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형사정책연구(Korean criminological review)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063108 
『성매매알선 등 행위의 처벌에 관한 법률』에 관한 헌법재판소 결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

= Kritische Revision der Verfassungsgerichtsentscheidung zum Gesetz zur Bestrafung der Vermittlung der Prostitution und anderer sexueller Handlungen(PVG)


• 저자명 : 조성용(Cho, Sung-yong) 
• 학술지명 : 형사정책연구(Korean criminological review)
• 권호사항 : Vol.28 No.1 [2017]
• 발행처 : 한국형사정책연구원
• 발행처 URL : http://www.kic.re.kr/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5-47(43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2017년
• 주제어 : 성풍속 ,성도덕 ,자발적 성매매 ,성의 상품화 ,Sexualsitte ,Sexualmoral ,freiwillige Prostitution ,die Kauflichkeit der sexuellen Dienstleistung

초록

헌법재판소의 다수의견은 개인의 기본권 보호보다는 건전한 성풍속 내지 성도덕의 확립이라는 공익적 가치에 더 무게를 두었으며, 특히 성매매로 인하여 유발되는 사회적 부작용(예컨대 성산업의 비대화, 불법체류자의 증가, 노동시장의 기형화, 퇴폐・향락문화의 확산 등)을 우려하였다. 또한 만약 위헌 결정이 내려질 경우 사회 전반에 미치게 되는 엄청난 파장을 현재 우리사회가 스스로 감당하기 어렵다고 판단한 점도 이번 합헌 결정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요컨대 이번 헌법재판소 합헌 결정은 개인의 자유보다는 사회의 안정을 선택한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이러한 결정이 과연 형법적으로 정당화될 수 있는지는 상당히 의문이다. 우선 건전한 성풍속 내지 성도덕의 확립이라는 것이 결국은 다수의견 특유의 성도덕관에 지나지 않으며, 이를 강제할 경우 성별・종교・사회적 신분 등에 중립적인 우리의 헌법적 가치에 명백히 배치된다는 점에서 심판대상조항의 입법목적부터 정당하다고 보기 어렵다. 또한 성매매에 대한 형사처벌로 인하여 성매매가 전체적으로 감소하였다는 증거가 없으며, 성교육 후 성구매를 자제하게 되었다는 사실 또한 그 신빙성이 의문시된다는 점에서 심판대상조항이 성매매 근절에 실효성 있는 적절한 수단이라고 보기 어렵다. 나아가 성판매자는 사회적 약자로서 보호・선도의 대상이지 형벌의 대상이 아니며, 성매매특별법 및 성매매피해자보호법상의 보완장치가 성판매 여성에게 실질적인 도움으로 연결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성판매 여성에 대한 처벌은 과도한 형벌권의 행사라고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성매매에 관한 잘못된 의식을 바로 잡고 성매매 수요를 줄이기 위하여 성구매 남성을 처벌하는 것도 그 실효성이 의문스럽고, 형법 본연의 임무에 반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과도한 형벌권의 행사이다. 마지막으로 형사처벌로 인하여 받게 되는 성매매 당사자의 불이익은 매우 실질적이며, 구체적이고, 그 정도가 건전한 성풍속 내지 성도덕의 확립이라는 공익보다 훨씬 크다는 점에서 심판대상조항은 법익 균형성의 원칙에 위배된다. 그리하여 심판대상조항은 성적 자기결정권 및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를 침해하며, 동시에 특정인을 상대로 하든 불특정인을 상대로 하든 본질적으로 동일한 성매매라는 점에서 평등권 또한 침해한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성적 자기결정권 및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 침해 여부
Ⅲ. 평등권 침해 여부
Ⅳ. 이번 헌법재판소 결정의 의의 및 평가 - 결론에 갈음하여 -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548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자살생각을 높이는 지각된 짐스러움과 절망감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역할 / 전영선, 허창구 2019  109
3547 9 보건의료 한국 의료서비스 이용과 제공의 공간적 특성 / 양호민 2018  110
3546 19 장기 조직 이식 Tissue Procurement System in Japan: The Role of a Tissue Bank in Medical Center for Translational Research, Osaka University Hospital 2010  110
3545 4 보건의료 철학 의학교육에서의 의료윤리 교육방법 / 김옥주 2016  110
3544 14 재생산 기술 한국의 시험관아기 시술 30년, 거버넌스의 부재와 위험의 증가: 전문가 역할을 중심으로 / 하정옥 2014  110
3543 5 과학 기술 사회 제품안전관리를 위한 나노물질 규제정책 도입평가 연구 / 서정대 2014  110
3542 15 유전학 인간 유전체에 존재하는 크리스퍼 유전자가위의 비표적 염기서열 분석 방법 / 엄숭호 2015  110
3541 9 보건의료 의료광고가 의료기관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변성진 2009  110
3540 9 보건의료 고령사회를 위한 사물인터넷 융합 디지털 헬스케어 사용자 경험 디자인 연구 / 엄주희 2017  110
3539 9 보건의료 생체정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에 관한 연구 / 김현철 2006  110
3538 12 낙태 낙태에 대한 개방적 접근의 필요성 / 최규진 2018  110
3537 14 재생산 기술 국제대리모계약을 둘러싼 법적 친자관계 쟁점에 관한 헤이그국제사법회의의 최근 동향 분석 및 시사점 / 이병화 2017  110
3536 14 재생산 기술 한방난임사업에 대한 의학적·통계학적 관점에서의 평가 / 채유미 외 2018  110
3535 4 보건의료 철학 공중보건위기 상황에서 병원의 의사결정 과정 - '합리성에 관한 책무'의 적용 - / 홍지수 2018  110
3534 20 죽음과 죽어감 네덜란드 장기요양제도의 최근 동향 / 연희진 2017  110
3533 15 유전학 유전체 시대의 유전정보 보호와 공유를 위한 개인정보 보호법제의 고찰/이원복 2018  110
3532 9 보건의료 응급실에서 간과하기 쉬운 의료사고 유형 / 이인재 2018  110
3531 17 신경과학 집단 간 편견(inter-group prejudices)의 신경과학적 이해 / 추병완 2018  110
3530 9 보건의료 “헬스케어 분야의 우버”를 통한 왕진(on-demand doctor house call) 서비스 최근 동향 / 임지연 2019  110
3529 9 보건의료 국내 바이오의약품 기업체의 연구사업 수요 조사 및 분석 / 박기대 2011  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