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3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아태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99878517 
세계 주요 국가의 연구윤리 관련 법제도 비교 

= Comparative Analysis of the Laws and Institutions Related to Academic Research Ethics of Major Countries

  • 저자[authors] 한상연(Sang-Yun Han),Eunok Im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아태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0No.3[2013]
  • 발행처[publisher] 경희대학교 국제지역연구원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95-228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3
  • 주제어[descriptor] 연구윤리,연구진실성,연구부정행위,연구윤리법체계,연구윤리거버넌스,Research Ethics,Research Integrity,Research Ethics Law,Research Integrity Governance

초록[abstracts] 
[지난 2007년 OECD에서 국제연구진실성위원회를 설립한 이래 연구진실정 확보를 위한 국제적 차원의 공조체계 구축이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각 나라의 문화와 역사 등에 따라 연구윤리의 개념이 다르게 이해될 수는 있지만 효과적인 연구윤리 법제도가 지켜야 하는 기본적인 원칙이 지켜질 때 이런 국제적 공조가 가능해진다. 본 연구의 목적은 주요 선진국의 연구윤리 관련 법과 제도를 살펴보고 이들 국가 제도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비교분석하여 우리나라 관련 법제도 개선방향을 모색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윤리 법제도에 관해 우리보다 앞서가는 국가로 평가되는 미국, 노르웨이, 덴마크와 보통 수준의 제도를 운용하고 있는 영국, 핀란드, 캐나다, 일본, 호주의 국가 사례를 유형별로 나누어 살펴본다. 국가차원의 단일한 연구윤리법과 전문화된 연구윤리조직이 없는 한국은 영국, 캐나다와 함께 중간정도 수준의 연구윤리거버넌스 체계를 구비한 것으로 평가된다.

Since the launching of the OECD International Research Integrity Committee in 2007 devising a mechanism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has emerged as an important issue to enhance research integrity. Although the concept of research ethics may differ among countries there are basic principles of research ethics that each country should value to enable such collaboration. This paper aims at reviewing laws and institutions related to research ethics and integrity of Norway, Denmark, Finland, USA, UK, Canada, Australia, Japan and Korea to fin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nd to propose alternatives for Korea, which seems to have developed a medium-level research integrity governance system like UK and Canada.]

목차[Table of content] 논문요약 I. 서론 II. 주요 국가의 연구윤리 법제도 III. 각국의 연구윤리 법제도 비교 및 유형화 IV. 맺는말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888 9 보건의료 제약회사 건강캠페인 규제의 타당성 검토 / 강한철 2013  99
887 1 윤리학 자기결정권 법리의 체계화를 위한 형법학의 과제 / 이얼 2013  99
886 15 유전학 유전체분석용 슈퍼컴퓨팅 시스템 기술 / 우영춘 외 2016  99
885 5 과학 기술 사회 미래를 여는 과학문화와 과학교육/김승환 2016  99
884 2 생명윤리 윤리심포지엄 : 전공의 윤리교육의 피드백과 평가 / 권복규 2015  99
883 20 죽음과 죽어감 완화의료이용에 따른 의료이용과 의료비 / 신정원 2019  98
882 9 보건의료 북한의 의사양성제도와 통일시대 의료인력 개발의 원칙 / 김신곤 2019  98
881 9 보건의료 암환자 가족돌봄자의 돌봄부담감과 대처방식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 허수빈 2019  98
880 2 생명윤리 중국 인공 지능 기술의 인권 윤리 연구 / SONG YANYU 2019  98
879 15 유전학 바이오경제 시대에 대응한 생명공학 육성 법제 정비방안 / 윤종민 2018  98
878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자신장이식에서 KONOS의 경계공여자 기준의 개선을 위한 다기관 연구 수행의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한 예비연구 / 허우성 2017  98
877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 연구의 지원을 위한 법적 과제 / 김민우 2018  98
876 15 유전학 독일 유전자검사법의 규율 구조 이해 - 의료 목적 유전자검사의 문제를 중심으로 - / 김나경 2016  98
» 20 죽음과 죽어감 세계 주요 국가의 연구윤리 관련 법제도 비교 / 아태연구 2013  98
874 5 과학 기술 사회 빅데이터의 개인정보 이용으로 인한 법익침해의 私法적 해석 / 고수윤 2017  98
873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의 법제화에 대한 태도 / 김미혜 외 2010  98
872 5 과학 기술 사회 재난상황 초기 대응실패에 대한 정책행위자의 비난회피 행태 분석: 메르스 사태를 중심으로 / 박치성 2017  98
871 8 환자 의사 관계 인터넷 건강정보가 의사-환자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의사들의 인지도 조사 / 김정은 외 2007  98
870 9 보건의료 임상시험 전문인력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창업 / 이윤희 2018  98
869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한 죽음의 의미 / 정복례 외 2017  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