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3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명지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 철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014281 

Hegel 『법철학』에서 복지와 선



기타서명 Welfare and Good on Hegel's Philosophy of Right
저자 박종성
형태사항 i, 52 p. ; 26cm
일반주기  명지대학교
               지도교수:강순전
               참고문헌 : p. 49-50
               서지적 및 설명적 각주 수록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명지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 철학과 2016. 2
DDC 100 22
발행국 서울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6
소장기관 명지대학교 도서관(서울) 소장기관정보


 

초록
본 연구는 Hegel『법철학』에서 복지와 선의 관계에 관해 탐구한다. 복지는 욕구의 충족이거니와, 욕구는 근대 실천철학과 고대의 실천철학에서 다르게 규정된다. 근대적 개체성을 강조하는 Hobbes가 욕구를 인간 행동의 기본적인 원리라고 주장한 이래, 이를 계승한 Bentham 같은 공리주의자들은 욕구를 공동체의 차원에서 최대화하는 것이 선이라고 주하면서, 욕구의 지평을 확장한다. 다시 말해 이들은 고대적인 형이상학적 선을 부정하고 개별적 주체들의 욕구를 선으로 간주한다. 다른 한편 보편성의 입장에서 욕구를 파악하는 Kant는 여타의 실천철학자와는 다르게 욕구를 보편적 선으로 여기지 않는다. Kant에게 있어서 욕구는 특정한 개인에게만 타당한 것이며, 인간은 도덕적으로 선하며 보편적으로 타당한 법칙을 스스로 도출할 수 있는 자유로운 존재이기 때문이다. Hegel은 공리주의자들이나 Kant와 다르게 욕구개념을 규정한다. 그는 자연적 내용으로서의 욕구의 충족을 복지라고 규정한다. 그에 따르면 인간은 복지의 내용을 사유를 통해서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복지의 내용은 행복이라는 보편적이고 이성적인 체계의 계기로서 존재하는 것이므로, 복지는 적극적·긍정적 의의를 가진다. 더 나아가 Hegel은 복지가 보편적인 선을 의욕하는 양심에 이를 수 있다고 주장한다. 욕구에 관한 이런 관점을 통해 Hegel은 Kant적인 도덕적 형식주의를 극복할 수 있는 단초를 마련했으나, 선한 것을 욕구하는 양심은 아직 주관적일 뿐 객관적으로 타당하지는 않다. 양심의 단계에서는 선한 것을 욕구하는 기준이 자의에 머물러 있기 때문이요, 양심의 한계를 극복하려면 인륜성이라는 객관적인 기준이 요구된다.

 
목차
1. 서 론
2. 근대 실천철학에서의 욕구개념
(1) 공리주의에서의 욕구개념
(2) Kant의 욕구개념
3. Hegel의 복지개념과 이론적 근거
(1) 복지의 근거로서의 자유
(2) 복지의 도출 과정
(3) 이성적 체계 안에서의 복지
4. 선의 계기로서의 복지와 한계
(1) Kant적 한계의 극복으로서의 복지
(2) 복지의 한계
(3) 복지에서 양심으로의 이행과 양심의 한계
5. 결 론


주제어
Hegel, 윤리학, 욕구, 복지, 자유, 선, 양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243 9 보건의료 신종 감염병 대응에 대한 의료인의 윤리인식 : 메르스 대응을 중심으로 / 박혜자 2016  610
4242 9 보건의료 위험사회와 관료책임 / 김병섭 외 2016  208
4241 1 윤리학 학술연구논문 : 개인정보 보호의무 위반에 따른 배상 가능한 “손해”에 대한 고찰 / 오일석 2015  218
4240 2 생명윤리 생명윤리사상에 기초한 환경윤리교육연구 / 조윤미 2003  275
4239 2 생명윤리 생명중심 윤리사상에 기초한 환경윤리교육 : 고등학교 도덕 교과서를 중심으로 / 이미선 2008  426
4238 1 윤리학 지식정보 자산인 빅데이터(Big Data)활용에 관한 연구 / 김선영 2016  910
» 1 윤리학 Hegel 『법철학』에서 복지와 선 / 박종성 2016  170
4236 1 윤리학 중용(mesot?s)의 양적 또는 비(非)양적 해석 문제 : 『니코마코스 윤리학』에서의 ‘절제’, ‘용기’, ‘온화’를 중심으로 / 이정주 2016  432
4235 1 윤리학 칸트 법철학에서 형벌이론과 사형제도 정당화에 대한 연구 / 김세빈 2016  2315
4234 9 보건의료 응급실 간호사의 도덕적 고뇌 대응 경험 / 이나경 2016  649
4233 9 보건의료 좋은 죽음에 대한 윤리적 성찰과 모색 : 니체의 '운명애'와 레비나스의 '타자의 얼굴' 개념을 중심으로 / 임지연 2016  694
4232 1 윤리학 덕윤리 중심의 중학교 도덕교육제안 / 김승현 2015  242
4231 1 윤리학 본회퍼 『윤리학』 에서 자연적 생명의 권리에 대한 연구 / 김영수 2015  333
4230 2 생명윤리 샌델의 생명윤리에 관한 법철학적 고찰 / 박성민 2015  483
4229 20 죽음과 죽어감 유비쿼터스시대의 윤리적 행동에 관한 연구 : 과학기술문명사회의 공유와 감시체제를 중심으로 / 이지향 2015  210
4228 1 윤리학 도덕철학에서 왜 다시 덕이 문제인가 : 아리스토텔레스와 매킨타이어의 덕 윤리를 중심으로 / 김지윤 2015  2164
4227 15 유전학 유전체 서열 조합을 위한 차세대 염기서열 자료의 k-mer 분석 / 김민선 2015  722
4226 15 유전학 전유전체 서열 기반 한국인 참조 변이체 분석 연구 / 박선혜 2016  237
4225 15 유전학 인간 유전체에 관한 윤리 교육 연구 / 정은경 2004  141
4224 15 유전학 유전체 정보의 한우 육종 모델 적용에 관한 연구 / 이승수 2013  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