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06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고려법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351305 
헌법상 행복추구권의 의미와 실현구조

= Die Verfassungsrechtliche Versicherung des Strebens nach dem eigenen Gluck


• 저자명 : 장영수 ( Young-soo Chang ) 
• 학술지명 : 고려법학
• 권호사항 : Vol.85 No.- [2017]
• 발행처 :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81-108(28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7년
• 주제어 :행복추구(das Streben nach dem eigenen Gluck) , 일반적 행동자유권(allgemeine Handlungsfreiheit) 자기결정권(Selbstbestimmungsrecht), 인격의 자유발현권(das Recht auf die freie Entfaltung seiner Personlichkeit) , 열거되지 않은 권리(ungeschriebene Grundrechte)


초록

행복은 각자의 마음속에 있는 `서로 다른 색깔의` 무지개일 수도 있으며, 모든 사람이 공감할 수 있는 행복론을 이야기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든 인간이 공유하고 있는 가치들이 있으며, 이러한 공통분모를 중심으로 인간의 행복을 논하는 것은 매우 큰 의미를 갖는 것이기도 하다. 인간의 삶이, 어쩌면 인간이라는 존재 자체가 의미 있는 것이 되기 위해서는 한편으로 행복에 대한 확고한 -저마다의- 가치관이 필요할 것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더불어 사는 사회 속에서 다른 사람들의 행복에 대한 배려도 필요하기 때문이다.
행복추구권은 근대 인권선언 당시 가장 핵심적인 인권의 하나로 인정 되었다. 그러나 인권보장이 실질화되고, 이른바 인권 카탈로그가 풍부해지면서 오히려 행복추구권에 대한 관심은 많이 약화되었다. 그것은 무엇보다 행복추구권이라는 추상적이고 포괄적인 인권이 갖는 법적 권리로서의 한계성에서 비롯되었다. 수많은 사람들이 행복추구라는 추상적 범주 속에 각자의 가치관에 따라 온갖 내용을 넣고자 하는 요구는 거꾸로 행복추구가 갖는 의미를 심각하게 약화시켰던 것이다.
그러나 행복추구(권)의 의미는 근대 인권선언 당시뿐만 아니라 오늘날에도 결코 가볍게 여겨질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다만, `행복추구에` 대한 헌법적 보호 내지 기본권적 보장이 헌법 제10조 `행복추구권`에 의해서만 전담되는 것으로 잘못 이해한 경우, 행복추구권의 적용범위 내지 법적 보호영역의 축소에 대해 비판하게 되는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126 1 윤리학 피터 싱어 윤리 체계의 일관성 2012  129
125 1 윤리학 과학 기술 시대의 도덕 교육의 위기와 극복 방안 연구 / 정결 2017  42
124 1 윤리학 국가정책과 법이 양심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 / 유혜숙 2017  36
123 1 윤리학 빅데이터 거버넌스와 표준화 동향 / 조완섭 2017  426
122 1 윤리학 성공적인 지능정보행정 도입을 위한 정부부문의 역할에 관한 연구 / 전대성 외 2017  37
121 1 윤리학 지능정보사회와 헌법상 국가의 책무 / 정준현, 김민호 2017  82
120 1 윤리학 ‘가족의 위기’ 시대, 가족 이데올로기의 재구성/전주희 2017  169
119 1 윤리학 임의후견에서 본인의 자기결정권과 법원의 감독 / 김수정 2017  145
118 1 윤리학 장애인복지에서 사회적시민권의 이론적 적용 가능성 고찰 / 신유리 외 2017  148
» 1 윤리학 헌법상 행복추구권의 의미와 실현구조 / 장영수 2017  2074
116 1 윤리학 베이비박스의 실태와 대안 / 김형모 2017  1152
115 1 윤리학 팀장의 윤리적 리더십이 팀원들의 역할 내 행동과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김문주 2017  119
114 1 윤리학 실질적 자기결정권 실현수단인 후견계약제도의 활성화에 관한 연구 / 박득배 2017  141
113 1 윤리학 빅데이터 활용과 인권보호 / 김영진 2017  253
112 1 윤리학 개인정보 관련 법령의 실무적 운영과정에서 드러난 문제점과 개선방향 / 박광배 2017  101
111 1 윤리학 인공지능으로 인한 법률 서비스의 파괴적 혁신과 시사점 / 양종모 2017  280
110 1 윤리학 사회환경 변화에 따른 가족위기 특성과 정책과제 / 김유경 2017  187
109 1 윤리학 비판적 사고와 글쓰기에 기초한 의료윤리와 전문직업성 교육 / 전대석 외 2017  246
108 1 윤리학 인간생명존중 윤리의식의 제고 / 김상배 2018  150
107 1 윤리학 남녀고용평등법상 성차별 구제에 관한 최근 미국 판례의 시사점 / 이명화 2017  1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