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3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토지공법연구 Vol.63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99878863 

비교법적 고찰을 통한 생명윤리법상 유전자진단 규정의 개선방안 연구  :  독일 유전자진단법과 비교를 통하여 살펴본 유전자진단법 제정 필요성 = Eine Studie über die Notwendigkeit des neuen Gendiagnostikgesetzes - Ein Vergleich mit deutschem Gendiagnostikgesetz




초록 ( Abstract )

  •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이 개정되어 2013년 2월 2일부터 시행되고 있다. 개정법률을 통해 생명윤리정책의 영역을 확대하여 인간 및 인체유래물로까지 확대되었고, 연구대상자 동의 권...
  •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이 개정되어 2013년 2월 2일부터 시행되고 있다. 개정법률을 통해 생명윤리정책의 영역을 확대하여 인간 및 인체유래물로까지 확대되었고, 연구대상자 동의 권리와 건강의 보호가 개선되었다. 또한 국가 및 기관 생명윤리위원회 등 생명윤리 인프라 확대를 위한 법적 근거를 강화하였으며, 인체유래물은행 및 유전자검사기관에 관한 규정을 정비하는 등 구법상 나타난 미비점이 개선·보완된 측면도 있다. 그러나 유전적 진단으로 범위를 제한하여 생명윤리법을 비교법적으로 살펴본 결과 현행 생명윤리법은 구법에서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던 사항들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어 개선이 필요하다고 본다. 특히 유전정보에 의한 차별 금지규정, 유전자치료, 유전자치료기관, 유전자검사기관, 배아와 태아의 유전자검사의 제한 등 유전자 관련규정, 유전자검사의 동의규정 등에서 문제점이 나타난다. 또한 생명윤리법이 유전적 정보의 보호 등과 같은 기본권보호를 담보하기 위하여 위해 필요한 중요한 규정들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점도 나타났다. 특히 설명의무, 동의능력 없는 사람의 동의, 친자확인을 위한 유전자 검사, 근로영역에서의 노동보호를 위한 유전자 검사, 유전자진단위원회 규정이 도입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이러한 문제점은 생명윤리법의 개정을 통해서도 해결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생명윤리법을 각 영역별 분법을 하는 방법을 취하여도 가능하다. 필자는 유전자 관련부분을 유전자진단법으로 분법을 하는 것이 기본권의 확보가 더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유전자진단은 유전자진단의 예외적인 허용상황에서 유전정보를 최대한 보호하여 정보자기결정권과 인간존엄을 보호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므로 생명윤리법이 가지는 입법목적과 그 목적을 달리하기 때문이다. 즉, 유전정보는 자신뿐만 아니라 자신의 가족까지도 관련이 있는 매우 중요한 생체정보이므로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더욱 보호가 필요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서는 생명윤리법에서부터 유전자진단에 관련된 부분을 분리하고 미비한 점을 보충하여 유전자진단법을 제정하는 것이 유전적인 특성에 근거한 차별을 저해하고, 특히 인간존엄에 대한 존중 및 보호에 대한 국가적 의무와 정보의 자기결정권을 지키기에 더욱 부합하는 방식이라고 생각한다.



    목차 ( Index )

    국문초록

    Zusammenfassung

    Ⅰ. 서론

    Ⅱ. 독일 유전자진단법의 주요내용 고찰

    Ⅲ. DNA-감정서와 개인정보자기결정권에 대한 연방헌법재판소의 결정

    Ⅳ. 현행 생명윤리법상 유전자진단관련 규정의 헌법적 문제점 및 개선방향

    Ⅴ. 결론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868 13 인구 저출산·고령화 사회의 여성 경제활동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이선숙 2005  499
    3867 15 유전학 연구논문 : 치료과정에서 적출한 인체 구성부분의 이차적 이용에 따른 법률문제 / 이정현, 이재목 2006  499
    3866 14 재생산 기술 유전자편집 기술의 발전에 대응한 인간배아 유전자치료의 규제방향 / 박대웅, 류화신 2016  498
    3865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연구의 생명윤리담론 분석 : 한국 기독교와 불교를 중심으로 / 박상언 2012  498
    3864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환자의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시기에 대한 분석 : 후향적 코호트 연구 / 안아름 2012  498
    3863 15 유전학 유전자 검사와 치료에 따른 윤리적 문제 고찰/우재명 2002  497
    3862 8 환자 의사 관계 소아청소년과 의료소송 판결문 분석을 통한 의료사고 원인파악과 재발방지 대책 / 이동엽 2014  497
    3861 15 유전학 인체 유래 물질과 관련된 계약 / 김장한 2007  496
    » 14 재생산 기술 비교법적 고찰을 통한 생명윤리법상 유전자진단 규정의 개선방안 연구 / 신옥주 2013  495
    3859 15 유전학 ‘유전정보를 모를 권리’의 윤리적·법적 근거와 실현 방법 / 유호종 2014  494
    3858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일개 대학 간호학생의 성별, 윤리적 가치관 및 생명의료윤리 특성이 생명의료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 / 정계선 2013  494
    3857 1 윤리학 포스트휴먼은 인간의 존엄성을 위협하는가? / 이재숭 2018  493
    3856 9 보건의료 의료협동조합의 의료기관 개설·운영 현황과 문제점 및 개선방안 - 의료기관 개설기준 위반을 중심으로 -/김준래, 백남복, 이윤학 2015  492
    3855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와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우리나라의 최근 동향 / 최지윤, 권복규 2009  492
    3854 5 과학 기술 사회 의료기기 재활로봇 (로봇보조정형용운동장치) 국내 허가ㆍ심사 가이드라인 개발/배영우 외 2018  491
    3853 15 유전학 착상 전 유전자 진단에 관한 연구/서계원 2012  491
    3852 22 동물복지 동물실험은 윤리적으로 옹호 가능한가?/최훈 2016  491
    3851 22 동물복지 동물윤리와 과학적 창의성 사이의 정합적 관계 : 동물행동학을 중심으로 / 하대청 2009  491
    3850 15 유전학 의료윤리분야 유전기술의 발전에 따른 도덕적 정당성 논쟁에 대한 고찰/정창록 2017  490
    3849 19 장기 조직 이식 비 혈연간 생체 신장이식 후 이식신장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에 관한 연구 / 전경옥 2004  4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