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4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 (석사)-- 경북대학교 수사과학대학원 : 법정의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554474 


의료관련감염에 대한 의료책임인정의 적정성 고찰

= Consideration on the Adequacy of Recognition of Medical Liability for Health Care Associated Infections

 

http://www.riss.kr/link?id=T13554474 


  • 저자 : 이정희
  • 형태사항 : ii, 36 p. : 도표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이상한        참고문헌 수록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 (석사)-- 경북대학교 수사과학대학원 : 법정의학과 2014. 8
  • DDC : 614.1 22
  • 발행국 : 대구
  • 출판년 : 2014
  • 주제어 : 의료감염의료분쟁

 

  •  초록


의료분쟁에서 의료관련감염에 대한 의료인측 책임인정과정에서 판단의 근거가 된 내용을 분석하여 그로 인한 결론이 적정한 것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서울중앙지법·서울고법·대전지법·대전고법 의료과오소송 중 의료관련감염 판결문 89건과 한국소비자보호원의 보건/의료 조정문 중 33건을 대상으로 하였다그 결과 의료과오소송에서는 재판과정에서 법관이 심증을 형성하고, 그에 대한 합리성과 공정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대법원 판례로 형성된 각종 법리와 진료기록부에 기재된 내용을 기초로 그에 대한 진료기록감정촉탁결과 및 사실조회결과에 기재된 내용들을 간접사실로 설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국소비자보호원 사건의 경우 의료과오소송사건보다 의료인측 책임인정비율이 훨씬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한국소비자보호원이 태생적으로 소비자의 권리구제를 위한 곳이고, 의료인측도 감수하기 어려운 내용을 요구하지 않는 한 대부분 의료분쟁이 단기간에 해결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 때문이라고 판단되었다.의료과오소송 중 시술당시 무균조치여부와 관련하여서는 대부분 무균처리의무를 위반하였다는 점을 인정할 증거가 없다는 형식으로 판단할 뿐 무균조치에 대한 객관적 증거에 의한 구체적 판단은 부족하였다. 또한, 동일사건에 대하여 추가증거조사 없이 동일한 증거로 판단하면서 1심과 2심의 결론이 반대로 나온 경우가 있었는데, 이는 재판과정에서 담당재판부를 얼마나 합리적으로 설득시킬 수 있느냐가 중요하고 이 경우 법관의 개인적 가치관이나 당사자의 상태에 대한 동정심과 같은 감정들이 판단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되었다이상의 결과로 볼 때, 사법에 대한 국민들의 불신을 초래할 위험이 있으므로 의료소송을 담당하는 법관은 법적양심과 가치관으로 판단하는 노력이 필요하고, 의료계는 의료과실 판단의 기본인 진료기록부에 관행적으로 행해지는 의료행위를 포함하여 가능한 자세한 내용을 기록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 목차

서론 1

재료 및 방법 3

결과 5

고찰 9

요약 33

참고문헌 35

영문초록 i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648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에서의 동의 철회와 재생산 자율성의 재구성 / 유수정 2016  82
647 9 보건의료 의사의 설명의무 범위와 보건의료적 제언 / 정창우 2017  82
646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용 의약품 복약지도 항목에 대한 임상시험대상자 및 연구자의 요구도 조사 / 유소현 외 2017  82
» 4 보건의료 철학 의료관련감염에 대한 의료책임인정의 적정성 고찰/이정희 2014  82
644 1 윤리학 지능정보사회와 헌법상 국가의 책무 / 정준현, 김민호 2017  82
643 19 장기 조직 이식 생존장기기증자의 경험에 기반 한 지원체계 마련방안 / 정선주 2017  82
642 19 장기 조직 이식 효율적인 장기기증 교육 · 홍보 메시지 개발을 위한 연구/선혜진 2017  82
641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의 정당화 요건과 형법적 통제 / 김현조 2015  82
640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연구실 단기 교육 프로그램 / 이재인 외 2013  82
639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의 생명존중의식, 공감, 회복탄력성과 생명의료윤리의식과의 관계 / 김은희 외 2018  81
638 4 보건의료 철학 의료서비스종사자의 역할갈등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 임순연 외 2018  81
637 4 보건의료 철학 4차 산업혁명 대비 보건의료 산업분야종사자를 위한 융합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김선정 외 2018  81
636 4 보건의료 철학 내과 의사가 알아야 할 법률 2017  81
635 19 장기 조직 이식 심장이식환자의 체험 / 황영희 외 2017  81
634 5 과학 기술 사회 원격의료환경에서 개인생체정보 보호 및 무결성에 관한 연구 / 김순석, 이재현 2017  81
633 5 과학 기술 사회 모바일 환경에서의 병원정보시스템 설계 및 구현 2011  81
632 20 죽음과 죽어감 왕양명 사상의 의료윤리적 적용에 관한 연구 : 연명의료를 중심으로 / 박태환 2017  81
631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에 대한 사전 지식수준과 언론보도의 논조에 따른 공중의 반응 분석/이현선 2016  81
630 18 인체실험 일개 병원에서 의약품 임상시험의 소아 피험자 현황 / 천수정 2012  81
629 9 보건의료 인터넷 의료광고가 병원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장성일 2012  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