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법철학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4179939 
로봇윤리 vs. 로봇법학: 따로 또 같이 

= Robot Ethics vs. Robot Law: Apart and Together

  • 저자[authors] 김건우 ( Kim Gunoo )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법철학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0No.2[2017]
  • 발행처[publisher] 한국법철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7-44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descriptor]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로봇(Robot), 로봇윤리(Robot Ethics), 로봇법(Robot Law), 로봇법학(Robot Law), 지능형 로봇(Intelligent Robot), 자율주행자동차(Autonomous Vehicle, Autonomous Car), 책 임(Liability)

초록[abstracts] 
[오늘날 인공지능과 로봇의 세상이 다가오면서 규범학적 관심에서 새로이 부각되고 있는 두 분야가 바로 로봇윤리와 로봇법학이다. 본고는 다음 질문들을 다룬다. 이 두 분야는 어떤 관계에 있는가? 가령, 로봇윤리는 로봇법학을 수행하는 데에 필수불가결하게 요청되는 전제인가? 즉 로봇윤리를 논하고 거기에서 일정한 결론을 내려야만 로봇법학을 수행할 수 있는가? 아니면 로봇법학을 논하는 데에 로봇윤리는 불필요하고, 심지어 로봇법학으로 로봇윤리를 대체할 수 있는가? 그리고 그 역(逆)은 어떠한가?  이 질문들에 대해 필자가 제시하는 답은 “따로 또 같이”다. 로봇윤리와 로봇법학의 관계는 “따로 또 같이”라는, 이중적이고도 복합적인 양상으로 나타난다. 우선 법과 도덕이 `같이` 갈 수 있다는 전망, 즉 둘 간의 협업(協業)의 전망은 로봇윤리와 로봇법학 간 협업의 전망으로 재현된다. 지능형 로봇의 활용과 관련하여 윤리적 난제에 당면했을 때 법적 장치를 활용하여 그 문제를 우회적으로 해결할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법적 난제에 당면했을 때에 윤리적 고찰을 통해 그 긴장과 교착의 상태를 완화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지능형 로봇을 둘러싸고 로봇윤리와 로봇법학은 흥미로운 복합적 상관(相關) 하에 놓여 있음이 확인된다. 반면 법과 도덕이 반드시 `같이` 가야만 하는 것은 아니듯이, 로봇윤리와 로봇법학도 그러하다. 지능형 로봇의 사용과 관련해서, 위와 같은 식의 협업, 즉 법이 도덕을 차용하거나 도덕이 법을 차용하는 일이 모든 경우에, 혹은 필수적으로, 요청되지는 않는다는 말이다. 즉 둘은 서로의 관점을 반영하거나 서로의 결론을 활용할 수 있기는 하지만, 또한 그러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필자는 지능형 로봇 중 자율주행자동차에 관한 윤리와 법, 특히 그 사고시의 윤리적 책임과 법적 책임을 비교 고찰함으로써 이상과 같은 논지를 예증하고자 한다.

The questions surrounding “intelligent robots”, or “robots with Artificial Intelligence(AI)” gain more and more significance today as these robots give rise to a huge and fundamental impact on society. The questions are commonly addressed by the newly arising fields of study, “robot ethics” and “robot law.” How are then these two inquiries related to each other? Does either of the two require or help the other? Or do they go simply apart?  I argue that the relationship at issue is `dual` and `complex` in the sense that follows. On the one hand, given certain issues with regard to intelligent robots, the legal gadgets such as standards, doctrines, theories and framework can often replace the moral ones when the former is relatively definite or agreed but the latter not. This means that morality might team up with law in order to address the issue. On the other hand, without clear legal gadgets, moral ones can often help instead, justifying and thereby filtering out certain legal solutions. Moreover, moral considerations and legal ones can somehow go apart, each pursuing to be a self-contained solution to the issue. In short, law and morality go apart and together-case by case-in the sense that one can often help solving the problems of the other.  This line of argument, I argue, is well exemplified by discussion of ethics and law of autonomous vehicle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448 15 유전학 새로운 유전체 편집용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 (CRISPR/Cas9 system) / 권순일 2015  370
3447 14 재생산 기술 정자 기증과 비배우자 인공수정에 대한 난임 부부 인식조사 / 김인화 외 2017  370
3446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제도의 법적 문제 / 박동진 2005  370
3445 9 보건의료 메르스관련 정부 위험소통의 한계에 대한 사회적 원인 분석 / 김은성 2015  370
3444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지시서에 관한 프랑스의 입법 동향 / 이지은 2015  370
3443 20 죽음과 죽어감 우리나라 일부 병원에서 환자, 보호자, 의료진의 연명치료 중지 관련 의사결정에 관한 태도 연구 / 권복규 외 8인 2010  370
3442 18 인체실험 말기 암 환자에 대한 임상시험과 피험자의 자기결정권의 본질 / 송영민 2014  370
3441 20 죽음과 죽어감 임종기 연명치료 중단관련 특성과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노인환자의 태도 / 정승윤 2014  370
3440 9 보건의료 의약품 사용에서의 성별차이에 대한 고찰 / 허정선 2009  369
3439 15 유전학 국제 공공재의 특징을 갖는 유전체 의료 / 김한나 외 2016  369
3438 19 장기 조직 이식 의료용 생체재료 및 응용 : 생체재료를 이용한 줄기세포의 운명 조절기술 / 이은경 2015  369
3437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심사위원회에 대한 IRB 위원과 임상연구자의 인식도 조사 / 김지선 2006  369
3436 4 보건의료 철학 병원환경에서 의료종사자의 건강신념이 대응성과 병원의 예방행동에 미치는 영향 : 건강가치성을 매개로 / 장국현 2017  368
3435 5 과학 기술 사회 한국형 원격의료 도입 및 활성화를 위한 빅데이터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조한나 2017  368
3434 15 유전학 유전자 가위 기술의 사회적 영향과 법제도 운영 방안에 대한 고찰 : 빅데이터 분석과 전문가 인터뷰 결과를 중심으로 / 김성은 2016  368
3433 13 인구 저출산ㆍ고령사회에 따른 교육과제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연구 / 김주미 2007  367
3432 9 보건의료 세균, 바이러스 및 곰팡이에 대한 병원체 관련 수의학 용어의 우리말 표준화 / 류재면 외 2014  367
3431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이 책임과 권한의 주체일 수 있는가/고인석 2012  367
3430 20 죽음과 죽어감 소아청소년 호스피스.완화의료 / 강경아 황애란 2012  366
3429 9 보건의료 한국 치매 작업치료 가이드라인 개발 / 한대성 외 2018  3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