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735 건
총 2,735 건
'존엄사', 정의 및 기준 명확해야
“호스피스 제도화 방안 또한 고려돼야…” 존엄사를 허용하는 법 제정 추진이 결정된 가운데 존엄사의 정의 및 기준이 명확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최근 국회입법조사처는 존엄사 법제화를 위해 고려돼야 할 사항 등 법제화 방안과 과제를 담은 ‘존엄사 법제화의 쟁점과 ...
2012.11.19 조회수 2487
국회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 입법기준 마련 시급"
국회가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의 인정에 대한 범위와 절차, 방식 등의 존엄사 입법적 기준 마련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국회 입법조사처는 최근 '존엄사 법제화의 쟁점과 과제' 제하의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촉구했다. 2009년 대법원은 인공호흡기 제거청구사건 판결에서 "...
2012.11.14 조회수 1746
화이자, 국내 4개 병원과 임상시험 협력 MOU 체결
한국화이자제약(대표이사 사장 이동수은 지난 12일 화이자가 국내 4개 병원과 임상시험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양해각서는 삼성서울병원, 서울대학교병원, 서울아산병원, 세브란스병원 (가나다 순) 등 국내 4개 병원을 임상시험 협력 및 상호지원을 ...
2012.11.13 조회수 1811
메디포스트, `카티스템` 미국 FDA 임상 개시
국내 바이오 기업 메디포스트는 미국에서 연골 재생 줄기세포 치료제 `카티스템(CARTISTEM)`의 제 1.2a상 임상시험을 개시하고 현지 임상 환자 모집에 들어갔다고 13일 밝혔다. 우리나라 기업이 독자 개발한 줄기세포 치료제의 미국 임상시험을 실시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2012.11.13 조회수 2120
정부가 국민건강 위협한다면 '파업' 정당
"정부의 불합리한 정책으로 환자들이 제대로 치료를 받지 못해 건강을 위협하는 결과를 초래한다면 이를 바로잡기 위한 의사들의 집단행동은 정당하다는 것이 세계의사회 방콕 총회에서 결의한 내용입니다." 최근 태국에서 열린 2012년 세계의사회 방콕 총회에 참석하고 돌아...
2012.11.13 조회수 1840
신약 1개 만드는 데…평균 187억원
국내 제약·바이오기업이 신약 하나를 개발하는 데 평균 9년이 걸리고, 연구개발비로 187억 원이 들어간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이 발간한 ‘한국 제약산업 연구개발 백서 2012’에 따르면 지금까지 37개 업체가 신약, 개량신약, 바이오시밀러(바이오복제약) 등 1...
2012.11.12 조회수 1544
“DNA 감식기술-윤리 함께 발전해야”
“연구·감식기술이 발전하는 만큼 DNA 관리 시스템과 연구윤리도 함께 발전해 가야 합니다.” 대검찰청 과학수사센터인 국가디지털포렌식센터(NDFC)에서 열린 ‘DNA 감식기술 선진화 국제심포지엄’에 참석한 DNA 연구의 세계적 권위자 닐스 모링 국제법유전학회(ISFG) 전 회장(63...
2012.11.12 조회수 3742
식약청, 고령자 임상시험 기준 마련
식품의약품안전청은 31일 최근 고령화와 함께 고령자 임상시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고령자를 대상으로 하는 의약품의 안전성·유효성 평가가 적절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고령자를 대상으로 하는 임상시험 평가 가이드라인’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고령자의 연령기준은...
2012.11.07 조회수 2024
7개 의료기관에서 총 13건의 연명치료 보류 및 중지 사례 조사돼
지난해 보건복지부가 실시한 '생명나눔 국민인식도 조사'에서 국민 72.3%가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지에 찬성한다고 답했다. 앞서 2009년 대법원이 보호자의 요청을 받아들여 인공호흡기에 의지하던 환자의 연명치료 중지를 허용하면서 연명치료 중단 논의는 이미 물밑에서 활성...
2012.11.07 조회수 1906
바이오이종장기개발사업단, 8년간 연구성과 발표회
장기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정부가 2004년부터 차세대성장동력사업의 하나로 추진하고 있는 이종장기이식의 지난 8년간의 연구성과를 공유하는 자리가 마련된다. 보건복지부 지원, 서울대학교병원이 주관연구기관으로 설립된 바이오이종장기개발사업단은 오는 3...
2012.11.07 조회수 1986
中 "사형수로부터 장기 적출 관행 폐지할 것"
중국이 사형수로부터 이식에 필요한 장기를 적출해오던 관행을 내년부터 폐지할 예정이라고 중국 보건 당국 관계자가 2일 밝혔다. 중국 위생부 장기이식센터의 왕하이보 대표는 이날 발간된 세계보건기구(WHO) 11월 정기회보에 실린 인터뷰에서 "늦어도 내년 초부터 국가 차원...
2012.11.06 조회수 1771
경실련 "무의미한 생명 연장보다 존엄사 위한 법제화 필요"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이하 경실련)이 말기환자의 자기결정권을 존중하는 ‘존엄사법’ 제정을 위해 나섰다. 경실련은 2009년 1월 논의됐던 존엄사 법제화 필요에 대한 심층적 논의가 진행되야 한다는 청원을 최근 국회에 제출했다. 2009년 당시 경실련은 말기환자의 인권적 차...
2012.11.06 조회수 3267
2012년 제2차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심의 결과
종합 보건복지부 (2012-11-05 10:16) 11월2일 11시 코리아나 호텔에서 개최된 2012년도 제2차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음 < 참석자 > 민간위원(9) : 김성덕 위원장, 박국수 부위원장, 고윤석 위원, 박호진 위원, 손영수 위원, 손진희 위원, 이은모 위원...
2012.11.06 조회수 1514
고질적 헌혈사고 병폐, 대학병원 나서면 개선될까?
대학병원이 직접 운영하는 헌혈센터가 문을 열면서 기존 혈액사업의 과독점(적십자사·한마음) 체제에 변화가 일고 있다. 지난 31일 중앙대병원(원장 김성덕)은 병원 4층 강의실에서 '중앙대병원 헌혈센터 개소식 및 홍보대사 위촉식'을 개최하고 헌혈센터사업 경과 및 운영 계...
2012.11.01 조회수 2091
“中 살아있는 사람 장기이식 최대 3억”
“우리나라 국민이 중국에 가서 최대 3억원에 간 이식을 하고 온 정황이 포착됐다.” 중국에서 살아있는 사람의 장기를 적출해 막대한 돈을 받고 이식을 해준다는 충격적인 주장이 나왔다. 장기이식에 동원되는 사람은 주로 양심수들로, 현지 소식에 정통한 일부 언론은 “장기이...
2012.11.01 조회수 2108
한국에서의 Donor Action Program
1954년 미국 보스턴의 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MGH)에서 일란성 쌍둥이 형제간의 성공적인 생체 신장이식이 시행된 이후 Cyclosporine, Tacrolimus 및 Mycophenolate 등의 효과적인 면역억제제의 개발로 장기이식의 성공률과 이식편 및 환자의 생존율이 눈부시게 향상...
2012.10.31 조회수 1422
건국대 한동욱 교수, 과학저널 ‘셀’ 베스트 논문 선정
건국대학교는 의학전문대학원 의학과 한동욱 교수가 지난 4월 과학저널인 ‘셀 스템 셀’(Cell Stem Cell)에 발표한 ‘직접교차분화기법을 이용한 체세포에서 유도신경줄기세포 생산’ 논문이 2011~2012년 최고의 논문 10편에 선정됐다고 30일 밝혔다. 최근 미국 록펠러대학에서 ...
2012.10.31 조회수 2629
식약청, 나노식품 개발 동향 및 안전관리 토론의 장 마련
제48회 식품의약품안전열린포럼 개최 식품의약품안전청(청장 이희성)은 나노식품에 대한 국내외 동향 및 안전관리에 대한 토론의 장을 마련하고자, 오는 10월 30일(화) '나노기술응용식품 안전관리'를 주제로 서울시 양천구 소재 서울식약청에서 제48회「식품의약품안전열린포...
2012.10.29 조회수 1626
美연구진, '부모 3명' 인간 배아 만들어
기사입력 2012-10-25 10:51:00 기사수정 2012-10-25 10:51:23 미국 연구진이 남녀 3명의 DNA를 가진 인간 배아를 만들어내면서 윤리적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 24일(현지시간) 학술지 네이처 온라인판에 따르면 미 오리건 보건과학대학(OHSU) 연구진은 남성 1명과 여성 2명의 D...
2012.10.25 조회수 1628
줄기세포 단백질 생산조절원리 국내서 최초 규명
국내 연구진이 줄기세포 단백질의 생산과 세포 간 에너지의 조절 원리를 처음으로 규명했다. 김빛내리(42) 서울대 교수팀은 마이크로RNA를 조절해 줄기세포의 성질을 간접적으로 유지하는 기능을 가진 것으로 알려진 단백질인 린28(LIN28)의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기...
2012.10.25 조회수 17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