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보건관리학과 2017. 8.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567965 

중년의 성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건강증진실천행위 연관성 분석 : 경기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 기타서명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s toward Death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s in Middle Age

  • 저자

    서혜선

  • 형태사항

    vi, 61 p. : 삽화.

  • 일반주기

    지도교수: 김혜경
    참고문헌: p. 44-54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보건관리학과 2017. 8. 졸업

  • DDC

    600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7

  • 초록 (Abstract)

  • 우리나라는 급속히 노령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의료비의 문제가 국가적인 차원에서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노년의 질환으로 만성질환이 차지하는 비중이 전체 사망비의 81%에 해당된다. 만성질환은 매일의 생활에 건강한 생활습관과 관련이 있으므로 건강증진실천행위가 중요하다. 중년은 노년의 전단계로서 만성질환이 시작하는 단계이며, 건강한 노년을 위한 건강증진실천행위의 다양한 중재가 필요하고 효과적인 시기이다. 기존의 중년의 연구는 경제, 사회, 심리적요인에 집중되어 있다. 미래에 대한 전망이 노인이나 중년 모두에게 현재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감안할 때 다양한 중재를 위한 건강증진요인으로서 죽음에 대한 태도 연구가 필요하다. 선행 연구에서 노년의 죽음에 대한 태도는 노인의 건강증진과 다양한 관련이 있으나 중년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적다. 본 연구는 중년을 대상으로 좀 더 다양한 중재를 위한 건강증진실천행위의 변인으로서의 죽음에 대한 태도를 연구하고자 한다. 경기도 일부지역을 중심으로 50-64세에 건강한 중년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을 이용하여, 총 280부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SPSS 21.0을 사용하였으며, ANOVA, t-test, 교차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요인의 차이를 기술통계를 이용하여 성별, 연령별로 살펴보았다. 건강증진실천행위,죽음에 대한 태도를 인구사회학적요인,건강요인,기타요인으로 차이를 파악하였다. 건강증진실천행위와 죽음에 대한 태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였으며, 중년의 건강증진실천행위의 주요요인을 파악하여 보았다. 결과를 살펴보면 건강증진실천행위는 종교를 가지고 있는 대상자가 더 많이 하였으며, 주관적으로 건강하다고 생각하는 대상자가 더 많이 건강증진 행위를 하였다. 죽음에 대한 태도는 연령이 높을수록, 종교가 있거나 주관적 정신건강이 좋다고 응답한 대상자가 더 긍정적 이였다. 죽음에 대해 생각하는 빈도가 높은 대상자들도 죽음에 대한 태도가 다른 대상자보다 죽음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 이였다. 건강증진실천행위와 죽음에 대한 태도는 양적 상관이 있었으며, 건강증진실천행위 6개 영역으로 영양, 스트레스관리, 대인관계지지, 자아실현과 죽음의 태도가 상관이 있었으며, 주관적 정신 건강과도 상관이 있었다. 건강증진실천행위의 주요요인으로는 주관적 신체 건강, 주관적 정신 건강, 최종 학력, 죽음에 대한 태도가 회귀 식으로 도출되었으며 설명력은 21.2%였다. 즉, 주관적으로 건강하다고 생각하거나, 학력이 높을수록, 죽음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더 건강증진실천행위를 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는 경기 일부지역의 자료로 전체 중년에 대해 일반화 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자기기입식 설문을 이용하여 객관성이 떨어질 수 있다.일반화가 가능한 많은 수의 표본을 통해 더욱 정확한 연구가 필요하며, 죽음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회적, 환경적 요인의 파악을 위해 질적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그러나 예방적 차원의 건강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 자료의 활용으로 죽음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위한 죽음준비교육이 다양한 연령에 실시되기를 바란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3848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시대 인공지능 기술과 미래 어린이철학교육의 전망 / 김민수 2019  96
3847 19 장기 조직 이식 Liver transplantation in Latin America: Current status 2004  97
3846 2 생명윤리 죽음 규정에 관한 논란과 그 인간학적 함의 = The Dispute on Defining Death and Its Anthropological Meaning/허민 2016  97
3845 20 죽음과 죽어감 이른바 ‘연명의료결정’법의 형사정책적인 의문 / 이경렬 2016  97
3844 5 과학 기술 사회 국내외 인공 지능 연구 개발 전략 현황 / 한상기 2016  97
3843 5 과학 기술 사회 건전한 인공지능 생태계 형성을 위한 규범적 전략과 법의 역할/윤상필 외 2017  97
3842 5 과학 기술 사회 인증시스템을 위한 얼굴인식 기술 : 서베이 / 황윤철 2015  97
3841 18 인체실험 단일 병원에서 시행된 식품의약품안전청 허가용 임상시험에서 발생한 중대한 유해사례의 보고율 조사 / 조상헌 2007  97
» 20 죽음과 죽어감 중년의 성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건강증진실천행위 연관성 분석 : 경기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2017  97
3839 14 재생산 기술 인간 배아 생산을 위한 하이브리드 마우스 체외수정 조건 확립에 관한 연구 / 이단비 2016  97
3838 15 유전학 인간 유전체 연구의 프라이버시 문제와 그 위험성에 관한 철학적 고찰 / 허유선, 정창록 2017  97
3837 9 보건의료 외국의 외래처방 제네릭 의약품의 입찰제 운영 현황과 시사점 / 김성옥 2015  97
3836 18 인체실험 암환자의 항암제 임상시험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 조사 / 전주경 2018  97
3835 5 과학 기술 사회 젠더 불평등과 불안정 노동 / 윤자영 2018  97
3834 5 과학 기술 사회 자율주행자동차 운행 중의 사고발생과 손해배상책임 / 최현태 2018  97
3833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의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이현아 외 2017  97
3832 1 윤리학 생명과학분야 기초교양을 위한 멀티미디어 자료 활용 방안/주양선 외 2017  97
3831 14 재생산 기술 조선후기 남성지식인의 유모 기록에 나타난 대리모성에 대한 인식 / 서경희 2017  97
3830 15 유전학 유전자 편집기술인 CRISPR-Cas9의 특허 가능성 / 박인회 2018  97
3829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의 환자권리에 대한 인식과 윤리적 가치관이 생명의료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 / 김미숙 외 2018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