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이화젠더법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460766 
이주여성과 사회보장법제

= A Study on the Migrant Women and Social Security System

  • 저자[authors] 노호창(Ho-Chang Roh)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이화젠더법학
  • 권호사항[Volume/Issue] Vol.9No.2[2017]
  • 발행처[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젠더법학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59-214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descriptor] 이주민,이주여성,사회보장,사회보험,공공부조,사회서비스,다문화가족지원법,건강가정기본법,재한외국인처우기본법,migration,migrant women,social security (law),social insurance,public assistance,social service,「Multi-cultural Families Support Act」,「Framework Act of Treatment of Foreigners in Korea」,「Framework Act of Healthy Homes」

초록[abstracts] 
[우리나라의 경우 이주의 역사가 길지 않지만 이주민이 우리 사회에 조화롭게 편입되어 살아가는 문제는 이주민에게도 우리에게도 대단히 중요한 과제이다. 그 중 특히 이주여성이라는 대상은 이주민의 범주에 속하는 하나의 집단에 해당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보다 특별한 의미를 가진다. 왜냐하면, 우리나라 이주민의 역사는 곧 이주여성의 역사와 궤를 같이 하여 왔고 외국인 여성의 결혼이민이 이주민 정책의 핵심 중 하나였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주여성은 이주민으로서 겪는 어려움과 여성으로서 겪는 어려움의 이중고에 시달리고 있다.    이주민의 조화로운 편입에 있어서 사회보장의 문제는 중요한 한 가지 방법론이 될 수 있는데, 사회보장법제를 기준으로 이주여성과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은 이주여성의 특수성에 비추어 그 당위성을 찾을 수 있다. 사회보장의 각 영역별로 본다면, 첫째, 현행 사회보험에서는 이주여성만의 관계에서의 특이점을 적어도 법제도적 측면에서 크게 찾아보기는 어렵다. 왜냐하면 여성의 성별 여부는 사회보험에서는 무의미하고 자기기여가 제도의 본질이기 때문이다. 둘째, 공공부조와 관련해서는 이주여성과의 관계에서 법적 차별이 현실에서 매우 부각될 수 있는 상황이다. 공공부조 본래의 원리를 넘어서는 과도해 보이기까지 하는 제한이 설정되어 있는데다 차별적 처우의 입법에 합리성과 정당성을 어디서 찾아야 할 것인지 의문이 들 정도라고 할 수 있겠다. 셋째, 사회보장법제에서 이주여성이라는 특정 집단에 초점을 맞추었을 때, 특별한 의미를 가질 수 있는 영역은 결국 사회서비스 분야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주여성에 있어서 결혼이민에 많은 초점이 맞추어진 경향이 있었기 때문에 이주여성을 위한 사회서비스 분야와 관련된 제도들은 주로 2008년에 입법된 「다문화가족지원법」에 담겨 있다. 그렇지만 그보다 이전에 가족정책의 모법으로 2004년에 제정된 「건강가정기본법」이나 이주민 정책의 모법으로 2007년에 제정된 「재한외국인처우기본법」과의 관계에서 일정한 부분 중첩이나 난맥상이 존재하는 것 같다. 가족정책과 여성정책 간의 긴장관계가 존재하는 측면도 있고 이주여성의 경향성에 있어서도 결혼이민여성 이외에 그들이 노동시장에서 차지하는 역할과 비중이 커져가고 있다는 사실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런 점에서 이주여성에 대한 지원 및 통합을 포함한 이민정책 전반에 걸쳐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제도 마련 및 준비 과정에서는 사회보장법제 중에서도 특히 사회서비스 분야의 탄력적 입법과 활용을 모색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밖에 사회보장법제 이외의 사회권과 관련된 제도적 측면에서의 연계 및 보완도 필요하다.

Migrant women in Korea’s immigrant history have a special meaning. This is because the history of immigrants in Korea has been consistent with the history of immigrant women, and the key to immigration policy has been marriage immigration of foreign women. In addition, migrant women have both difficulty as immigrants and difficulty as women in Korea. It is an important national task for migrants to be harmoniously incorporated in Korean society. Social security law can be an important methodology for it. Considering the speciality of migrant women, it is essential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igrant women and social security Law. In Korea, the social security law area consists of three areas: social insurance, public assistance, and social services. In this paper, I studied and reviewed the relationships between immigrant women and each area of social security system. I also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migrant-related Acts, for example, the 「Multi-cultural Families Support Act」, 「Framework Act of Treatment of Foreigners in Korea」, 「Framework Act of Healthy Homes」, and social security Law.]

목차[Table of content] 
초록  Ⅰ. 서론  Ⅱ. 사회보장법제의 주요 내용 및 이주민에 대한 적용상 특징  Ⅲ. 「외국인처우법」, 「다문화가족지원법」, 「건강가정지원법」의 검토  Ⅳ. 이주여성과 관련하여 특유한 쟁점의 모색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3608 15 유전학 대규모 유전체연구에서의 프라이버시 이슈 / 조은희 2018  106
3607 13 인구 일본의 출산율 향상 대응정책에 관한 연구/ 오미희 2018  106
3606 18 인체실험 시험 불안과 임상진료시험성적과의 관련성 / 박경민 2019  106
3605 2 생명윤리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구성 및 운영의 개선방안 / 이인영 2006  107
3604 19 장기 조직 이식 Cognitive Development and Pediatric Consent to Organ Donation 2004  107
3603 9 보건의료 "응급진료에서의 취약한 환자"에 대한 논평: 응급진료에서의 취약한 환자의 범주와 문제점/박형욱 2015  107
3602 18 인체실험 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 Non-coding RNAs의 기능 / 백진아 외 2015  107
3601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 WiseQA를 위한 정답유형 / 허정 2015  107
3600 1 윤리학 "잊혀질 권리"에 관한 유럽사법 재판소(ECJ) 판결의 유럽 법제상 의미와 우리 법제에 대한 시사점 / 최경진 2014  107
3599 9 보건의료 재난적의료비 지출이 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 : 빈곤화의 매개효과분석/ 이한기 2017  107
3598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 허용론에 대한 고찰 2006  107
3597 9 보건의료 A.I. 아바타를 활용한 개인맞춤형 건강관리 콘텐츠디자인에 관한 연구 : PHAVATAR 앱 개발을 중심으로 / 김태원 2017  107
3596 12 낙태 낙태와 생명윤리 / 김성진 외 2018  107
3595 15 유전학 미국의 유전자 프라이버시 및 유전자 정보 이용과 관련된 법률 분석 및 맞춤의학에의 시사점 / 신승남 2009  107
3594 12 낙태 불교와 낙태 / 이미령 2018  107
3593 9 보건의료 의료의 패러다임 변화와 4차 산업혁명의 대응 / 선경 2018  107
3592 17 신경과학 정신건강의학과 임상 및 연구에서 이해 상충 관련 문제 / 신은희 외 2015  107
3591 18 인체실험 인간 대상 연구의 동의 관련 윤리 원칙/최경석 2018  107
3590 2 생명윤리 생명윤리와 소통(疏通)의 문제 : 황우석 스캔들에서 얻은 교훈/맹광호 2007  107
3589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환자 지향적 커뮤니케이션과 만성질환자의 삶의 질과의 관계: 건강행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이정선 외 2018  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