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倫理硏究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6106476 
 인간과 인공지능의 공존 가능성에 대한 탐색: 책임의 윤리와 문학적 상상력 
= Exploring the Coexistence of Human and Artificial Intelligence:Ethics of Responsibility and Literary Imagination
  • 저자[authors] 박소영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倫理硏究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No.124[2019]
  • 발행처[publisher] 한국윤리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7-35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9
국문 초록[abstracts] 
오랜 기간 동안 인간은 문명과 사회를 발전시키기 위해 자신들이 만든 도구 혹은 기계와 지속적으로 관계를 맺어 왔다. 제 4 차 산업 혁명 시대 또는 포스트휴먼 시대로 접어들면서 인간과 기계와의 관계는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고 이 시대의 가장 중요한 문제 중 하나가 되었다. 인공 지능 시대에 우리는 인간과 기계의 경계에 대한 근본적인 혼란에 직면해 있다. 인간을 닮은 기계인 인공지능의 출현이 예견되면서 인간과 기계의 공존이라는 주제는 책임의 윤리를 동반하게 된다. 이 연구는 두 개의 공상과학 소설을 중심으로 인공지능과의 공존을 위한 책임의 윤리를 다룬다. 하나는 최초의 공상과학 소설로 잘 알려진 메리 셸리(Mary Shelly)의 『프랑켄슈타인』(Frankenstein, or Modern Prometheus) (1818)이고, 다른 하나는 현대 공상과학 소설의 대표작 중 하나인 필립 K. 딕(Philip K. Dick)의 안드로이드는 전기양의 꿈을 꾸는가?』(Do Androids Dream of Electric Sheep?)(1967)이다.『프랑켄슈타인』에서, 우리는 인간과 동물의 사체를 접합한 후 전기충격을 가해 생명체를 만들어 내는 제목과 같은 이름의 과학자를 만난다. 『안드로이드 전기양의 꿈을 꾸는가?』에서 우리는 종말론적 상황에 처한 미래를 만나게 된다. 두 편의 소설을 읽음으로써 우리는 인공 지능과의 공존을 위한 책임에 윤리에 대한 문학적 상상력의 가능성을 접하게 된다.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Over the long period of time, humans have continually made relationship with the tools and machines we have made to develop our civilization and society. As we are entering into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or the Post-human era, our relationship with machines has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or the Post-human era, more specifically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AI), we are facing a fundamental confusion about the boundary between human and machine.  In this paper, I will contemplate the question of the coexistence of human and machine, more specifically human and AI. For my research, I choose two science fictions. One is Frankenstein, or the Modern Prometheus(1818) by Mary Shelly, and the other is Do Androids Dream of Electric Sheep?(1967) by P. K. Dick. In Frankenstein, we meet a scientist by the same name of the title who creates and brings life to a manlike monster that turns on him and eventually destroys his life into dystopia. In Do Androids Dream of Electric Sheep?, we encounter future world living with androids, a kind of AI, in the earth of apocalyptic situation. By reading the two novels, I would like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literary imagination of ethical responsibility for coexistence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4568 7 의료사회학 임상간호사의 동료 간 갈등극복 경험 / 배주영 2016  2412
4567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아기시술에 관한 생명윤리적 쟁점에 대한 연구 / 신미향 2013  2410
4566 15 유전학 유전자 조작 생물(GMO)에 대한 초,중,고 학생들의 인식 조사 / 이혜정, 이진경, 민윤숙, 최진영, 심규철 2010  2345
4565 15 유전학 [번역문] 유전자 형질변환 식품의 실험에 대한 철학적 견해 / Andrew Woodfield 2015  2313
4564 1 윤리학 칸트 법철학에서 형벌이론과 사형제도 정당화에 대한 연구 / 김세빈 2016  2306
4563 13 인구 저출산 정책과 해결방안 연구 / 최문숙 2007  2292
4562 2 생명윤리 사형제도의 윤리적 정당성 : 사형에 대한 응보론적 논증을 중심으로 / 이윤복 2018  2246
4561 18 인체실험 배아복제 기술의 윤리적 문제와 줄기세포 연구의 한계 / 김광연 2015  2236
4560 4 보건의료 철학 4차 산업혁명과 간호 인적자원의 개발 / 김광점 외 2018  2224
4559 9 보건의료 병원윤리위원회 조직과 기능 및 활성화 방안 연구 / 김중호, 한성숙, 엄영란, 구인회, 서철, 홍석영 2004  2207
4558 13 인구 다문화가족 지원정책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김동성 2016  2206
4557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 산업의 윤리적 문제와 해결방안 : 비상업적 대리모의 법적 보호를 중심으로 / 권은지 2015  2201
4556 1 윤리학 도덕철학에서 왜 다시 덕이 문제인가 : 아리스토텔레스와 매킨타이어의 덕 윤리를 중심으로 / 김지윤 2015  2159
4555 1 윤리학 비혼모의 출산 및 양육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최보희 2018  2151
4554 23 연구윤리 연구 윤리와 위반사례 예시 / 윤영훈 2018  2144
4553 1 윤리학 미래 의료용 나노로봇기술이 가져올 수 있는 해악 및 그 방지를 위한 입법적 개선방안 제언 ― 표적치료제 나노로봇을 중심으로 ― / 정천교 2018  2105
4552 1 윤리학 헌법상 행복추구권의 의미와 실현구조 / 장영수 2017  2072
4551 2 생명윤리 피터 싱어의 생명 윤리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정창록 2012  2070
4550 15 유전학 유전자가위를 이용한 유전자교정 및 유전자치료 / 김형범, 김희권 2015  2062
4549 5 과학 기술 사회 4차산업혁명, 인공지능 시대의 교육 / 김진형 2016  2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