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4224557 

 사망 관련 비용(Cost of Dying)에 대한 경제적 분석 - 과잉 진료와 삶의 질을 중심으로 - 1)

= Economic Analysis on the Cost of Dying - Focusing on Overtreatment and Quality of Life -


http://www.riss.kr/link?id=A104224557


  • 저자[authors] 안영 ( Young Ahn ), 사공진 ( Jin Sakong )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3No.3[2017]

  • 발행처[publisher]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구 한국보건경제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63-85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descriptor] 사망 관련 비용, 사망까지의 기간, 과잉진료, 삶의 질, 패널분석, Cost of dying, Time to death, Overtreatment, Quality of life, Panel study

초록[abstracts]

[본 연구에서는 의료비 급증의 주요인을 사망 관련 비용 즉, 사망 직전 사용한 의료비와 과잉진료를 이용하여 설명하고, 생애 말기에 투입되는 막대한 양의 의료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09년부터 2013년까지 한국의료패널 5개년 자료를 이용하여 사망까지의 기간과 과잉진료가 의료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과잉진료의 발생 요인을 살펴보았다. 이와 함께, 생애 말기에 지출된 의료비인 사망 관련 비용을 따로 분리해 결정요인을 분석하고, 나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사망이 임박함에 따라 의료비 지출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사망에 가까울수록 과잉진료의 발생 확률은 증가하였고, 과잉진료는 의료비와 사망 관련 비용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그러나 생애 말기에 투입되는 사망 관련 비용은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망 관련비용의 효과성에 대하여 의문을 제기할 수 있으며, 생애 말기 의료비 지출 규모를 줄이고 이를 호스피스 완화의료로 대체시킬 필요성이 있다 하겠다.  본 연구는 과잉진료와 의료비 지출 간의 관계와 아울러 사망 관련 비용을 실증적으로 분석해보고 사망 관련 비용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major causes of the surge in the medical expenditure using `cost of dying`, that is, medical expenses just before the death and overtreatment, and to identify the effect of enormous amount of medical expense before death on quality of life. This study used Korea Health Panel data from 2009 to 2013 to examine the effect of time to death and overtreatment on the medical care expenditure and the causes of overtreatment. In addition, we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the cost of dying spent at the end of life and confirmed their impact on the quality of lif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edical expenditur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s the death was imminent. The closer to death, the greater probability of overtreatment and overtreatmen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medical care expenditure and the cost of dying. However, the cost of dying at the end of life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This suggest that there is no efficiency in cost of dying, which pointed out to be excessive, and it is necessary to reduce medical expense at the end of life and replace it with hospice and palliative ca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e sense that it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overtreatment and the medical expenditure as well as the cost of dying and examined the effect of the cost of dying on the quality of lif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3608 15 유전학 대규모 유전체연구에서의 프라이버시 이슈 / 조은희 2018  106
3607 13 인구 일본의 출산율 향상 대응정책에 관한 연구/ 오미희 2018  106
3606 18 인체실험 시험 불안과 임상진료시험성적과의 관련성 / 박경민 2019  106
3605 2 생명윤리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구성 및 운영의 개선방안 / 이인영 2006  107
3604 19 장기 조직 이식 Cognitive Development and Pediatric Consent to Organ Donation 2004  107
3603 9 보건의료 "응급진료에서의 취약한 환자"에 대한 논평: 응급진료에서의 취약한 환자의 범주와 문제점/박형욱 2015  107
3602 18 인체실험 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 Non-coding RNAs의 기능 / 백진아 외 2015  107
3601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 WiseQA를 위한 정답유형 / 허정 2015  107
3600 1 윤리학 "잊혀질 권리"에 관한 유럽사법 재판소(ECJ) 판결의 유럽 법제상 의미와 우리 법제에 대한 시사점 / 최경진 2014  107
3599 9 보건의료 재난적의료비 지출이 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 : 빈곤화의 매개효과분석/ 이한기 2017  107
3598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 허용론에 대한 고찰 2006  107
3597 9 보건의료 A.I. 아바타를 활용한 개인맞춤형 건강관리 콘텐츠디자인에 관한 연구 : PHAVATAR 앱 개발을 중심으로 / 김태원 2017  107
3596 12 낙태 낙태와 생명윤리 / 김성진 외 2018  107
3595 15 유전학 미국의 유전자 프라이버시 및 유전자 정보 이용과 관련된 법률 분석 및 맞춤의학에의 시사점 / 신승남 2009  107
3594 12 낙태 불교와 낙태 / 이미령 2018  107
3593 9 보건의료 의료의 패러다임 변화와 4차 산업혁명의 대응 / 선경 2018  107
3592 17 신경과학 정신건강의학과 임상 및 연구에서 이해 상충 관련 문제 / 신은희 외 2015  107
3591 18 인체실험 인간 대상 연구의 동의 관련 윤리 원칙/최경석 2018  107
3590 2 생명윤리 생명윤리와 소통(疏通)의 문제 : 황우석 스캔들에서 얻은 교훈/맹광호 2007  107
3589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환자 지향적 커뮤니케이션과 만성질환자의 삶의 질과의 관계: 건강행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이정선 외 2018  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