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825871 
한국의 예술치료와 호스피스 완화의료 

= Art Therapy and Hospice & Palliative Care in Korea

  • 저자[authors] 김창곤,Kim, Chang Gon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8No.2[2015]
  • 발행처[publisher]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85-96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5
  • 주제어[descriptor] 예술치료,호스피스,완화의료

초록[abstracts] 
[한국의 현대적 예술치료는 1960~1970년대 국내 정신과 환자들을 대상의 보조치료인 활동요법(activity program)의 형태에서, 1982년 정신과 의사들을 중심으로 한국임상예술학회가 창립되면서, 음악치료(music therapy), 미술치료(art therapy), 무용치료(dance therapy), 시치료(poetry therapy), 정신치료극(Psychodrama) 등의 예술치료가 정신장애환자를 대상으로 발전하였다. 1990년대에는 한국미술치료학회와 한국음악치료학회 등 분야별 전문단체가 본격적으로 출범하였고, 2001년 한국예술치료학회가 창립되었다. 통합예술치료의 예술은 한 개인의 내적인 세계와 연관된 인간자체가 가지는 본연의 능력인 창조적 활동이며, 여기에는 음악치료, 미술치료, 무용치료, 시치료 등이 포함된다. 통합예술치료는 인간의 체험현상을 그대로 인정하고 자각하게 하는 현상학적 측면에서 신체와 창조성의 회복을 목표로 예술매체를 활용한 심신치료활동이면서 심신의 성장과 발달을 목표로 하는 치료예술활동이다. 최근 국내 음악치료, 미술치료, 무용동작치료, 통합예술치료를 중심으로 예술치료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결과, 신체기능 효과 변인군을 제외한 모든 변인군에서 효과크기가 유의했고, 심리적응 효과, 행동적응 효과 그리고 생리적 효과 변인군 순으로 효과크기가 확인되었다. 2015년 7월, 보건복지부는 완화의료 건강보험수가 급여를 일당정액제로 시행하면서, 국내 56개 호스피스전문기관에서 대부분 시행중인 음악치료, 미술치료, 원예치료에 대한 수가를 인정하는 방향으로 논의하고 있다. 이것은 1977년 정신과 환자에 대한 예술요법의 수가가 인정된 이후, 호스피스 완화의료 환자에 대한 예술치료의 수가가 인정된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그러나, 예술치료매체와 중재유형, 그리고 치료효과간의 인과관계의 명확한 제시, 즉 치료기전의 문제와 무분별하게 발급되는 자격증 취득자의 교육 수련 수퍼비젼을 통한 전문성과 정체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문학회 및 협회 등 전문단체간의 유기적인 협력과 노력이 요구된다.

In Korea, modern art therapy was developed in the 1960s and 1970s in the form of supplementary activities for patients in psychiatry. Along with the foundation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Clinical Art in 1982 by psychiatric doctors, the therapy involved more various arts forms such as music, art, dance, poetry therapy, and psychodrama. More organizations with specific expertise opened such as the Korean Art Therapy Association, Korean Art Therapy Association, etc. in the 1990s and the Korea Arts Therapy Institute in 2001. As of April 2015, the members of the Korean Art Therapy Association total 15,000, including 6,200 regular members. The arts in integrative arts therapy (IAT) is an individual's creative activity which is related to his inner world, and the forms of IAT include music, drawing, dance and poetry therapy. From the aspect of phenomenology, IAT is psychophysical therapy involving the arts that helps patients recognize and perceive their experiences with an aim of at a recovery of the body and creativity from the phenomenological aspect. It is also a therapeutic activity that targets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body and mind.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art therapy with a focus on that involving music, drawing, dance movement and IAT in recent years in Korea, significant effects were observed in all factors but physical function. The biggest effect was mentality adaptation followed by activity adaptation and physiology. In the run up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daily flat-rate system for the health insurance reimbursement for palliative care in July 2015,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s reviewing the coverage of music therapy, drawing therapy and flower therapy, which are currently practiced by 56 hospice institutes in Korea. This is a meaningful step because the coverage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came after that of art therapy for psychiatric patients was approved in 1977. Still, there is a need clarify the therapeutic mechanism by exploring causality among the treatment media, mediation type and treatment effects. To address the issue of indiscriminately issued licenses, more efforts are needed to ensure expertise and identity of the licensed therapists through education, training and supervision.]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608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비밀유지의무와 정보의 자기결정권 / 김형선 2018  413
3607 9 보건의료 만성질환 의료이용 분석과 개선방안 - 고혈압, 당뇨병을 중심으로 - / 박은자 외 2016  413
3606 10 성/젠더 형사법상 성적 자기결정권 본질 및 성적 자기결정권 보호증진을 위한 입법과제 검토 / 윤덕경 2012  413
3605 18 인체실험 IRB 전문인력양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교육 수요자 요구 분석 / 김난희 2015  413
3604 20 죽음과 죽어감 독일의 연명치료중단 판례와 입법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 / 이희훈 2014  413
3603 18 인체실험 인간대상연구에 있어서 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역할에 관한 한국과 미국의 규제법 비교 / 박수헌 2013  413
3602 12 낙태 한국의 낙태규제정책 / 조희원 2013  412
3601 12 낙태 상권 : 낙태와 헌법 -헌재 2010헌바402결정과 관련하여- / 박승호 2014  412
3600 20 죽음과 죽어감 사회복지사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 및 임종의료결정 도움 경험 등에 관한 비교 연구 -노인요양병원과 장기요양 입소시설을 중심으로 / 한수연 2016  411
3599 19 장기 조직 이식 심장이식 수혜자의 체험 / 장유하 2018  410
3598 10 성/젠더 성적소수자의 인권형성 과정과 사회복지의 역할 연구 / 남궁선 2008  410
3597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의료윤리에서의 원리형량 : 로버트 알렉시의 원리형량론을 중심으로 / 장희숙 2014  410
3596 14 재생산 기술 일본「재생의료안전법」이 한국 생명윤리 관련 규제에 주는 시사점 / 김보배 2015  409
3595 9 보건의료 의료법 개정에 따른 의사의 설명의무책임에 대한 연구 : 의료법 제24조2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 권영직 2018  408
3594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에 있어 전자동의(Electronic Informed Consent) 획득: 미국 지침에 따른 고려사항을 중심으로/김은애 2015  408
359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시술의 중단에 관한 법적 연구 / 조민석, 문하영 2014  408
3592 20 죽음과 죽어감 몸의 생의학적 의미와 생명정치 / 이을상 2010  408
3591 9 보건의료 병원감염관리 표준지침에 대한 인지도 및 수행도 / 이수정 2017  407
3590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과 보험상품 개발 / 김석영, 이선주 2016  407
3589 12 낙태 태아를 위한 기독교 윤리학적 책임과제 / 강요한 2002  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