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7
발행년 : 2004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9535403 
여성 저출산의 실태 및 원인분석 : 여성 저출산의 실태 및 원인분석

                                

  • 저자

    원정원                                       

  • 형태사항

    viii, 123 p. ; 26cm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계명대학교 정책대학원 : 정책학과 2004. 8

  • 발행국

    대구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04                                                                                                                                                            

  • 초록 (Abstract)
    • 본 연구의 목적은 저출산이라는 사회문제가 제시되는 현실에서 저출산의 원인이 여성만의 문제인지 사회전반의 흐름과 변화에 기인한 것인지를 알아보며 지역여성의 출산에 대한 기대치를...
  • 본 연구의 목적은 저출산이라는 사회문제가 제시되는 현실에서 저출산의 원인이 여성만의 문제인지 사회전반의 흐름과 변화에 기인한 것인지를 알아보며 지역여성의 출산에 대한 기대치를 측정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기위해 경기도 평택시와 경상북도 고령군으로 한정해 인구학적 측면과 사회학적 측면의 저출산 실태와 개인, 가정, 사회 및 지역적 측면의 설문조사결과를 통한 원인분석을 해보면서 지역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파악하여 이를 토대로 앞으로의 지방분권시대 지역 경제의 기반인 인구안정을 위한 출산정책과 지역사회가 인식해야 할 사회문제 및 다양한 여성관련 정책수립과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달성을 위해 저출산의 이론적 바탕이 되는 문헌과 자료를 통해 출산의 의의와 저출산의 원인으로 강하게 주장된 정책적인 60년대 가족계획 사업에서부터의 정책변화과정을 거쳐 저출산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적으로 살펴보았다. 인구학적으로 노동력의 부족과 소비시장의 위축으로 국가경쟁력의 상실에 이르는 단편적인 면과 가치관의 변화를 통해 사회 경제적인 고령화의 가속도의 심각성으로 사회보장적 서비스의 증가를 불러와 재정적 압박으로 연결되어지는 연쇄적인 면을 통해 국내의 저출산 동향과 선진국의 사례를 통해 현재 우리의 위치를 자각해 보는 계기를 가졌다.
    여성 저출산의 실태와 원인분석을 위해 조사대상을 경기도 평택시와 경상북도 고령군을 모집단으로 응답이 용이한 단순문답식 40문항으로 구성해 지역내 가임여성 (만15~44세) 으로 한정해 집단 및 개별 설문조사를 실시, 조사대상 300명중 회수된 246부를 분석 활용하여 통계작업을 통한 모든 자료 분석은 SPSSWIN Version 10.0 한글판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집단간의 차이 검증과 항목간의 빈도 및 교차분석을 통해 조사결과를 분석했다.
    도시형의 평택시와 농촌형의 고령군을 배경으로 실증적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종래의 사회 · 경제 · 문화적, 지역적 변수들은 출산력 저하에 대한 영향력이 미약한 것처럼 보였으나, 본 연구를 통해 가족계획보다 사회 · 문화적, 경제적, 지역적 변수들이 상대적으로 중요하다는 사실을 제시하면서 분석결과를 종합해 보면, 출산가정의 여성가치관, 교육수준, 개인능력, 건강문제, 취업상태, 경제력, 직업에 대한 태도, 거주만족도, 출산연령과 결혼시기, 시회참여, 개인주의, 교육과 양육의 부담, 인구이동, 출산제도 등 다양한 변수가 출산력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임여성의 가치관과 출산가정의 일반적 특성과 지역형태의 변수, 출산여성에 대한 사회적 지원체계의 특성 중 정부의 보육 및 공교육과 여성관련 제도와 지역별 경제문화의 차이에서 유의미한 관계를 갖으며 이와 같은 분석결과는 여성이 출산을 하고자 하는 기대치를 높이기 위한 거시적 접근과 미시적 접근의 구체적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어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결론적으로 한국의 전통와 정서에 따른 민족적 근본이 아직은 출산의 잠재성을 지닌 두 지역을 통해 남아있음을 알았고 이를 활용한 긍정적 출산에 대한 가치관의 홍보, 교육을 통해 서구화되는 가치관보다 한국적인 정서를 통한 자국민과 지역을 지키는 방향으로 유도하면서 지역의 특수성과 차별화된 맟춤식 지방자치정책과 더불어 중앙의 통일되고 소득층에 따른 분배적인 출산 및 관련정책의 조화를 통해 지역과 사회가 원하는 합리적인 발전방향으로 여성의 저출산 제고방안이 접근되어져야 하겠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론 = 1
  • 제 1 절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 1
  • 제 2 절 연구의 목적 = 2
  • 제 3 절 연구의 범위및 방법 = 4
  • 제 2 장 저출산에 관한 이론적 배경 = 6
  • 제 1 절 출산과 저출산의 의의와 사회적 영향 = 6
  • 제 2 절 국내외의 저출산 동향과 정책 = 21
  • 제 3 절 연구 분석의 틀 = 50
  • 제 3 장 저출산에 관한 실태분석 = 53
  • 제 1 절 인구학적 측면 = 53
  • 제 2 절 사회경제적 측면 = 57
  • 제 4 장 저출산에 관한 조사결과 및 원인분석 = 60
  • 제 1 절 조사개요 = 60
  • 제 2 절 조사결과 = 62
  • 제 5 장 여성의 출산율 제고방안 = 83
  • 제 1 절 분석결과의 요약 = 83
  • 제 2 절 여성출산율 제고 방안 = 87
  • 제 6 장 결론 = 92
  • 1. 요약 = 92
  • 2. 제언 = 95
  • 참고문헌 = 101
  • 부록 = 107
  • 영문초록 = 119
  • 국문초록 = 12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227 5 과학 기술 사회 휴머노이드 로봇 캐릭터 개발을 위한 디자인 가이드 라인 / 우명희 2004  78
226 9 보건의료 의료광고의 표현범위에 관한 연구 : 의사와 소비자의 태도조사를 중심으로 / 최선호 2004  118
» 13 인구 여성 저출산의 실태 및 원인분석 : 여성 저출산의 실태 및 원인분석 / 원정원 2004  1109
224 20 죽음과 죽어감 품위 있는 죽음과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일반 국민들의 태도 / 윤영호 2004  232
223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연장 · 질병없는 미래를 꿈꾼다 ·· 바이오신약 / 장인진 2004  91
222 14 재생산 기술 생식내분비학 : 배란유도제의 올바른 사용과 부작용의 처치 / 김학순 2004  157
221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등이식에관한법률"의 내용 및 시행상의 문제점 및 개선점 2004  68
220 9 보건의료 제네릭의 약품의 생물학적동등성 인정 현황과 정책과제 / 이의경 2004  58
219 14 재생산 기술 불임 남성 배우자의 시험관 아기 시술 경험 / 이윤정 2004  52
218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시 원인불명 불임환자의 산과적 결과에 대한 고찰 2004  68
217 9 보건의료 병원윤리위원회 역할의 활성화 방안 탐색 연구 / 엄영란 2003  1630
216 14 재생산 기술 Human cloning laws, human dignity and the poverty of the policy making dialogue / Timothy Caulfield 2003  1209
215 14 재생산 기술 생명공학시대의 여성의 재생산 권리에 대한 법여성학적 고찰 / 김은애 2003  536
214 2 생명윤리 생명공학자의 연구윤리 고찰 / 이춘호 2003  653
21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을 결정한 말기환자 가족의 경험 / 박연옥 2003  548
212 15 유전학 유전정보의 이용과 보호에 관한 법규제적 연구 / 김민정 2003  155
211 7 의료사회학 의사의 법적 의무에 대한 지식도 및 의료법 교육 필요성에 대한 태도 / 김소연 2003  212
210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과 의과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에 관한 조사 연구 : 대구.경북지역을 중심으로 / 권선주 2003  734
209 2 생명윤리 도덕 교과에서의 생명 교육 연구 / 육정란 2003  244
208 20 죽음과 죽어감 현대 한국인의 죽음에 관한 인식과 태도 / 김희경 2003  2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