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3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경제와 사회(Economy and society )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Article/3105971 

* 연구원 및 도서관내에서 무료열람가능한 자료임.

 

 

 

생명정치의 사회과학, 어떻게 할 것인가? = How to Do the Social Scientific Study on Biopolitics?

 

 

 

  • 저자명 : 김환석
  • 학술지명 : 경제와 사회(Economy and society )
  • 권호사항 : Vol.- No.97 [2013]
  • 발행처 : 비판사회학회(구, 한국산업사회학회)
  • 발행처 URL : http://www.criso.or.kr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13-38(26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3년
  • KDC : 305.000
  • 등재정보 : KCI등재
  • 주제어 : 생명권력 ,생명정치 ,통치성 ,생명사회성 ,생물학적 시민권 ,생명자본 ,생의료화 ,biopower ,biopolitics ,governmentality ,biosociality ,biological citizenship ,biocapital ,biomedicalization
  •  

    초록

     

    21세기가 되면서 서구에서는 인간의 건강과 생명 자체가 가장 중요한 정치적 쟁점과 관심사로 부상하고 있다. 최근 서구의 사회과학자들은 푸코의 ‘생명권력’과 ‘생명정치’ 그리고 ‘통치성’ 개념들을 활용하여 생명에 관한 21세기의 정치를 분석하려는 시도를 활발히 전개해왔다. 이 글은 푸코 이래 그러한 시도가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가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앞으로 한국의 생명정치에 대한 사회과학 연구를 위해서 이들로부터 유용한 개념과 이론적 통찰 그리고 방법론을 도출하고자 시도한다. 먼저 생명정치의 연구에서 선구적으로 기여를 한 푸코의 이론을 살펴보고, 이를 수정하여 거대담론으로 발전시킨 아감벤의 ‘호모 사케르’ 이론과 하트 및 네그리의 ‘제국’과 ‘다중’ 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그 다음에 이런 거대담론과는 달리 생명정치에 대한 경험적 연구를 추구 해온 대표적 사회과학 이론들로서 네 가지를 검토하였는데, 그것은 래비노우의 ‘생명사회성’ 이론, 로즈의 ‘생명 자체의 정치’ 이론, 순데르 라잔의 ‘생명자본’ 이론, 그리고 클라크의 ‘생의료화’ 이론이다. 이들은 모두 인간게놈프로젝트로 대표되는 생명과학의 발전이 21세기 생명정치의 전개에 큰 영향을 주고 있음을 주목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이 글은 생명정치를 생태정치나 기술정치 등과 함께 비인간 사물의 역할을 중요시하는 ‘사회물질적인 것의 정치’의 일부로 간주할 것을 제안하며, 한국 등 비서구 나라들의 생명정치에 대한 경험적 연구를 촉구하는 것으로 결론을 맺는다.

     

     

    목차

     

  • 1. 문제의 제기
  • 2. 선구적 기여: 미셸 푸코
  • 3. 거대 담론의 대두
  • 4. 경험적 이론의 전개
  • 5. 평가와 대안
  • 참고문헌
  • Abstract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8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가 낳은 자녀에 대한 친양자 입양 / 전혜정 2011  556
    47 14 재생산 기술 연구논문 : 보조생식의료의 법제화를 위한 제언 - 자(子)의 법적 지위를 중심으로 / 이정현 2011  397
    46 14 재생산 기술 연구논문 : 대리모에서의 모성 결정에 관한 고찰 / 이인영 2011  811
    45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 논란에 대한 법리적 이해 / 김향미 2012  534
    44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의 유효성 여부와 입법논의를 위한 제요소 연구 / 이봉림 2012  582
    43 14 재생산 기술 중국에서의 대리모 법적 제문제에 관한 소고 / 이화 2011  230
    42 14 재생산 기술 일반논문 : 대리출산의 헌법적 논의 / 이병규 2013  599
    41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에 관한 입법론적 연구 / 김상찬 2013  596
    40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의 효력에 관한 소고 / 한삼인, 김상헌 2013  294
    39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에 관한 연구 / 이봉림 2008  360
    38 14 재생산 기술 생명공학기술과 대리모의 행위성 / 이은주 2008  484
    37 14 재생산 기술 학술대회 발표논문 : 대리모에 의한 출산자의 모자관계 / 이영규 2010  526
    36 14 재생산 기술 대리임신의 문제점에 관한 고찰 / 백승흠 2007  807
    » 2 생명윤리 생명정치의 사회과학, 어떻게 할 것인가? /김환석 2013  363
    34 10 성/젠더 성인지적 관점에서 본 모성보호의 사회법적 한계 / 손미정 2014  548
    33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제언 / 김현주, 허정식 2013  445
    32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의 허용요건과 법제화의 방향 / 주호노 2013  601
    31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의 돌봄 / 엄영란 2014  531
    30 9 보건의료 연구논문 : 병원의료윤리위원회를 둘러싼 법적문제에 대한 연구 / 이재경 2014  797
    29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인의 전통 죽음관 / 권복규 2013  8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