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大同哲學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351287 
원격의료에서 의료전문직을 위한 실천원리로서 프로네시스(phronesis)

  • 저자[authors] 김진경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大同哲學
  • 권호사항[Volume/Issue] Vol.82No.-[2018]
  • 발행처[publisher] 대동철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63-84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원격의료, ICT 보건 의료, 의료전문직, 아리스토텔레스, 프로네시스, Telemedicine, ICT healthcare, Medical Profession, Aristoteles, Phronesis

초록[abstracts] 
[원격의료는 대개 의사와 환자가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의료 행위 내지 환자와 의사 간의 비대면 의료행위를 지칭하며, 정보통신기술을 매개로 하는 것을 의미한다. 최근 원격의료가 활성화됨에 따라 보건의료 체계는 변화하고 있으며, 그 결과 이로 인해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에 대한 신중한 논의가 요청되고 있다. 특히 원격의료 상에서는 컴퓨터를 이용한 의료 정보의 처리가 광범위하게 일어나게 되며, 이에 따라 환자의 의료 정보가 잘못 취급됨으로써 개인 정보 유출 및 사생활 침해 등이 심각한 문제로 떠올랐다. 또한 환자의 치료에 있어 환자와 의사의 신뢰 및 공감 형성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직접적인 대면 관계를 통해 환자에 대한 치료를 도모하지 않고 온라인 장치를 통해 환자와의 관계를 형성하는 원격 의료에서는 전통적인 환자-의사 관계 이상의 신뢰 및 책임감이 요청된다. 이러한 점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프로네시스는 원격의료에서 의료전문직의 실천 원리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프로네시스는 훌륭한 행위를 하는 데 필요한 지식으로서의 ‘실천적 지혜’를 의미한다. 따라서 프로네시스는 상황의 특수성 및 개별성에 대한 고려를 바탕으로 보편적인 지식을 활용하여 지금 내가 행동해야 할 행위에 대한 판단을 내리고 지금 이 상황에서 내가 어떻게 행동하는가에 관심을 둔다. 원격의료에서 개별 환자의 다양성과 의료 체계의 복잡성 속에서 의료전문직의 유능함은 과학적인 의학 기술의 습득과 더불어 환자의 상태 및 맥락을 적절하게 해석하는 능력과 여러 가지 대안들 가운데 최선의 치료 행위를 선택하는 통찰력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의료인은 원격의료 시 개별 환자에게 적절한 최선의 치료 행위를 결정하기 위해 구체적인 상황에서 요구하는 특수한 행동 과정을 숙고해야 한다는 점에서 프로네시스는 의료인에게 중요한 실천원리가 된다.

Telemedicine refers to a medical action where the patient and the physician are remote from each other, or where the two don’t meet face-to-face. It use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s its medium. Recent developments of telemedicine are changing the public medical system. As a consequence, some problems are taking place, which need to be carefully discussed. For instance, telemedicine involves processing a wide range of medical information on the computer. At this time, some serious problems might happen. They include a wrong treatment of medical information that brings about the leakage of patients’ personal information or the infringement of their privacy. In telemedicine, additionally, patient-physician relationships are just formed online without face-to-face meeting despite trust and sympathy between he patient and the physician are quite important in medical treatment. So telemedicine needs trust and responsibility more than needed under traditional patient-physician relationships. Aristotle’s phronesis may be an important principle under which medical professionals practice telemedicine. Phronesis refers to knowledge required for good actions, that is, ‘practical wisdom’. The point of phronesis is that you should judge and decide how to behave given a current situation by using conventional knowledge, bu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ity that situations may have. Medical professionals’ competence in telemedicine given lots of different patients and complications of the medical system may be dependent on how they can obtain the scientific knowledge of medical technology and use them to properly interpret the status and contexts of individual patients and how they can use their own insights to choose the best from alternative actions of treatment. Under the principle of phronesis, in other words, medical professionals should contemplate different actions specific for different situations before deciding the process of treatment that is best for individual patients in telemedicine.  ]

목차[Table of content] 
Abstract   1. 머리말   2. ICT 발달에 따른 미래 의학의 새로운 패러다임    가. ICT 보건의료기술에 따른 의료 체계의 변화    나. 원격의료의 특성과 의료전문직의 역할   3. 실천적 삶을 위한 덕, 프로네시스    가. 프로네시스의 이해    나. 프로니모스로서 의료인   4. 실천원리로서 프로네시스의 의의   5. 맺음말   참고문헌   요약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068 15 유전학 유전체 네트워크의 일반성과 특이성을 반영한 질환-유전자 예측 / 남용현 외 2018  57
4067 5 과학 기술 사회 신체증강 기술과 덕 윤리 / 김광연 2018  77
4066 5 과학 기술 사회 포스트휴먼 시대 인간의 조건이란? -사이언스 픽션 영화에 재현된 복제인간의 정체성 문제 / 천현순 2018  1688
4065 5 과학 기술 사회 프랑스의 나고야의정서상 접근 및 이익 공유(ABS)에 관한 국내이행 법제 동향 / 김두수 2018  102
4064 20 죽음과 죽어감 소위 ‘연명의료결정법’에 대한 법리적 검토 / 안병하 2018  90
4063 20 죽음과 죽어감 소위 연명의료결정법의 법적 쟁점 및 과제 -환자중심의료를 중심으로- / 이무선 2018  149
4062 20 죽음과 죽어감 Sun-390 : 암환자에서 사전연명의료계획서의 작성과 호스피스 이용 / 김진항 외 2018  94
4061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의사에 반하는 연명의료 중단ㆍ유지와 손해배상 / 이재경 2018  4433
4060 20 죽음과 죽어감 비뇨의학전문의로서 연명의료결정법의 이해 / 허정식 2018  76
4059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에 관한 법적 검토 - 개인정보보호를 중심으로 - / 김근령 외 2018  268
4058 20 죽음과 죽어감 일본의 자살예방 대책 / 정진욱 2018  191
4057 9 보건의료 왜, 지금 초고령사회 일본은 지역 & 재가의료에 집중하는가 / 김춘남 2018  68
4056 4 보건의료 철학 4차 산업혁명 대비 보건의료 산업분야종사자를 위한 융합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김선정 외 2018  81
4055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의료기관 사회적 책임활동 측정 도구개발 및 타당화 / 조경원 외 2018  65
4054 9 보건의료 트랜스젠더 트랜지션 의료의 건강보험 보장에 대한 소고 / 박한희 2018  198
4053 9 보건의료 의료정보정책 및 디지털헬스의 국제동향, 18.02.19~20, 호주 캔버라 - / 최솔지 외 2018  64
4052 9 보건의료 우리나라 보건의료 발전을 위한 의료기술평가의 역할 / 이영성 2018  69
4051 9 보건의료 노인돌봄서비스 제공기관의 돌봄제공자 정서지원서비스 현황 및 영향요인 / 김유미 외 2018  108
4050 9 보건의료 우리나라 치매관리 현황과 치매국가책임제 / 곽경필 2018  400
» 9 보건의료 원격의료에서 의료전문직을 위한 실천원리로서 프로네시스(phronesis) / 김진경 2018  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