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5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0364039 
생명복제에 대한 고교생들의 개념 및 인식도 연구 = Analysis of Current Concepts and Awareness of High School Students about Cloning

                    

http://www.riss.kr/link?id=T10364039            

  • 저자

    임학빈                                       

  • 형태사항

    iv, 125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이상호
    단면인쇄
    부록수록
    참고문헌 : p. 85-8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2005. 8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05

초록 (Abstract)

  • 초 록 생명복제에 대한 고교생들의 개념 및 인식도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임 학 빈 인간 체세포를 포함한 복제실험의 성공은 생명공학 기술을 폭발적 증가시키나, 일...
  • 초 록 생명복제에 대한 고교생들의 개념 및 인식도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임 학 빈 인간 체세포를 포함한 복제실험의 성공은 생명공학 기술을 폭발적 증가시키나, 일반적인사회 요인들은 이런 기술의 진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특히, 상업적 대중매체는 우리에게 생명 공학에 대한 전반적인 상황에 대하여 정확한 정보를 주기보다는 성과 위주의 일시적인 보도만으로 일관되어 있다. 더욱이, 한국의 최신 생물 교과서는 질적으로 양적인 면에서 관련된 기초 원리와 적용에 대해 충분히 다루고 있지 않다. 현행 교과서에는 도덕적 문제에 대한 내용이 부족하고 혼란을 주고 있다. 의심할 여지없이, 본 연구는 복제에 관한 고교생들의 현재의 개념과 인식에 대한 것이다. 최종 설문은 82개의 질문을 포함하고 있으며 지역, 성, 종교, 학년, 대학진학예정에 따라 644명의 학생이 설문을 응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우리 고등학생들이 생명 복제에 대해 거의 정보를 얻지 못하고 있으며, 심지어 왜곡된 정보를 갖고 있다는 것이다. 한편 학생들 사이에는 생명의 시작과 복제에 관한 내용이 미 확립되어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Abstract
    • I. 서 론
    • 1. 연구배경
    • 2. 연구의 필요성
    • 3. 연구목적
    • 4. 연구의 제한점
    • Ⅱ. 연구방법 및 분석
    • 1. 생명 복제에 관한 문항 작성
    • 2. 예비 설문 조사
    • 3. 설문 조사 실시
    • 4. 설문연구 대상의 일반적인 특징
    • 5. 통계처리
    • Ⅲ. 연구결과
    • <학생들의 설문에 대한 변수별 응답>
    • Ⅳ.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1> 설문지
    • <부록 2> 644명에 대한 설문조사 실시 결과
    • <부록 3> 82개 문항 중 49문항의 선정
    • <부록 4> 분석을 할 7개 영역 35개의 문제
    • <부록 5> 설문 통계 처리 후 변수에 따른 유의성 존재
    • <부록 6> 7차 교육과정 생물Ⅰ, 생물Ⅱ 교과서 분석
    • <부록 7> 월간과학 잡지에 소개된 최근 13년간 복제 관련 자료
    • 초 록
    • 표 목 차
    • <표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징
    • <표 2> 생명복제 정보에 대한 인지정도
    • <표 3> 생명복제에 대한 정보를 가장 많이 접할 수 있는 매체
    • <표 4> 복제 양 돌리의 출생국
    • <표 5> 복원하고 싶은 멸종 동물
    • <표 6> 월간 과학 잡지나 과학서적 구독 여부
    • <표 7> 대중매체를 통한 생명공학 내용 중 가장 문제가 되는 점
    • <표 8> 가장 기억에 남는 생명복제 소재 영상
    • <표 9> 생명복제에 대한 수업을 가장 많이 받은 과목
    • <표 10> 생명복제에 대한 수업 내용
    • <표 11> 생명복제 기술을 통한 가장 큰 이점
    • <표 12> 복제 소의 고기 거래 시 구매 의사
    • <표 13> 인간 생명의 시작 시기
    • <표 14> 복제 동물 탄생을 위해 쓰여 진 수정란의 수
    • <표 15> 인간복제에 대한 찬성 의사
    • <표 16> 인간 복제에 대한 논문별 찬성/반대 비율
    • <표 17> 복제인간이 가장 먼저 탄생할 것 같은 국가
    • <표 18> 복제인간이 태어나면 안 되는 이유
    • <표 19> 생명윤리 교육을 받아야 하는 대상
    • <표 20> 인간이 유리한 쪽으로 변형되는 생명에 대한 인식
    • <표 21> 배아를 생명체로 인식하는 종교계 및 시민단체의 입장 지지 여부
    • <표 22> 배아 줄기 세포의 난치병 치료사용에 대한 찬성
    • <표 23> 생명복제에 대해 반대 입장을 가진 종교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628 20 죽음과 죽어감 임종기 환자 자기결정권 보호 방안 연구 : 사전의료의향서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 신성식 2014  418
    3627 18 인체실험 줄기세포를 이용한 재생의료산업의 미래전략 / 양윤선 2017  417
    3626 18 인체실험 미국에서의 특허적격(Patent Eligibility) 판단에 대한 연구 - 인간배아줄기세포와 컴퓨터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 이창화 2014  417
    3625 9 보건의료 병원윤리위원회의 역할, 구성 및 운영에 관한 연구/김상득 2015  417
    3624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 장기이식제도의 쟁점과 대안 / 김현철, 김휘원 2013  417
    3623 10 성/젠더 생명의료윤리 관점에서 소아기호증 상습성폭력범에 대한 성충동 약물치료의 정당성 논의 : 『성폭력범죄자의 성충동 약물치료에 관한 법률』주요 쟁점 / 차승현 2010  417
    3622 18 인체실험 국내 한방병원의 IRB 및 임상시험 실태조사 / 정희정, 박지은, 최선미 2010  417
    3621 20 죽음과 죽어감 현대인의 고유한 죽음에 관한 철학적 연구/ 배용준 2018  416
    3620 15 유전학 유전자조작 기술과 스포츠윤리 쟁점 연구 / 박성주 2018  416
    3619 1 윤리학 분배정의론이란 무엇인가? -자유주의 분배정의론의 쉬운 이해와 통괄적 연구를 위한 틀 / 김동일 2014  416
    3618 20 죽음과 죽어감 미국헌법상 안락사와 존엄사에 관한 연구 / 김명식 2010  416
    3617 22 동물복지 EU에서 동물복지와 실험동물 보호에 관한 연구 : EU화장품동물실험금지규정을 중심으로/이형석, 김정기 2018  415
    3616 4 보건의료 철학 말기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민감한 간호' 경험 / 권신영 2019  414
    3615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완화병동 간호사의 말기암환자 돌봄 경험/권수혜, 태영숙, 홍민주, 최금희 2015  414
    3614 19 장기 조직 이식 종설 : 장기기증을 위한 뇌사자 관리 / 길은미, 박재범 2015  414
    3613 8 환자 의사 관계 배려윤리에 근거한 환자-의사관계의 윤리 / 유수정 2009  414
    3612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비밀유지의무와 정보의 자기결정권 / 김형선 2018  413
    3611 19 장기 조직 이식 알콜성 간질환의 간이식 전 상담, 교육, 모니터링 / 김형숙 2018  413
    3610 1 윤리학 동물실험 교육과정에서 윤리교육 강화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 유동미 외 2014  413
    3609 1 윤리학 영상정보처리장치(CCTV)와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연구 / 장성수 2014  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