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대한인수공통전염병학회 창립총회 및 학술대회 초록집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889972 

신종인수공통전염병의 출현 전망과 대응 전략



 
제어번호 101889972
저자명 김우주 ( Woo Joo Kim ) 
학술지명 창립총회 및 학술대회 초록집
권호사항 Vol.2015 No.1 [2016] 
발행처 대한인수공통전염병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3-14(2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6년
판매처 한국학술정보 에서 제공하는 논문입니다.

 
초록
최근 20여년간 신종 및 재출현 감염병에 의한 유행이 세계적으로 인류에게 직접적인 보건의 위해를 끼침과 동시에 막대한 사회, 경제 피해를 초래하는 경우가 점차 빈발하고 있다. 신종감염병의 약 75%는 인수공통 또는 매개체 관련 감염병이 차지할 정도로 인수공통전염병이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인수공통전염병은 사람 감염병의 약 60%를 차지하기도 하며, 특히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신종감염병의 거의 대부분이 야생동물로부터 유래된 바이러스가 원인이다. 대표적인 신종감염병인 1997년 H5N1 조류인플루엔자바이러스, 2003년 사스코로나바이러스, 2009년 H1N1 신종인플루엔자바이러스, 2012년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코로나바이러스 등은 각각 야생 철새, 사향고양이, 돼지 및 낙타등이 자연계 병원소 또는 중간 증폭 숙주로 작용하여 사람감염을 초래하였다. 신종인수공통감염병의 대두는 병원균, 사람 및 환경적 요인들의 변화에서 비롯되고 있다. 병원균은 유전적 적응변화를 통하여 사람 감염 및 확산 전파능력을 획득하고 있으며, 사람의 요인으로는 인구학적 변화(노령화, 면역저하환자 증가 등), 행동의 변화, 국제교역 및 여행 증가, 생물테러, 항생제의 남용 등이 원인이 되고 있다. 환경요인으로는 기후 및 날씨변화(온난화 등), 생태계의 변화, 경제개발과 밀림 파괴, 가난과 사회 불평등, 도시집중화, 공중보건체계의 미비, 전쟁, 정치적 의지의 부재 등이 기여하고 있다. 특히 밀림에 있는 야생동물로부터 가축으로 신종병원균의 전파, 그리고 종간벽을 넘어서 사람이 감염되고, 종래에 사람-사람간 전파가 지속되어 세계적인 유행으로 치닫는 것이 전형적인 인수공통신종전염병의 출현 기전이다. 대표적으로 1981년에 시작된 HIV, 2003의 SARS-CoV 대유행이 좋은 본보기이다. 또한 모기, 진드기 등 매개체(vector) 관련 감염병이 지구 온난화, 국제교역 및 여행증가, 도시집중화 등 요인에 의하여 더욱 빈발해지고 광범위한 지역으로 확산되는 추세이다. 대표적으로 웨스트나일, 뎅기, 치쿤군야 및 지카바이러스 등의 출현 및 확산이 문제되고 있다. 신종인수공통감염병의 대두에 대한 대응전략으로는 사람-동물 접점에서의 감시체계를 통한 조기 발견, 신속 대응이 필수적인데 특히 신종감염병의 출현 빈도가 높은지역(hot-spot)을 겨냥한 집중감시가 필요하다. 인수공통감염병의 대응에는 임상, 동물 및 생태학 등 다양한 전문영역의 다학제 협력이 필수적이다. 정부도 보건부, 농림부, 환경부, 과학부 등 여러부처 기관들의 협업이 신종인수공통전염병의 통제 및 피해 죄소화에 중요하다. 또는 WHO, OIE 등 국제 보건기구와의 정보교환 및 공조를 통하여 세계적인 인수공통전염병의 발생을 파악하고, 예방 및 관리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신종인수공통전염병의 출현, 사람에의 전파 및 확산, 그리고 대유행에 이르기 까지 매우 복잡, 다단한 요인들이 개재되기 때문에 “One Health”라는 거시적, 포괄적 안목에서 사람, 동물 및 환경의 생태, 진화적관계에서 예방 및 관리 대비·대응 전략이 필요하다. 본 강의에서는 신종인수공통전염병의 발생현황, 대두요인, 영향 및 발생기전을 살펴보고, 국가적인 대비·대응 전략을 논의하고자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1328 9 보건의료 최신 연구 소개 : 진행된 간질환을 동반한 C형간염 환자에서 Direct Acting Antivirals를 통한 치료 / 정우진 2016  235
1327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간 공여자를 위한 상담 및 교육 / 손선영 2016  505
1326 19 장기 조직 이식 응급 간이식의 준비 / 박지연 2016  418
1325 19 장기 조직 이식 종설 : 조직 및 장기 재생 분야에서의 3D 프린팅 기술의 적용 현황 / 안치범 외 2015  488
1324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신장 공여자의 공여 후 적응 경험 / 강다해솜 외 2016  18248
1323 17 신경과학 뇌과학 시대와 인지사회학 / 차영화 2016  587
1322 17 신경과학 나바에즈의 신경도덕교육 이론에 대한 평가 / 추병완 2016  321
1321 1 윤리학 칸트의 윤리학에 나타난 인간 존엄성의 근거와 보편 가능성으로서의 도덕법칙의 요청 / 김광연 2016  2028
1320 4 보건의료 철학 의학교육에서의 의료윤리 교육방법 / 김옥주 2016  110
1319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 윤리의식 교육 / 김선영 2016  90
1318 4 보건의료 철학 20세기 초 미국 의사들의 열대질병 연구와 상업적 후원 / 정세권 2015  252
1317 1 윤리학 학술연구논문 : 개인정보 보호의무 위반에 따른 배상 가능한 “손해”에 대한 고찰 / 오일석 2015  218
1316 9 보건의료 생후 90일 이하의 영아에서 호흡기 바이러스 검출과 관련된 위험인자 / 임연주 외 2014  332
1315 9 보건의료 세균, 바이러스 및 곰팡이에 대한 병원체 관련 수의학 용어의 우리말 표준화 / 류재면 외 2014  367
1314 9 보건의료 지카바이러스의 역사와 중남미 발생 상황의 이해 / 이재갑 2016  280
» 9 보건의료 신종인수공통전염병의 출현 전망과 대응 전략 / 김우주 2016  1174
1312 9 보건의료 정부의 인수공통감염병 다부처사업 R&D 전략 및 로드맵 / 지영미 2016  320
1311 9 보건의료 환자 상태 정보를 활용한 메르스 치사율 추정법 / 황선영 외 2016  160
1310 9 보건의료 위험사회와 관료책임 / 김병섭 외 2016  208
1309 9 보건의료 공중보건 위기 상황 시 정보 정확성과 정보 적절성이 정부 신뢰와 만족에 미치는 영향 -메르스 사태를 중심으로 / 송동근 외 2016  4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