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06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의료법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4241509 

유전정보 차별금지의 법적문제 - 외국의 규율 동향과 그 시사점을 중심으로 -


  • 저자[authors] : 양지현,김소윤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 의료법학

  • 권호사항[Volume/Issue] : Vol.18No.1[2017]

  • 발행처[publisher] : 대한의료법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 237-264

  • 언어[language] :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 2017

  • 주제어[descriptor] : 유전자 정보, 유전자 차별, 유전정보차별금지법, 정밀의료, ELSI, Genetic Information, Genetic Discrimination, Genetic Information Non-discrimination Act, Precision Medicine, ELSI


초록[abstracts]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시작과 함께 그 사회적 부작용의 하나로 거론되었던 ‘유전정보 차별’의 문제가 아직 우리나라에서 크게 부각된 적은 없다 . 그러나 2016년 6월 30일부터 시행된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이 의료기관이 아닌 유전자검사기관의 유전자검사를 예외적으로 허용하자, 국내의 한 보험회사가 신규 암보험 가입자를 대상으로 DTC 유전자 검사를 별도의 무료 서비스로 제공하겠다고 하여 유전자 검사와 관련된 사회적 변화를 실감케 한 바 있다. 정밀의료가 의료의 새로운 표준으로 성큼 다가온 현 시점에서 유전정보 차별에 관한 규율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문제가 되었다. 우리나라는 생명윤리법 제46조, 제67조에서 유전정보를 이유로 한 차별의 금지와 그 위반행위에 대한 벌칙을 규정하고 있지만, 이러한 광범위한 원칙 규정만으로는 보험, 고용 등 구체적인 유전정보 활용 영역에서의 문제점들을 충분히 해결할 수 없다. 미국, 캐나다, 영국, 독일은 상이한 방식으로 유전정보 차별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미국의 「Genetic Information Non- Discrimination Act」의 경우, 건강보험과 관련된 부분은 기존의 법에 유전정보 차별금지에 관한 내용을 추가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또 개인과 그 가족의 유전자 검사 결과 외에 ‘가족력’까지 포함하여 유전정보의 범위를 매우 넓게 규정하고 있다. 캐나다는 2017년 비교적 최근에 법을 제정하였는데, 보험과 고용 외에 ‘상품이나 서비스의 거래’에까지 적용범위를 확장하고 있다. 영국은 유전자 검사 중 ‘개인의 예측적 유전자 검사’에 대해서만 다루고 있는데, 보험의 경우 영국정부와 보험협회의 ‘협약’을 통해 유전정보의 활용을 2019년까지 유예하는 방식으로 규율하고 있고, 고용의 영역은 ICO가 만든 ‘Employment Practices Code(2011)’가 기준으로 활용되고 있다. 독일은 유전자 검사에 관한 법 「Gesetz über genetische Untersuchungen bei Menschen」에서 고용과 보험에서의 유전자 검사 및 그 결과 제출 요구의 원칙적 금지를 규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각 나라마다 규율형식, 적용범위 뿐만 아니라 규율의 실효성에 대한 평가도 매우 상이하다. 이러한 점에 비추어 보았을 때 우리나라의 유전정보 차별에 관한 규제 역시 관련 규정의 검토, 전문가 집단의 참여 및 이해관계자의 협력을 통해 여러 규제안의 장․단점을 충분히 검증한 후 입법의 단계로 나아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목차[Table of content]

I. 서론   II. 유전정보 차별에 관한 규제의 형식과 내용 일반    1. 유전정보 차별에 관한 규제 형식    2. 유전정보 차별에 관한 규제 내용   III. 한국의 규율 현황    1. 헌법상 평등원칙    2. 법률상의 규율   IV. 외국의 규율 동향    1. 미국의 경우    2. 캐나다의 경우    3. 영국의 경우    4. 독일의 경우   V. 시사점    1. 유전정보 활용 허부에 따르는 이해조정의 필요성    2. 유전정보 및 유전자 검사의 정의    3. 관련 규정의 고려    4. 전문가 집단의 협력    5. 유전정보 차별에 관한 인식의 제고   VI.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126 1 윤리학 빅데이터 활용과 인권보호 / 김영진 2017  253
125 1 윤리학 과 비판적 사고 / 김세화 2005  254
124 1 윤리학 회고적 시각에서 본 생명윤리 관련 법규 변천 / 이인영 2013  254
123 1 윤리학 과학기술에 관한 윤리적 규범 모색을 위한 철학적 사회학적 신학적 관점에서의 융합적 연구 / 이창호 2018  255
122 1 윤리학 불교에서 보는 생명의 탄생과 죽음의 문제/ 하유진 2009  258
121 1 윤리학 결혼이주여성 배우자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가족건강성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 이미경 2018  258
120 1 윤리학 형법에 있어서 생명의 보호 / 이재석 2013  265
119 1 윤리학 잊혀질 권리`` 도입의 정보윤리적 의미와 쟁점 / 임상수 2016  266
118 1 윤리학 유럽연합(EU) 개인정보보호법의 특징과 최근 발전 / 문재완 2016  267
117 1 윤리학 21세기 생의학과 생명정치 / 과학기술학연구편집부 2014  272
116 1 윤리학 법률행위의 일부가 강행법규를 위반한 경우의 법률관계 / 강윤희 2017  276
115 1 윤리학 인공지능으로 인한 법률 서비스의 파괴적 혁신과 시사점 / 양종모 2017  280
114 1 윤리학 인공지능로봇을 위한 윤리 가이드라인 연구 - 인공지능로봇윤리의 4원칙을 중심으로 - / 변순용 2018  281
113 1 윤리학 연구논문 : 정치인의 이미지가 유권자의 후보자 선택에 미치는 영향 -미국 대통령 예비선거 과정을 중심으로- / 박선영 2016  282
112 1 윤리학 연구논문 : 베트남 국제사법의 특징과 유의점 -재산관계의 준거법을 중심으로- / 한종규 2016  283
111 1 윤리학 생명윤리와 헌법의 상보성 : 뷰챔프와 칠드러스의 넓은 반성적 평형과 헌법적 “인간” 개념 중심으로 / 류재한 2014  289
110 1 윤리학 생명정치와 디스토피아 문학 / 이정현 2018  289
109 1 윤리학 공정거래법상 행정지도에 따른 부당한 공동행위에 대한 법적 검토 / 유성희 외 2016  293
108 1 윤리학 로봇윤리 vs. 로봇법학: 따로 또 같이 / 김건우 2017  294
107 1 윤리학 인간 개념의 혼란과 포스트휴머니즘 문제/백종현 2015  2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