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5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제약산업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848805 
임상시험 실시 기관 내 시험대상자 보호 업무의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 A study for the improvement of test participants protection work of the agency to conduct clinical trials

  • 저자[authors] 이소형
  • 발행사항 서울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 형태사항[Description] 69 p. : 삽화 ; 30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이재현<br>부록수록<br>참고문헌 : p. 59-61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제약산업학과 2015. 8
  • DDC[DDC] 615 23
  • 발행국(발행지)[Country] 서울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5
  • 주제어 연구윤리,생명윤리,임상시험,임상연구,시험대상자
  • 소장기관[Holding] 성균관대학교 삼성학술정보관 (241026)

초록[abstracts] 
국내 임상시험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시험대상자의 보상이나 안전에 관한 관리체계는 제대로 갖춰지지 않았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다. 식약처는 최근 5년간 적발된 임상시험 기준위반 건수는 총 73건이며, 그 중 대상자 동의위반이 18건으로 가장 많았다고 보고했다. 이에 식약처에서는 임상시험 실시기관에서 수행하는 임상시험 및 임상시험에 참여하는 시험대상자의 안전과 권리 및 복지를 보호하기 위해 2014년 3월 ‘임상시험 및 대상자 보호프로그램 운영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가이드라인이 적용되는 초기 시점에서 기관 내 대상자 보호 업무를 하는 자의 임상시험 연구윤리에 대한 인식, 그들의 교육정도 및 경험과 업무와의 관련성을 파악함으로서 보호업무 강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표이다.      임상시험 실시기관 내 시험대상자 보호 업무 시 가장 중요한 연구윤리의 이론적 배경을 이해하기 위하여 연구윤리의 의미와 필요성, 국내외 연구윤리관련 제도 및 현황을 조사하였다. 또한, 2014년 임상시험 실시기관 지정현황을 토대로 전국의 30개 대학병원 및 기업병원의 대상자 보호 업무를 하는 자를 대상으로 시험대상자 보호 센터, 생명윤리 교육, 인지도 정도, 윤리적 평가, 개인 특성 현황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은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생명윤리 교육현황, 인지도 정도 현황, 윤리적 평가현황 및 일반적 특성과 SOP위반 여부 및 SOP윤리 위반 여부와의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에 성별은 여자가(84.9%) 남자보다 더 많았으며, 연령은 30대(64.7%)가 가장 많았다. 전문자격은 간호사가 78.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최종학력은 학사(60.6%)를 취득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생명윤리 교육이 실제 연구 수행에 미치는 영향은 어느 정도에 대하여 살펴보면, 영향을 받았다(매우 영향을 받았다+약간 영향을 받았다)의 경우에 76.3%정도로 나타났으며, 영향을 받지 않았다는 응답은 3.1%로 나타났다. 인지도 현황을 보면 임상시험 실시 중 또는 종료 후 식품의약품 안전 처장이 지정하는 전문가의 실태조사를 받아야 하는 사실에 대한 인지도를 조사한 결과 93.8%가 인지하고 있었고, 임상시험 인지정도에 따른 SOP위반 및 SOP윤리위반 경험을 살펴보면, SOP위반 경험이 없는 집단은 96.3%로 경험이 있는 집단 90.5%보다 임상시험 실태조사에 대해 높게 인지하고 있었고, SOP윤리위반에 대해서도 경험이 없는 집단이 97.0%로 SOP윤리위반이 있는 집단 88.2%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임상시험 실태조사에 대해 높게 인지하고 있었다. 윤리적 평가 현황 부분에서는 임상연구를 포함한 임상연구의 윤리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과제로 윤리적 연구를 위한 연구 지원체계 보강 및 연구 윤리교육의 강화가 70%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대상자 보호 업무 강화를 위해서는 국가와 기관 차원의 지속적인 체계 보강 및 의료 자원 확충이 필요하고, 임상시험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대상자 보호 업무 담당자를 위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연구윤리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628 20 죽음과 죽어감 임종기 환자 자기결정권 보호 방안 연구 : 사전의료의향서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 신성식 2014  418
3627 18 인체실험 줄기세포를 이용한 재생의료산업의 미래전략 / 양윤선 2017  417
3626 18 인체실험 미국에서의 특허적격(Patent Eligibility) 판단에 대한 연구 - 인간배아줄기세포와 컴퓨터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 이창화 2014  417
3625 9 보건의료 병원윤리위원회의 역할, 구성 및 운영에 관한 연구/김상득 2015  417
3624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 장기이식제도의 쟁점과 대안 / 김현철, 김휘원 2013  417
3623 10 성/젠더 생명의료윤리 관점에서 소아기호증 상습성폭력범에 대한 성충동 약물치료의 정당성 논의 : 『성폭력범죄자의 성충동 약물치료에 관한 법률』주요 쟁점 / 차승현 2010  417
3622 18 인체실험 국내 한방병원의 IRB 및 임상시험 실태조사 / 정희정, 박지은, 최선미 2010  417
3621 20 죽음과 죽어감 현대인의 고유한 죽음에 관한 철학적 연구/ 배용준 2018  416
3620 15 유전학 유전자조작 기술과 스포츠윤리 쟁점 연구 / 박성주 2018  416
3619 1 윤리학 분배정의론이란 무엇인가? -자유주의 분배정의론의 쉬운 이해와 통괄적 연구를 위한 틀 / 김동일 2014  416
3618 20 죽음과 죽어감 미국헌법상 안락사와 존엄사에 관한 연구 / 김명식 2010  416
3617 22 동물복지 EU에서 동물복지와 실험동물 보호에 관한 연구 : EU화장품동물실험금지규정을 중심으로/이형석, 김정기 2018  415
3616 4 보건의료 철학 말기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민감한 간호' 경험 / 권신영 2019  414
3615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완화병동 간호사의 말기암환자 돌봄 경험/권수혜, 태영숙, 홍민주, 최금희 2015  414
3614 19 장기 조직 이식 종설 : 장기기증을 위한 뇌사자 관리 / 길은미, 박재범 2015  414
3613 8 환자 의사 관계 배려윤리에 근거한 환자-의사관계의 윤리 / 유수정 2009  414
3612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비밀유지의무와 정보의 자기결정권 / 김형선 2018  413
3611 19 장기 조직 이식 알콜성 간질환의 간이식 전 상담, 교육, 모니터링 / 김형숙 2018  413
3610 1 윤리학 동물실험 교육과정에서 윤리교육 강화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 유동미 외 2014  413
3609 1 윤리학 영상정보처리장치(CCTV)와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연구 / 장성수 2014  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