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문학과 환경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435079 


생체모방의 근본원리에 비춰본 4차 산업혁명 시대 생태문학의 의의 

= The Significance of Eco-literature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Based On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Bio-mimicry



  • 저자[authors] 임도한(Lim, Do-han)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문학과 환경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7No.2[2018]
  • 발행처[publisher] 문학과환경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215-243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생태시,생태문학,4차 산업혁명,생체모방,나노기술,자족성,Eco-poetry,Eco-literature,4th Industrial Revolution,Bio-mimicry,Nano-Technology,Self-sufficiency



초록[abstracts]

[이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생태문학의 의의를 진단한 것이다. 지금까지 기술문명이 반 생태적 결과를 낳았기 때문에 생태학과 생태문학은 기술문명에 비판적인 성향을 보인다. 그런데 4차 산업혁명의 주요 기술 중 하나인 생체모방은 생태학과 유사한 성격을 지닌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생체모방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생물의 생체적 기능과 메커니즘에서 영감을 얻어 공학적으로 응용하는 기술이다. 생체모방의 근본원리는 자연의 성격에서 도출한 4개와 자연을 대하는 태도에서 찾은 4개를 더하여 모두 8개로 정리할 수 있다. 먼저 자연의 성격으로 도출한 것으로서 자연의 자족성, 자연의 협동성, 자연의 지역성, 형태의 기능성이 있고, 생체모방학자들이 자연을 대하는 태도에서 찾은 것으로서 자연에 대한 존중감, 자연의 현상과 피조물을 섭리를 지닌 존재로 보고 그것을 찾으려는 태도, 자연에 대한 욕망 자제, 자연의 일부로서 인간과 자연의 건강한 미래를 지향하는 임무 의식이 있다.    이러한 근본원리를 생태시와 비교하면서 고찰한 결과 각각의 근본원리가 생태시 작품의 핵심 문제의식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자연의 현상 속에 작동하는 생태 중심적 섭리를 간파하고 형상화하는 생태시인의 문제의식과 생태모방학자의 문제의식이 거의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생체모방 기술에서 만족할만한 성과가 나온다면 환경 손실을 최소한으로 하면서 기존의 어느 기술보다 큰 이익을 가져올 수 있다. 경제적 욕망을 억제해야 한다는 점이 개인의 생태 중심적 실천에 큰 제약이 되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생체모방의 경제성의 생태 중심적 실천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다.    생태문학은 개인의 바람직한 자각을 이끄는데 기여하는 측면에서 생체모방 기술의 발전과 대립하지 않고 상호 보완적으로 발전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significance of eco-literature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cology and eco-literature show critical disposition in technological civilization since it has been producing anti-ecological results until now. However, bio-mimicry, one of the main technologi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a similar nature with ecology.    Bio-mimicry is an applied engineering technique inspired by biological functions and mechanisms of living organisms. The basic principle of bio-mimicry can be organized into eight categories by summing up four characteristics of nature and four attitudes toward nature. The four characteristics of nature are self-sufficiency, cooperativeness, locality and form functionality of nature, where the other four attitudes toward nature found by biomimetic scientists consist of respect towards nature, the act of seeing nature’s phenomena and creation as being of providence, a supression of one’s desire for nature, and feeling an obligation to aim for better future of men and nature as being a part of nature itself.    As a result of comparing these fundamental principles with ecopoetry, it was confirmed that each fundamental principle acts as a key problem in the work of ecological poetry. Especially, it was found that the awareness of the eco-poets who see and shape the eco-centered providence working in the phenomenon of nature are almost in agreement with biomimetic scientists.    If satisfactory results are achieved in bio-mimicry technology, it can bring greater benefits than any existing technology while minimizing environmental losses. Given the fact that the suppression of economic desire is a major constraint on the individual’s ecological centered practice, bio-mimicry technology will also contribute greatly to the ecological centered practice of economic efficiency of bio-mimicry.    Eco-literature will complement each other without obstructing the development of bio-mimicry technology in terms of contributing to the desirable awareness of individuals.]



목차[Table of content] 


1. 생태문학의 반기술문명적 성향과 4차 산업혁명의 대두  

2. 생체모방의 근본 원리와 생태시(생태문학)의 유사성  

3. 4차 산업혁명 시대 생체모방의 발전과 생태문학의 의의  

인용문헌  

국문초록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268 14 재생산 기술 한국의 대리모제도 : 그 입법론적 연구 / 박동진 2010  772
4267 12 낙태 생명존중의 관점에서 본 낙태의 윤리적문제 고찰 / 류인자 2010  767
4266 2 생명윤리 ';4원칙주의 생명의료 윤리'와 칸트 도덕철학= Principles of Biomedical Ethics and Kant`s Moral Philosophy / 김종국 2016  766
4265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한국과 일본의 간호사가 경험하는윤리적 딜레마와 대처유형의 비교연구 / 콘도 에미 2012  766
4264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심폐소생술 비 시행(DNR)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 : 일부종합병원 중심으로 / 전명희 2008  763
4263 12 낙태 독일과의 비교를 통해 본 한국의 낙태문제 / 메르베지벨렉 2018  759
4262 2 생명윤리 중등 교육 과정에서의 생명 존중 교육에 관한 연구 : 도덕·윤리 교과를 중심으로 / 장정훈 2002  759
4261 14 재생산 기술 한스 요나스의 인간복제 비판 연구 / 유석만 2007  758
4260 14 재생산 기술 헌법상 배아의 인간존엄성과 생명권에 관한 연구 / 김용범 2010  758
4259 5 과학 기술 사회 뇌졸중 환자의 엄지손가락 재활운동을 위한 직교형 엄지손가락 재활로봇 개발/김현민 외 2012  758
4258 20 죽음과 죽어감 중년 여성의 호스피스 자원봉사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강선미 2016  756
4257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부분 간이식후 1개월내 총빌리루빈 재상승 환자에서 Biliary Canalicular Transporter 유전자 mRNA 발현 / 최종영, 조세현, 윤승규, 양진모, 한준열, 안병민, 이영석, 이창돈, 차상복, 정규원, 선희식, 김소연, 김동구 2003  756
4256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있어서 의사결정과정의 구체적 쟁점 / 이재경 2013  754
4255 20 죽음과 죽어감 완화의료 일당정액수가제 시행에 따른 진료비와 진료행태의 변화 / 임문남 외 2019  752
4254 9 보건의료 의료에 있어서 미성년자의 자기결정권 / 김상찬 2011  752
4253 15 유전학 CRISPR-Cas9 사용이 제기하는 윤리적 질문들 / 전방욱 2016  747
425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과 연명의료중단 / 장병주 2017  745
4251 9 보건의료 "핀핀코로리(ぴんぴんころり)의 비밀": 일본 나가노현 사쿠시에서의 생명정치와 노년의 자기윤리 / 김희경 2015  744
4250 20 죽음과 죽어감 소극적 안락사에 대한 연구 / 안모원 2018  742
4249 2 생명윤리 생명권과 생명가치에 대한 연구 :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을 중심으로 / 김휘원 2010  7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