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9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고신대학교 일반대학원 : 간호학과 종양전문간호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5050551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 영향요인 

= Factors Influencing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of Nurses Caring for Cancer Patients

  • 저자[authors] 김지은
  • 발행사항 부산 : 고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 형태사항[Description] 88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정귀임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고신대학교 일반대학원 : 간호학과 종양전문간호 2019. 2
  • 발행국(발행지)[Country] 부산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9
  • 주제어 암,간호사,환자안전문화인식,사건보고지식,사건보고태도,환자안전관리활동
  • 소장기관[Holding] 고신대학교 문헌정보관 (221003)
  • UCI식별코드 I804:21003-200000181794

국문 초록 (Abstract) 
환자 안전은 환자의 건강과 생명에 직결되는 중요한 문제로써 의료의 기본원칙이며 의료의 질을 결정하는 구성요소인 동시에 의료의 질의 기준이 된다. 암환자는 진단부터 수술, 항암화학치료, 방사선치료, 표적치료 등 다양하고 복잡한 치료과정을 경험하며, 타 질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중증도가 높아, 예기치 못하게 발생한 환자안전사고가 치명적인 결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다. 간호사는 환자안전관리활동을 통해 의료현장에서 환자안전관리자로서 환자안전사고를 최소화하기 위한 위험요인을 파악하고, 환자안전의 핵심적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따라서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은 암환자의 안전을 위해 중요하므로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의미가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환자안전관리활동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환자안전관리활동 증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B광역시 소재 3개 상급종합병원의 입원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 14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8년 1월20일부터 동년 3월20일까지였다. 자료 수집 전 K대학교 B병원의 생명연구윤리 심의위원회(IRB No. KUGH 2017-11-047-001)의 심의와 K대학교 기관생명윤리위원회(KU IRB 2017-0106-01)의 추인을 받았다. 자료수집방법은 B광역시 소재 3개 상급종합병원의 간호부서를 방문하여 과(부)장과 수간호사에게 연구목적과 방법을 설명하고 협조를 구하였다. 그리고 대상자 선정기준에 맞는 대상자에게 연구의 목적과 방법, 설문내용을 충분히 설명한 후 서면동의를 받고,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부하여 작성케 한 후 회수하였다. 연구도구로 환자안전문화인식을 측정하기 위해 AHRQ(2004)에서 개발한 환자안전문화 조사도구(Hospital Survey on Patient Safety Culture, HSPSC)를 김정은 등(2007)이 한글로 번역한 것을 사용하였다. 사건보고태도와 사건보고지식을 측정하기 위해 김기경 등(2006)이 개발한 사건보고태도와 지식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환자안전관리활동을 측정하기 위해 조윤주(2012)가 개발한 환자안전관리활동 측정도구를 장희은(2013)이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특별한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공개된 도구인 AHRQ(2004)에서 개발한 환자안전문화 조사도구(Hospital Survey on Patient Safety Culture, HSPSC)외 모든 측정도구는 개발자의 승인을 받은 후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방법은 SPSS Statistics 21.0 program을 사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 평균평점과 표준편차, 최소값과 최대값, t-test, ANOVA와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및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대상자의 환전안전문화인식 정도는 평균 141.30±12.82(도구범위: 43-215), 평균평점 3.46±0.32(척도범위: 1-5)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사건보고태도 정도는 평균 43.36±5.03(도구범위: 13-65), 평균평점 3.34±0.39(척도범위: 1-5)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사건보고지식 정도는 평균 14.73±2.87(도구범위: 4-20), 평균평점 3.68±0.72(척도범위: 1-5)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환자안전관리활동 정도는 평균 243.52±20.74(도구범위: 56-280), 평균평점 4.33±0.40(척도범위: 1-5)로 나타났다. 2. 대상자 제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관리활동 정도는 인구 사회학적 특성에서 연령(F=4.065, p=.019)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근무 관련특성에서 현 근무병동(t=-2.362, p=.019)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제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문화인식정도는 근무관련 특성에서 총 임상 근무경력(F=6.024, p=.003)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안전관련 특성에서는 환자안전사고의 발생 후 보고를 하지 않은 경험(t=-3.543,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제 특성에 따른 사건보고태도 정도는 근무관련 특성에서 근무형태(t=2.134, p=.035)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안전관련 특성에서는 최근 1년간 환자안전사고경험(t=-2.088, p=.038)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제 특성에 따른 사건보고지식 정도는 인구 사회학적 특성에서 연령(F=6.298, p=.002)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근무관련 특성에서는 총 임상 근무경력(F=7.636, p=.001), 현 병동 근무경력(F=7.671, p=.001), 현 근무병동(t=-2.207 p=.029), 근무 시 담당 환자 수(t=-2.210, p=.029)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환자안전문화인식 하부영역 지난 1년간 환자안전사고보고 경험(t=1.988, p=.049)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대상자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환자안전관리활동 정도는 약한 양의 상관관계(r=.377, p<.001)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사건보고태도와 환자안전관리활동 정도는 미약한 양의 상관관계(r=.229, p=.005)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사건보고지식과 환자안전관리활동 정도는 중간정도 강한 양의 상관관계(r=.438, p<.001)로 나타났다. 4. 대상자의 환자안전관리활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사건보고지식(β=.371, p<.001)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는 환자안전문화인식(β=.293, p<.001)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설명력은 26.3%이었다. 결론적으로,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환전안전문화인식 정도는 중간정도, 사건보고태도 정도는 중간정도, 사건보고지식 정도는 중간보다 약간 높게, 환자안전관리활동 정도는 중간보다 높게 나타났다. 환자안전관리활동 정도는 연령과 현 근무병동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환자안전관리활동 정도는 약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있고, 대상자의 사건보고태도와 환자안전관리활동 정도는 미약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대상자의 사건보고지식과 환자안전관리활동 정도는 중간정도 강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환자안전관리활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건보고지식이었고 그 다음으로는 환자안전문화인식이었다. 따라서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의 증진을 위해서는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사건보고지식을 향상시키는 중재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이 필요할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1
4608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과 차별 / 고학수, 정해빈, 박도현 2019  214
4607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시대 인공지능 기술과 미래 어린이철학교육의 전망 / 김민수 2019  96
4606 9 보건의료 데이터 기반 의학에서 의료 인공지능의 활용사례 / 박승균 2019  166
4605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에 대한 전자인 제도 도입의 필요성과 실현방안에 관한 고찰 / 김진우 2019  224
4604 10 성/젠더 젠더관점에서의 난자 채취 손해배상 청구소송에 대한 검토 / 이유정 2014  85
4603 2 생명윤리 스포츠과학연구에 있어서 생명윤리의 쟁점과 과제 / 김동규, 김현수 2014  274
4602 23 연구윤리 황우석 이후 연구진실성 거버넌스의 변화 / 김명심 2015  88
4601 18 인체실험 황우석 사태 이후 서울대 IRB / 서이종 2015  135
4600 1 윤리학 미래의 인간상 / 이을상 2018  139
4599 23 연구윤리 연구윤리제도의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미국을 중심으로 / 이송호, 정일환 2018  70
4598 22 동물복지 물건인가, 생명인가? / 신홍임 2017  112
4597 14 재생산 기술 개-돼지 이종 간 복제수정란의 체외발달에 미치는 요인 / 최미경 외 2014  60
4596 22 동물복지 동물윤리에 있어서 불교 실천윤리의 정립가능성에 대한 고찰 / 한명숙 2014  82
4595 14 재생산 기술 문학과 영화 속 복제인간- 샤를로테 케르너의 소설과 롤프 슈벨의 영화 <블루프린트>를 중심으로 / 천현순 2014  588
4594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 제정과정과 문제점 검토 / 이한주 2019  230
4593 2 생명윤리 선에 대한 윤리학적 탐구 - 생명과학기술이 추구하는 선에 관한 성찰 -/ 홍석영 2019  105
4592 2 생명윤리 생명의료인권협약에 비추어 본 ‘모를 권리’ 문제 / 최정호 2018  137
4591 9 보건의료 재사용가능의료기기의 평가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 신승우 외 2018  386
4590 4 보건의료 철학 의료인의 지시에 의한 비의료인 또는 의료인의 무면허의료행위에 대한 형사법적 문제점에 관한 소고 / 장연화, 백경희 2018  301
4589 9 보건의료 의료규제 정책의 딜레마에 관한 연구: 신약 및 신의료기기 분야의 전문가 조사를 중심으로/ 이유현, 정일영 2018  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