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FDC법제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6047090 
재사용가능의료기기의 평가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 저자[authors] 신승우,김인아,유우진,민효기,김동빈,공석경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FDC법제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3No.2[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에프디시법제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05-112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재사용가능의료기기, 세척밸리데이션, 소독밸리데이션, 멸균밸리데이션,Reusable Medical Devices, Cleaning validation, Disinfection validation, Sterilization validation



국문 초록[abstracts] 
재사용가능의료기기(Reusable Medical Devices)는 한명 이상의 환자에게 사용하거나, 한 환자에게 여러 번의 시 술과정에서 사용할 목적으로 세척, 소독 또는 멸균 등의 재처리(Reprocessing)를 수행하여야 하는 의료기기이다. 세척, 소 독, 멸균 등 재처리방법은 환자간 교차감염 방지를 위해 그 유효성이 입증되어야 하며, 이는 밸리데이션 등으로 입증 할 수 있다. 미국 등 해외 선진국에서는 재처리 밸리데이션을 위한 가이드라인이 및 시험규격이 발간되고 있으나, 국 내에서는 아직 구체적인 밸리데이션 기법에 대한 안내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세척, 소독 및 멸균 밸리데이션 시 필요한 기술적 이해를 돕고, 과학적인 밸리데이션의 기술적 적용을 위한 해외 관련 정보 및 각 밸리데이션 기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작성된 재사용가능의료기기 평가 가이드라인을 통해 세척, 소독, 멸균 등 밸리데이션 수행 시 참고 기술자료뿐만 아니라 국내·외 인허가시 요구되는 대응자료로서의 활용을 기대한다.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Reusable Medical Devices is a medical device that is used for more than one patient or for a patient to perform reprocessing such as cleaning, disinfection, or sterilization for use in multiple procedures. Reprocessing methods, such as Washing, disinfection, and sterilization, should be proven effectiveness to preventing cross infection between patients, which can be proved by validation and the like. Guidelines and test standards for reprocessing validation are published in advanced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but there is not enough information on specific validation techniques in South Korea. For this purpose, this study provides the technical understanding necessary for cleaning, disinfection and sterilization validation, and describes overseas related information and validation techniques for technical application of scientific valida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used not only as reference data but also as technical data for domestic and foreign certification when conduct the reprocessing validation such as cleaning, disinfection, and sterilization.

목차[Table of content] 
초록  I. 서론  II. 본론  1. 재사용가능의료기기의 분류  2. 국내·외 관련 자료 조사·분석  3. 재사용가능의료기기 평가 가이드라인 마련  III. 검토 및 고찰  VI. 결론  감사의 말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3548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치료제의 규제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 김현수 2016  109
3547 9 보건의료 의료취약계층환자의 진료시 바람직한 헬스커뮤니케이션 도구 개발 / 김재윤 외 2018  109
3546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자살생각을 높이는 지각된 짐스러움과 절망감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역할 / 전영선, 허창구 2019  109
3545 9 보건의료 한국 의료서비스 이용과 제공의 공간적 특성 / 양호민 2018  110
3544 19 장기 조직 이식 Tissue Procurement System in Japan: The Role of a Tissue Bank in Medical Center for Translational Research, Osaka University Hospital 2010  110
3543 4 보건의료 철학 의학교육에서의 의료윤리 교육방법 / 김옥주 2016  110
3542 9 보건의료 임상시험과 환자를 위한 구체적 의료행위의 구분기준에 관한 고찰 / 강한철 2013  110
3541 14 재생산 기술 한국의 시험관아기 시술 30년, 거버넌스의 부재와 위험의 증가: 전문가 역할을 중심으로 / 하정옥 2014  110
3540 5 과학 기술 사회 제품안전관리를 위한 나노물질 규제정책 도입평가 연구 / 서정대 2014  110
3539 15 유전학 인간 유전체에 존재하는 크리스퍼 유전자가위의 비표적 염기서열 분석 방법 / 엄숭호 2015  110
3538 9 보건의료 의료광고가 의료기관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변성진 2009  110
3537 9 보건의료 고령사회를 위한 사물인터넷 융합 디지털 헬스케어 사용자 경험 디자인 연구 / 엄주희 2017  110
3536 9 보건의료 생체정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에 관한 연구 / 김현철 2006  110
3535 14 재생산 기술 국제대리모계약을 둘러싼 법적 친자관계 쟁점에 관한 헤이그국제사법회의의 최근 동향 분석 및 시사점 / 이병화 2017  110
3534 14 재생산 기술 한방난임사업에 대한 의학적·통계학적 관점에서의 평가 / 채유미 외 2018  110
3533 4 보건의료 철학 공중보건위기 상황에서 병원의 의사결정 과정 - '합리성에 관한 책무'의 적용 - / 홍지수 2018  110
3532 20 죽음과 죽어감 네덜란드 장기요양제도의 최근 동향 / 연희진 2017  110
3531 9 보건의료 응급실에서 간과하기 쉬운 의료사고 유형 / 이인재 2018  110
3530 17 신경과학 집단 간 편견(inter-group prejudices)의 신경과학적 이해 / 추병완 2018  110
3529 9 보건의료 “헬스케어 분야의 우버”를 통한 왕진(on-demand doctor house call) 서비스 최근 동향 / 임지연 2019  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