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KASL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963137 

응급 간이식의 준비
= Preparation for Emergency Liver Transplantation

  
 
제어번호 101963137
저자명 박지연 ( Ji Yeon Park )
학술지명 KASL(KASL)
권호사항 Vol.2016 No.1 [2016] 
발행처 대한간학회(The Kor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the Live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39-339(1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6년
판매처 한국학술정보

 
초록
저하와 함께 혈액 응고 및 의식 변화가 나타나는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만성질환을 가진 환자에서 감염이나 급성 간손상과같은 선행 인자에 의해 급성 악화 소견을 보이는 환자군을 acute-on-chronic liver failure (ACLF)로 정의한다. 급성 간부전으로 진행되는 경우 문진을 통해 간부전의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고 임상 증상에 따라 중환자실에서의집중관리가 필요하며 동시에 응급 간이식에 대한 준비가 필요하다. 급성 간부전은 사망률이 매우 높아 응급 간이식이 수일내에 이루어지지 않으면 뇌부종, 전신감염의 합병증으로 인한 사망 위험이 매우 높으며, 이식 전 환자의 상태는 이식 후 환자생존율에도 많은 영향을 미친다. 응급간이식이 필요한 경우, 적절한 생체 공여자가 없다면 응급도의 기준에 따라 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KONOS)를 통해 응급도의 기준에 따라 뇌사자 간이식 대기자 명단에 등록하고 응급등급1인 경우 우선적 배분을받게 된다. 그러나 뇌사 공여자가 부족한 국내 현실상 생체이식으로 진행하는 경우가 많아 신속하게 기증자의 의학적인 검사를 진행하고 정신건강의학과와 사회사업팀의 면담을 통하여 기증자로서 적합한 경우에 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의 응급 생체간이식에 대한 승인을 받고 수술을 진행하게 된다. 코디네이터는 환자 및 가족에게 수혜자의 검사 및 진행절차, 간이식 비용, 수술방법, 간이식 후 합병증, 간이식 후 관리, 재원기간, 수술 생존율등의 전반적인 사항과 기증자의 검사종류 및 행정적 승인절차, 입원기간, 회복기간, 간 기증 후 관리 및 주의사항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응급으로 진행하는 간이식의 불안감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간이식과 관련되는여러 부서와 원활하게 의사소통을 하여 성공적으로 이식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조정해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1328 9 보건의료 최신 연구 소개 : 진행된 간질환을 동반한 C형간염 환자에서 Direct Acting Antivirals를 통한 치료 / 정우진 2016  235
1327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간 공여자를 위한 상담 및 교육 / 손선영 2016  505
» 19 장기 조직 이식 응급 간이식의 준비 / 박지연 2016  418
1325 19 장기 조직 이식 종설 : 조직 및 장기 재생 분야에서의 3D 프린팅 기술의 적용 현황 / 안치범 외 2015  488
1324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신장 공여자의 공여 후 적응 경험 / 강다해솜 외 2016  18248
1323 17 신경과학 뇌과학 시대와 인지사회학 / 차영화 2016  587
1322 17 신경과학 나바에즈의 신경도덕교육 이론에 대한 평가 / 추병완 2016  321
1321 1 윤리학 칸트의 윤리학에 나타난 인간 존엄성의 근거와 보편 가능성으로서의 도덕법칙의 요청 / 김광연 2016  2028
1320 4 보건의료 철학 의학교육에서의 의료윤리 교육방법 / 김옥주 2016  110
1319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 윤리의식 교육 / 김선영 2016  90
1318 4 보건의료 철학 20세기 초 미국 의사들의 열대질병 연구와 상업적 후원 / 정세권 2015  252
1317 1 윤리학 학술연구논문 : 개인정보 보호의무 위반에 따른 배상 가능한 “손해”에 대한 고찰 / 오일석 2015  218
1316 9 보건의료 생후 90일 이하의 영아에서 호흡기 바이러스 검출과 관련된 위험인자 / 임연주 외 2014  332
1315 9 보건의료 세균, 바이러스 및 곰팡이에 대한 병원체 관련 수의학 용어의 우리말 표준화 / 류재면 외 2014  367
1314 9 보건의료 지카바이러스의 역사와 중남미 발생 상황의 이해 / 이재갑 2016  280
1313 9 보건의료 신종인수공통전염병의 출현 전망과 대응 전략 / 김우주 2016  1174
1312 9 보건의료 정부의 인수공통감염병 다부처사업 R&D 전략 및 로드맵 / 지영미 2016  320
1311 9 보건의료 환자 상태 정보를 활용한 메르스 치사율 추정법 / 황선영 외 2016  160
1310 9 보건의료 위험사회와 관료책임 / 김병섭 외 2016  208
1309 9 보건의료 공중보건 위기 상황 시 정보 정확성과 정보 적절성이 정부 신뢰와 만족에 미치는 영향 -메르스 사태를 중심으로 / 송동근 외 2016  4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