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06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교육전공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704407 


전문상담교사와 진로진학상담교사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 저자 : 김선영

• 형태사항 : ⅳ, 89p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양은주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교육전공 2018. 2

• 발행국 : 서울

• 출판년 : 2018

• 주제어 : 전문상담교사, 진로진학상담교사, 학교상담자, 연구동향


초록

최근 사회적 문제로까지 번지고 있는 학교폭력문제의 심각성이 대두되고 진로교육과 인성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학교상담 전문가의 역할은 더욱 강조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상담의 주요 인적 자원인 전문상담교사와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역할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여 전문상담교사의 배치가 시작 된 2005년부터 2017년까지의 연구와 진로진학상담교사의 배치가 시작 된 2011년부터 2017년까지 이루어진 두 직무교사에 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안하고자 진행되었다. 분석대상을 선정하기 위해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에서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www.riss.kr)를 이용하여 “전문상담교사”, “진로진학상담교사”, “학교상담자”와 관련된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을 검색하여 전문상담교사에 대한 연구 118편과 진로진학상담교사에 대한 연구 36편을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연구 동향을 분석한 선행연구들에서 사용하고 있는 보편적인 분류에 의거하여 분석대상논문을 연구연도별, 연구주제별, 연구방법별, 연구대상별로 분류하여 코딩하였고, 의미 있는 결과를 찾기 위해 각 분석영역을 모두 크로스탭으로 분석하여 정리하였다. 전문상담교사와 진로진학상담교사에 대한 연구 동향을 각 영역별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연도별 동향분석 결과 전문상담교사와 진로진학상담교사의 배치가 시작되고 3~5년 이후부터의 연구가 더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주제별 동향분석 결과 8개의 연구주제 영역 중 전문상담교사는 직업적응 영역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역할 및 직무 영역, 상담활동 영역, 전문가발달 영역, 전문성 영역, 제도 영역, 심리특성 영역의 순으로 나타났다. 진로진학상담교사는 역할 및 직무 영역에서의 연구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전문가발달 영역, 제도 영역, 직업적응 영역, 전문성 영역, 상담활동 영역, 심리특성 영역과 기타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학교현장에서 ‘상담’이라는 공통 업무를 진행하고 있는 두 직무교사에 대한 상담활동 영역에서는 전문상담교사에 대한 연구가 2005년부터 최근까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진로진학상담교사에 대한 연구는 초기에 진행된 단 2편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방법별 동향분석 결과 전문상담교사와 진로진학상담교사에 대한 연구 모두 양적연구방법에 편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대상별 동향분석 결과 단일대상의 전문상담교사와 진로진학상담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 현저하게 많았으며 학교상담의 수요자인 학생, 학부모, 일반교사, 학교행정가 등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많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상담에 있어서 큰 전환점을 가져온 전문상담교사와 진로진학상담교사가 배치 된 이후 두 직무교사에 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학교현장의 현황을 파악하고 향후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필요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가 학교상담의 주요 인적 자원인 전문상담교사와 진로진학상담교사에 대한 후속 연구의 방향성 제안 뿐 아니라 더 나아가 학교상담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기초 연구가 되길 기대한다.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2. 연구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1. 학교상담 5

2. 학교상담의 변화과정 9

3. 전문상담교사 14

4. 진로진학상담교사 23

Ⅲ. 연구방법 30

1. 연구 분석대상 및 선정 30

2. 연구 분석영역 및 기준 32

Ⅳ. 연구결과 37

1. 전체분석대상 연구출처별 연도 분석 37

2. 전문상담교사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38

3. 진로진학상담교사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47

Ⅴ. 논의 및 제한점 57

참고문헌 66

부록 8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286 1 윤리학 지식재산권법에 관련된 헌법적 쟁점과 향후 과제 / 이규홍 2019  1268
285 1 윤리학 신경윤리의 독자성과 주요 쟁점들 / 김효은 외 2018  159
284 1 윤리학 노년기 삶의 질에 대한 연구 / 권미경 2018  566
283 1 윤리학 치매상담센터 종사자의 업무 수행도-필요도 분석 / 어수지 2018  223
282 1 윤리학 결혼이주여성 배우자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가족건강성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 이미경 2018  258
» 1 윤리학 전문상담교사와 진로진학상담교사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 김선영 2018  377
280 1 윤리학 요양보호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 이문재 2018  238
279 1 윤리학 인간생명존중 윤리의식의 제고 / 김상배 2018  149
278 1 윤리학 인간존엄에 관한 신학적 논증의 가능성과 한계 / 임종태 2018  62
277 1 윤리학 EU의 개인정보보호법제와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기본원칙 / 이형석 2018  133
276 1 윤리학 GDPR 환경에서 국내 개인정보보호 관련 인증제도 및 표준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 / 최보미 외 2018  71
275 1 윤리학 2017년 여성·가족 관련 주요 법률 개정 동향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8  53
274 1 윤리학 의료정보 프라이버시 염려에 대한 근거이론적 연구 : 전자건강기록(EHR) 시스템을 중심으로 / 엄도영 외 2018  124
273 1 윤리학 포스트휴먼 시대의 로봇과 인간의 윤리 / 유은순 외 2018  202
272 1 윤리학 인(人) 이외의 존재에 대한 법인격 인정과 인공지능의 법적 지위에 관한 소고 / 이경규 2018  244
271 1 윤리학 인공지능에 대한 민사책임 법리 / 정진명 2018  78
270 1 윤리학 건강보험 재정의 현황과 정책과제 / 이은경 2018  117
269 1 윤리학 2017년도 국내 동물실험윤리위원회 운영실태 분석 / 문지영 외 2018  62
268 1 윤리학 인공지능로봇을 위한 윤리 가이드라인 연구 - 인공지능로봇윤리의 4원칙을 중심으로 - / 변순용 2018  296
267 1 윤리학 미래 의료용 나노로봇기술이 가져올 수 있는 해악 및 그 방지를 위한 입법적 개선방안 제언 ― 표적치료제 나노로봇을 중심으로 ― / 정천교 2018  2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