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06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재산법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217689 
인공지능에 대한 민사책임 법리 

= Civil Liability for Artificial Intelligence

  • 저자[authors] 정진명(Chung, Jin-Myung)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재산법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34No.4[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재산법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37-168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365

  • 주제어[descriptor] 인공지능,민사책임,과실 책임,위험책임,편익책임,유럽연합로봇법,Artificial Intelligence,Civil Liability,Fault Liability,Risk Liability,Benefit Liability,European Union Robot Law


초록[abstracts] 
[인공지능의 작동에 의하여 타인에게 손해가 발생한 경우에 그 배상책임을 인정하기 위해서는 인공지능의 작동이 법적 의미의 ‘행위’로 평가되어야 한다. 그런데 전통적인 관점에서 ‘행위’는 행위자의 자유의지를 전제로 하며, 만일 사람의 행위라고 하더라도 행위자의 자유의지가 부정되는 경우에는 행위성이 부정된다. 인공지능의 작동에 있어 가장 중요하고 지배적인 근원은 인공지능 알고리즘의 제작 및 설치이며, 인공지능의 작동은 알고리즘의 지배를 받는다. 또한 인공지능은 기계학습을 통하여 점차 진화되고 있어 인공지능의 작동을 인공지능 알고리즘 제작과 설치라는 인간의 행위로 환원할 수 없다. 나아가 인공지능 이용자는 인공지능의 작동에 대한 구체적인 통제가능성이 존재하지 않는다. 인공지능 이용자는 인공지능의 작동에 어떠한 주의를 기울여야 그것이 타인에게 손해를 야기하지 않을 것인지를 전혀 알지 못한다. 그러므로 인공지능에 대하여 지배가능성이 없는 점유자에게 주의의무 해태라는 부작위의 행위성을 인정하기 어렵다. 이와 같이 인공지능의 작동 결과를 전통적인 인간의 행위로 환원하려고 하는 시도는 논리적 설득력을 얻기 어렵다. 그 결과 인공지능의 작동으로 인한 위법행위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하여 발생하지 않더라도 인공지능과 일정한 규범적 관계에 있는 자에게 손해배상책임을 부담시키기 위한 책임 법리를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하에서는 인공지능에 대한 민사책임 법리를 과실책임을 바탕으로 검토하되 행위성을 완화하는 책임규정과 행위성을 요건으로 하지 않는 무과실책임으로 나누어 검토해 보았다. 또한 인공지능에 대한 민사책임 법리를 모색하기 위하여 인공지능에 대해서 제한적인 법인격을 인정하고 있는 유럽연합로봇법에 대해서도 검토해 보았다.

In order to recognize liability for damages to others due to the oper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 oper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should be evaluated as an ‘act’ of legal meaning. However, in the traditional view, ‘act’ presupposes the agent s free will, and even if it is man s act, the act is denied if the agent s free will is denied. The most important and dominant source of artificial intelligence is the production and install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s, and the oper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is subject to algorithms. Also, artificial intelligence is evolving gradually through machine learn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can not be reduced to human ac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creation and installation. Furthermore, AI users do not have specific control over the oper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 artificial intelligence user does not know at all how to pay attention to the oper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will not cause harm to others.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the conduct of the omission of the obligation to pay attention to the occupier who is not able to control the artificial intelligence. This attempt to reduce the resul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o traditional human behavior is hard to obtain logical persuasion. As a result, even if the illegal act caused by the oper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does not occur due to intentional or negligent reason, it is necessary to reconstruct the principle for liability to the person who has a certain normative relationship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This Study examines the principle of liability based on fault liability and then examines the civil liabil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centered on liability for mitigating behavior and non. To this end, I will examine the European Union law that regulates the responsibil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목차[Table of content] 
Ⅰ. 머리말 Ⅱ. 인공지능의 법적 기초 Ⅲ. 민사책임 법리 Ⅳ. 인공지능에 대한 민사책임 Ⅴ. 맺음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86 1 윤리학 지식재산권법에 관련된 헌법적 쟁점과 향후 과제 / 이규홍 2019  1268
285 1 윤리학 신경윤리의 독자성과 주요 쟁점들 / 김효은 외 2018  158
284 1 윤리학 노년기 삶의 질에 대한 연구 / 권미경 2018  565
283 1 윤리학 치매상담센터 종사자의 업무 수행도-필요도 분석 / 어수지 2018  223
282 1 윤리학 결혼이주여성 배우자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가족건강성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 이미경 2018  258
281 1 윤리학 전문상담교사와 진로진학상담교사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 김선영 2018  375
280 1 윤리학 요양보호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 이문재 2018  238
279 1 윤리학 인간생명존중 윤리의식의 제고 / 김상배 2018  149
278 1 윤리학 인간존엄에 관한 신학적 논증의 가능성과 한계 / 임종태 2018  62
277 1 윤리학 EU의 개인정보보호법제와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기본원칙 / 이형석 2018  133
276 1 윤리학 GDPR 환경에서 국내 개인정보보호 관련 인증제도 및 표준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 / 최보미 외 2018  71
275 1 윤리학 2017년 여성·가족 관련 주요 법률 개정 동향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8  53
274 1 윤리학 의료정보 프라이버시 염려에 대한 근거이론적 연구 : 전자건강기록(EHR) 시스템을 중심으로 / 엄도영 외 2018  123
273 1 윤리학 포스트휴먼 시대의 로봇과 인간의 윤리 / 유은순 외 2018  201
272 1 윤리학 인(人) 이외의 존재에 대한 법인격 인정과 인공지능의 법적 지위에 관한 소고 / 이경규 2018  243
» 1 윤리학 인공지능에 대한 민사책임 법리 / 정진명 2018  78
270 1 윤리학 건강보험 재정의 현황과 정책과제 / 이은경 2018  117
269 1 윤리학 2017년도 국내 동물실험윤리위원회 운영실태 분석 / 문지영 외 2018  62
268 1 윤리학 인공지능로봇을 위한 윤리 가이드라인 연구 - 인공지능로봇윤리의 4원칙을 중심으로 - / 변순용 2018  285
267 1 윤리학 미래 의료용 나노로봇기술이 가져올 수 있는 해악 및 그 방지를 위한 입법적 개선방안 제언 ― 표적치료제 나노로봇을 중심으로 ― / 정천교 2018  2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