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3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헌법학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006855 

헌법재판소의 낙태결정(2010헌바402)에 대한 헌법적 검토
= Constitutional Study on the Abortion Decision of the Korean Constitutional Court


 
제어번호 100006855
저자명 정철  
학술지명 憲法學硏究
권호사항 Vol.19 No.2 [2013] 
발행처 韓國憲法學會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23-360(38쪽)
발행년도 2013년
KDC 362
등재정보 KCI등재
판매처 교보문고
 
초록
헌법재판소는 2012년 8월 23일에 업무상 낙태죄의 전제로서 낙태죄의 위헌여부에 대해 최초로 합헌결정을 내렸다. 헌법재판소는 태아를 생명권의 주체로 인정하여 태아의 생명권이 임부가 가지는 자기운명결정권에 기초한 낙태의 자유보다 더 중요한 헌법적 가치라고 선언하면서 생명의 성장단계에 따른 차등적 보호가능성 역시 수용하지 않았다. 첫째 헌법재판소가 임부의 낙태와 관련된 기본권을 헌법 제10조의 인격권과 행복추구권에서 비롯되는 자기운명결정권으로 포섭한 것은 임부의 낙태의 자유가 임부의 인격권에 기반한 권리임을 밝힌 것이어서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렇지만, 임부가 낙태에 직면하여 가지게 되는 사회적 상황을 자기결정권이라는 단일한 기본권적 시각으로 파악한 헌법재판소의 입장은 임부가 직면하는 교육, 노동, 양육 그리고 사회적 차별이라는 사회적 상황에 대한 이해를 소홀히 한 것이어서 향후 낙태문제의 인식에 한계로 작용할 수 있다. 둘째 태아를 생명권의 주체로 파악하여 태아의 생명을 지키려는 헌법재판소의 노력은 헌법질서에 비춰 정당한 것이었지만, 그 논거가 태아 자체의 이익이 아닌 인간존엄의 수호논리와 결합하여 태아의 기본권이 임부의 자기결정권의 행사와의 형량 속에서 인정될 수밖에 없다는 낙태상황을 헌법적으로 인식하는 것을 방해하고 말았다. 태아의 생명권은 그 생존의 기초가 임부의 신체에 의존한다는 태생적 한계로 인해 인간의 존엄과 가치에 기초한 임부의 자기결정권의 행사에 의해 일정한 제약을 수반해야 하는 상황에 있다. 인간의 생명권 역시 인격권에 기초한 자기결정권이 행사되는 제한적인 상황에서는 자기결정권의 행사와 형량 되어야 하는 경우도 있게 된다. 결국, 헌법재판소의 이번 결정은 낙태라는 기본권의 충돌상황을 받아들여 임부의 자기결정권의 행사를 제한하는 입법에 대해 과잉금지원칙이라는 심사기준을 사용했음에도 태아의 생명권을 중시하여 심사기준의 불철저한 적용을 함으로써 임부의 헌법에 기초한 권리실현을 저지하고 말았다. 그 결과 헌법재판소는 비록 합헌결정을 내렸음에도 불구하고 현재와 같은 국가의 불완전한 기본권 보호의무의 지속을 승인함으로써 장래 입법자의 낙태에 관한 입법형성의 자유를 상당부분 제약할 수 있는 상황을 조성한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Ⅰ. 서론
Ⅱ. 임부의 낙태에 관한 다층적 기본권 인정의 가능성
Ⅲ. 태아의 생명권의 주체성과 차별적 보호가능성
Ⅳ. 낙태죄에 있어 위헌심사기준과 그 적용의 비판적 검토
Ⅴ. 결어: 헌법재판소의 이번 결정과 입법자의 입법형성의 자유


주제어
낙태  ,태아의 생명권  ,임부의 자기결정권  ,태아의 인격성  ,생명의 잠재성  ,Abortion  ,fetus's right to life  ,self determination right  ,personhood of fetus  ,potentiality of lif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4068 8 환자 의사 관계 형법상 자기결정권에 관한 연구 / 이얼 2013  585
4067 14 재생산 기술 난임부부 지원제도 개선 방안 /이서영 2013  585
4066 14 재생산 기술 ‘세 부모 아이’ 대 ‘세 사람 아이’/하대청,차승현,김근,이연호,백수진,김명희 2015  584
4065 9 보건의료 로봇수술을 담당하는 간호사의 직무 인식 / 김혜원 2017  583
4064 19 장기 조직 이식 설문조사를 통한 생체 신장 공여자의 기증 후 건강상태와 건강증진 생활방식 / 남민경, 이두인, 권오정 2014  583
» 12 낙태 헌법재판소의 낙태결정(2010헌바402)에 대한 헌법적 검토 / 정철 2013  583
4062 9 보건의료 모바일 헬스케어에 대한 일반인과 의료인의 인식 차이 연구 / 안세은 2019  582
4061 15 유전학 희귀 미토콘드리아성 유전병에 대한 핵과 미토콘드리아 유전체로부터의 원인 돌연변이 규명 / 박지훈 2014  582
4060 4 보건의료 철학 중환자실 간호사의 심리적 외상(Trauma) 체험 / 고미숙 2016  582
4059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의 유효성 여부와 입법논의를 위한 제요소 연구 / 이봉림 2012  582
4058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모를 권리와 의사의 배려의무 / 석희태 2016  582
4057 16 환경 생체모방의 근본원리에 비춰본 4차 산업혁명 시대 생태문학의 의의/임도한 2018  580
4056 11 피임 응급피임약의 여성적 관점에 대한 성찰/유혜숙 2015  580
4055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인과 간호학생의 웰다잉 의미에 관한 주관성 연구 / 김선영, 허성순, 김분한 2014  580
4054 22 동물복지 실험동물의 사용과 사육관리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우상훈 2011  579
4053 1 윤리학 한스 요나스 책임윤리의 도덕교육에의 적용 / 김상철 2003  579
4052 18 인체실험 임상에서 정신건강의학과 의료윤리의 실제/임명호 2015  579
4051 1 윤리학 개인정보보호법상 통계작성 및 학술연구, 그리고 비식별화 : 개인정보보호법 제18조 제2항 제4호의 평가 및 입법론적 논의 / 김후신 2015  578
4050 9 보건의료 국제비교를 통한 산재보험과 건강보험의 수가체계 차등화에 대한 연구/김진수 외 2014  578
4049 20 죽음과 죽어감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임종기 치료, 연명치료,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 홍선우, 김신미 2013  5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