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06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동광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066416 


베이비박스의 실태와 대안


= The actual condition and alternatives of baby box

http://www.riss.kr/link?id=A105066416 


• 저자명 : 김형모 ( Hyung Mo Kim )

• 학술지명 : 동광

• 권호사항 : Vol.112 No.- [2017]

• 발행처 : 한국어린이재단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2-34(33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 2017년

• 주제어 : 베이비박스 , 영아 유기 , 생존권 , 출생등록제도 , 비밀출산제도 , Baby box , Infant abandonment , The right to survival , Birth registration system, Secret birth system


초록


위키백과에 의하면, 베이비박스(baby box)는 부득이한 사정으로 아기를 키울수 없는 산모가 작은 철체 상자 안에 아기를 두고 갈 수 있도록 만든 것으로 유기되는 아이들의 안전을 위해 만들어졌다. 우리나라에서 베이스박스는 2009년 12월 서울 관악구의 한 교회에서 건물 주차장에 아기가 버려져 있는 것을 보고 설치되었고, 2010년 3월 처음으로 아기가 들어 왔으며 2015년 9월 기준 총 806명의 아이가 발견되었다.

OECD 34개 국가 중 가장 낮은 출산율에 비해 베이비박스를 통한 영아유기의 대폭적인 증가는 이중적인 사회병리 현상이면서, 영아의 생존권과 건강권 그리고 생명윤리 측면에서 심각한 사회위기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베이비박스의 존재는 위기에 빠진 영아를 일시적으로 보호하는 기능을 할 수 있지만, 자녀의 친부모에 대한 알 권리와 친부모로부터 양육될 권리와는 긴장관계에 있다. 특히 베이비박스 이용자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미혼모의 기본권 보호와 영아의 생명과 안전의 보호 문제가 조화롭게 해결되어야 할 것이다.

모든 아동이 출생 순간부터 병원이나 조산원에서 자동으로 출생신고가 되는 시스템을 갖추어야 한다. 아울러 부모가 자녀를 건강하게 양육할 수 있도록 하는 사회적 지원과, 미혼부모에 대한 사회적 편견 해소를 통해 미혼부모의 출산이 직접 양육으로 연결될 수 있는 사회적 환경을 만들어 가야 한다. 또한 책임질 수 없는 아이를 임신하지 않도록 피임 등 현실적인 성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아울러 혼자 힘으로 아이를 키우기로 결정한 미혼모에게 질책 보다는 격려를 보낼 수 있도록 사회 인식이 변화가 필요하다. 나아가 부모가 자신의 아이를 직접 키울 수 있도록 출산 및 육아에 대한 복지를 강화하여야 할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126 1 윤리학 피터 싱어 윤리 체계의 일관성 2012  129
125 1 윤리학 과학 기술 시대의 도덕 교육의 위기와 극복 방안 연구 / 정결 2017  42
124 1 윤리학 국가정책과 법이 양심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 / 유혜숙 2017  36
123 1 윤리학 빅데이터 거버넌스와 표준화 동향 / 조완섭 2017  426
122 1 윤리학 성공적인 지능정보행정 도입을 위한 정부부문의 역할에 관한 연구 / 전대성 외 2017  37
121 1 윤리학 지능정보사회와 헌법상 국가의 책무 / 정준현, 김민호 2017  82
120 1 윤리학 ‘가족의 위기’ 시대, 가족 이데올로기의 재구성/전주희 2017  169
119 1 윤리학 임의후견에서 본인의 자기결정권과 법원의 감독 / 김수정 2017  145
118 1 윤리학 장애인복지에서 사회적시민권의 이론적 적용 가능성 고찰 / 신유리 외 2017  148
117 1 윤리학 헌법상 행복추구권의 의미와 실현구조 / 장영수 2017  2074
» 1 윤리학 베이비박스의 실태와 대안 / 김형모 2017  1152
115 1 윤리학 팀장의 윤리적 리더십이 팀원들의 역할 내 행동과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김문주 2017  119
114 1 윤리학 실질적 자기결정권 실현수단인 후견계약제도의 활성화에 관한 연구 / 박득배 2017  141
113 1 윤리학 빅데이터 활용과 인권보호 / 김영진 2017  253
112 1 윤리학 개인정보 관련 법령의 실무적 운영과정에서 드러난 문제점과 개선방향 / 박광배 2017  101
111 1 윤리학 인공지능으로 인한 법률 서비스의 파괴적 혁신과 시사점 / 양종모 2017  280
110 1 윤리학 사회환경 변화에 따른 가족위기 특성과 정책과제 / 김유경 2017  187
109 1 윤리학 비판적 사고와 글쓰기에 기초한 의료윤리와 전문직업성 교육 / 전대석 외 2017  246
108 1 윤리학 인간생명존중 윤리의식의 제고 / 김상배 2018  150
107 1 윤리학 남녀고용평등법상 성차별 구제에 관한 최근 미국 판례의 시사점 / 이명화 2017  1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