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박사)-- 전주대학교 대학원 : 상담심리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512466 


자살유가족 및 목격자의 자살예방을 위한 최면상담 프로그램 개발

http://www.riss.kr/link?id=T14512466 

저자 : 박주호 

형태사항 : vii, 182 p. ; 26cm

일반주기 : 지도교수김인규참고문헌: p. 108-114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박사)-- 전주대학교 대학원 : 상담심리학과 2017. 2

발행국 : 전라북도

언어 : 한국어

출판년 : 2017

주제어 : 이상심리학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자살유가족 및 목격자들이 겪는 우울, 불안, 외상 후 스트레스, 자살관념을 감소시키고 자살을 예방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자살예방 최면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연구대상자들에게 실험한 후 그 효과성을 파악하였다. 연구기간은 20164월부터 201611월까지로,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후 효과검증까지 총 8개월 동안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내용은 프로그램 개발과 프로그램 적용 및 효과검증으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 개발에서는 전체 및 회기별 세부 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생명윤리위원회(IRB)에 심의 및 승인을 받았다. 그리고 프로그램 타당성 검증 실시 후 1차 보완 및 수정을 하였다. 사전검사 실시 후 자살고위험군 분류 및 연구대상자 15명을 선정하여 예비처치군을 대상으로 예비프로그램 5회기 실시 후 2차 보완 및 수정하였다. 프로그램 적용 및 효과검증단계에서는 실험처치군을 대상으로 본 프로그램을 5회기 진행하고 실험처치군과 무처치통제군에 대한 사전·사후를 비교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최면상담 사례기술 및 프로그램 실행평가의 설문응답 결과를 통한 1차 효과성 검증 및 결과 도출과 1개월 후 추후검사를 실시하여 사전·사후·추후검사를 하여 비교 분석한 후 2차 효과성 검증 및 결과를 도출하였다.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비모수통계분석을 이용하였고,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처치군의 각 변인들에 대한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검증하였다. 우울(CES-D)척도는 평균 25.80점 감소하였고 한국형 성격평가질문지(PAI)의 불안(ANX)척도는 평균 24.20점 감소, 불안관련 장애(ARD-T, 외상 후 스트레스)척도는 평균 31.00점 감소, 우울(DEP)척도는 평균 27.80점 감소, 자살관념(SUI)척도는 평균 27.60점으로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무처치통제군에 대한 각 변인들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실험처치군을 대상으로 진행한 프로그램을 종료한 직후 사후검사를 실시하고 그로부터 1개월 후 추후검사를 실시한 결과, 실험처치군의 우울척도(CES-D), 불안(ANX), 불안관련 장애(ARD-T, 외상 후 스트레스), 우울(DEP), 자살관념(SUI)의 변인들에서 모두 효과가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I.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5

II. 이론적 배경 6

1. 자살 6

. 자살의 정의 6

. 자살행동의 이해 8

. 자살행동에 대한 치료적 개입 11

2. 최면상담 15

. 최면의 개념 15

. 최면치료와 최면상담 16

. 최면상담의 개발과 효과 17

. 최면상태의 특징 20

. 최면활용분야 24

. 최면의 안정성 26

. 최면유도의 원리와 유도과정 28

III. 자살예방 최면상담 프로그램의 개발 32

1. 프로그램의 개발 과정 32

2. 최면상담 예비프로그램 구성 34

3. 예비프로그램 타당도 검증 48

4. 예비처치군 선정 및 예비프로그램 실시 50

. 예비연구대상자 모집 및 선정 50

. 자살예방 최면상담 예비프로그램 실시 51

. 예비처치군 프로그램 실행 효과분석 53

5. 자살예방 최면상담 프로그램 개발 결과 57

IV. 자살예방 최면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70

1. 연구대상 70

. 연구대상자 모집 71

. 연구대상자 선정기준 및 특성 71

2. 연구절차 73

. 자살예방 최면상담 프로그램의 운영 73

. 연구기간 및 장소 74

. 측정도구 74

3. 자료의 분석 및 처리 77

. 효과성 분석의 통계적 접근방법 77

4. 연구 결과 79

. 실험처치군 - 무처치통제군의 동질성 검증 79

. 실험처치군 - 무처치통제군 사전 - 사후검사 비교 분석 82

. 실험처치군 - 무처치통제군 각 변인별 사전 - 사후검사 비교 84

. 실험처치군 사후 - 추후검사 비교 분석 89

. 실험처치군 프로그램 평가결과 92

. 상담회기 질적 분석 94

. 요약 및 논의 103

참고문헌 108

ABSTRACT 115

부 록 11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유가족 및 목격자의 자살예방을 위한 최면상담 프로그램 개발 / 박주호 2017  509
3887 9 보건의료 의약품 품질보증 시스템에서 Quality by Design 적용 / 이혜민 2014  509
3886 15 유전학 한국인 유전성 유방암 가계에서 BRCA1/2 유전자 돌연변이 사실에 대한 가족과의 의사소통 실태 / 강은영 외 2011  509
3885 5 과학 기술 사회 [브레인 영화관_엑스 마키나(Ex Machina)] 2045년, AI(인공지능)는 인간의 지능을 넘어선다/강만금 2015  509
3884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구득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과의 관계 / 박부선, 곽원준 2015  509
3883 20 죽음과 죽어감 윌리엄 메이(William F. May)의 생명윤리 방법론에 따른 소극적 안락사에 대한 고찰 / 김성용 2012  509
3882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에 관한 가톨릭 생명윤리의 맥락과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성찰 / 정재우 2013  509
3881 9 보건의료 프랑스 의료제도와 진찰료 정책 동향 / 이정찬, 손강주 2019  508
3880 9 보건의료 우울증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이경은 2018  507
3879 12 낙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로서의 낙태 / 배정순 2018  506
3878 2 생명윤리 생명윤리학의 탄생: 의학과 생명과학, 철학에 말을 걸다 / 김상득 2014  506
3877 18 인체실험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가치관에 대한 조사 연구 / 윤길자 1992  506
3876 15 유전학 유전체 맞춤의학 연구와 위험의 개념 이해 / 이일학, 김성혜, 유승협, 김소윤 2012  505
3875 1 윤리학 도덕적 자연주의와 나쁜 것의 윤리학 : 니체 윤리학의 자연주의적 재구성 / 전경진 2012  504
3874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간 공여자를 위한 상담 및 교육 / 손선영 2016  504
3873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왓슨 기술과 보건의료의 적용 / 이강윤, 김준혁 2016  503
3872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학의 교육과 전망 / 김진경, 이상목 2014  503
3871 18 인체실험 한국 체류 난민의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 난민지원정책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손주희 2018  501
3870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 연구와 기독교의 대응 : 베아줄기세포 연구의 위험성에 대하여 / 윤재지 2015  500
3869 19 장기 조직 이식 공여자의 종류에 따른 간이식 후 감염성 합병증의 비교 / 기현균, 손준성, 오원섭, 백경란, 이남용, 김성주, 조재원, 이석구, 송재훈 2004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