다. 기술의 발전과 함께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는 낙태나, 안락사와 같은 인간 존엄성과 관련한 윤리적 문제들이 그 예이다. 학생들은 왜 낙태가 윤리적 문제인지, 안락사와 관련해서 인간이 자신의 생명을 포기하는 것이 문제인지 원리 중심의 도서는 개인 이기주의가 만연해, 덕성에 대한 정의를 외울 뿐이지 그것을 왜 실천해야 하는 지에 대한 학생들의 체득과 실천은 부족하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가 학생들이 교과 내의 지식을 통해 도덕 이론을 접하면서, 현실의 사회 구성원으로서 자신의 도덕적 책임이 자신 뿐 아니라 사회의 행복을 실현하는 데 있어 중요한 지를 인식하지 못하는 데 있다고 생각한다. 즉, ‘~을 해야만 한다.’, ‘~이 옳고, ~은 나쁘다.’라는 당위적 가치에 대한 강요와 달리 교육에서 왜 이것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학생들의 동기적 측면을 고려하지 못한 점이다. 따라서 학생 스스로가 도덕적 열망을 통해 정의로운 행위를 하기 위해선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측면을 아우르는 전인적 도덕 교육의 철학적 기반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본 논문은 그리스 시대 아리스토텔레스가 제시한 덕 윤리를 다시금 현대 사회에서 주목할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그가 『니코마코스 윤리학』에서 주장하는 덕 윤리는 도덕적인 동기를 갖기 위해 공동체 사회 속에서 습관을 중시하는 동시에, 공동체 사회 속에서 바람직한 탁월성을 발휘하기 위해서 행위의 실천을 함의하고 있다. 이를 통해 아리스토텔레스의 덕 윤리가 도덕 교육을 실행함에 있어 지적 측면만을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정의적 영역과 행동적 영역 모두를 포괄하는 전인교육을 지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 윤리학』을 중심으로 그가 제시한 덕 윤리 전반을 분석하고, 덕 윤리가 지니는 교육 철학적 의의와 현대의 적용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목차[Table of content] 
제1장 서론 1
제2장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과 ‘좋음’의 의미 5
 제1절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 5
 제2절 아리스토텔레스에 있어 ‘좋음’의 의미 7
제3장 『니코마코스 윤리학』과 덕 윤리 9
 제1절 행복 9
  1. 내적 조건 10
  2. 외적 조건 13
 제2절 탁월성(Virtue)의 종류: 지적 탁월성과 성격적 탁월성 14
  1. 탁월성(Virtue)의 정의 14
  2. 지적 탁월성 15   
   가. 진리를 인식하는 부분 15
    (1) 학문적 인식 15
    (2) 직관적 지성 16
    (3) 철학적 지혜 16
   나. 숙고의 부분 17
    (1) 기예 18
    (2) 실천적 지혜 19
  3. 성격적 탁월성 19
   가. 습관 21
   나. 성격적 탁월성의 유개념과 종차 24
    (1) 유개념: 품성상태 24
    (2) 종차: 중용 25
   다. 실천적 지혜 31
 제3절 성격적 탁월성과 자연적 탁월성 및 엄밀한 의미의 탁월성 관계 35
 제4절 자발성과 비자발성 39
  1.자발성 39
  2. 비자발성 39
 제5절 우애와 정의 41
  1. 우애의 의미 41
  2. 우애와 정의의 관계 45
제4장 아리스토텔레스의 덕 이론이 지니는 교육 철학적 의의와 현대적 적용 50
 제1절 교육 철학적 의의 50
  1. 아동의 전인적 발달 50
  2. 자율적 의지의 존중 52
 제2절 교육적 방법 53
  1. 교사의 역할: 상담과 잠재적 교육과정 53
   가. 상담 53
   나. 잠재적 교육과정 55
  2. 실천적 지혜의 교육적 방법 58
   가. 학급 재판정 운영 59
   나. 스포츠 활동 60
   다. 봉사 활동 61
   라. 팀별 학습 61
제5장 결론 64
참고문헌 6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46 1 윤리학 연구논문 : 주민등록번호 변경규정 마련을 위한 입법적 과제 -헌법재판소 2015. 12. 23. 2013헌바68 중심으로- / 김종세 2016  449
245 1 윤리학 생명윤리법에서의 도덕성과 합법성 논의 : 생명윤리법에서 정언적 원리의 정초와 관련해서 / 이인영 2011  444
244 1 윤리학 한스 요나스 : 자연생명의 존엄성에 대한 인간의 책임 / 박상웅 2006  440
243 1 윤리학 줄기세포에 대한 윤리적·법적 논쟁의 변화 / 백수진 2012  434
242 1 윤리학 미국법의 현대적 과제 ; 미국의 인간배아줄기세포 연구의 규제 동향 / 김민우, 류화신 2015  432
241 1 윤리학 중용(mesot?s)의 양적 또는 비(非)양적 해석 문제 : 『니코마코스 윤리학』에서의 ‘절제’, ‘용기’, ‘온화’를 중심으로 / 이정주 2016  432
240 1 윤리학 생명윤리법 제조과정에 있어서 정책갈등과 조정에 관한 연구 / 한성구 2004  426
239 1 윤리학 생명과학기술의 발달에 따른 형사입법의 회고와 전망 / 이인영, 김성천 2007  426
238 1 윤리학 빅데이터 거버넌스와 표준화 동향 / 조완섭 2017  425
237 1 윤리학 죽음에 관한 기독교 윤리적 탐구 : 케이건(Shelly Kagan)과 몰트만(Jürgen Moltamm) 비교와 케이건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중심으로 / 송화준 2015  420
236 1 윤리학 새로운 치료법 도입과 관련된 법적 분쟁에 관한 연구 / 신정원 2011  418
235 1 윤리학 분배정의론이란 무엇인가? -자유주의 분배정의론의 쉬운 이해와 통괄적 연구를 위한 틀 / 김동일 2014  416
234 1 윤리학 영상정보처리장치(CCTV)와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연구 / 장성수 2014  413
233 1 윤리학 동물실험 교육과정에서 윤리교육 강화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 유동미 외 2014  413
232 1 윤리학 생명윤리법학의 의의 / 김현철 2014  405
231 1 윤리학 한국 의료법체계의 성격과 역사적 변천 / 박형욱 2001  397
230 1 윤리학 인간성과 폭력에 대한 법사회학 및 법철학적 해석론의 교차 / 김종호 2018  397
229 1 윤리학 미국 NASW 윤리강령의 변화과정 및 2018 개정의 함의 / 김성호 2018  395
228 1 윤리학 기본적 인권 침해방지를 위한 사회복지시설제도 개선방향에 관한 고찰 /장인호 2018  393
227 1 윤리학 사생활의 비밀의 절차적 보호규범으로서의 개인정보보호법리 : 개인정보보호법 및 위치정보보호법의 해석 및 적용의 헌법적 한계 / 박경신 2011  3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