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재 일자 : | 2019-12-04 |
---|---|
키워드 : | 프로토콜, 이탈, 보고, 프로토콜 이탈 툴킷, protocol, deviation, protocol deviation toolkit |
현재 임상연구 프로토콜은 임상시험관리기준(GCP)에 대한 국제의약품규제조화위원회(ICH) 지침에 따라 수행되어야 하며, 무엇보다도 연구 참가자의 권리, 안전 및 복지를 보호하는데 도움이 됨. 설계한 대로 수행되는 경우 관련 데이터는 신뢰할 수 있고 재현할 수 있어야 하며 연구대상자의 보호를 유지하면서 결과에 대한 명확한 해석을 지원해야 함. 이에 비추어 볼 때, 프로토콜의 이탈은 참가자 또는 데이터의 정확성에 해로울 수 있으므로 피해야 한다고 합리적으로 가정할 수 있음.
임상시험 내 현실은 최선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프로토콜 이탈이 발생하게 되지만 모든 이탈 건이 연구 결과나 환자의 행복에 동일한 수준의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님. 현재, ICH의 E3 Q&A R1 항목은 프로토콜 이탈을 "프로토콜에 정의된 연구 설계나 절차로부터의 변경, 확산 또는 이탈"로 정의하고 있음. ICH 지침은 또한 "중요" 프로토콜 이탈의 정의를 도입하여, "연구 데이터의 완전성, 정확성 및/또는 신뢰성에 현저하게 영향을 미치거나 대상자의 권리, 안전 또는 웰빙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프로토콜 이탈의 하위 집합"으로 정의함.
생물 약제학계에서, 프로토콜 이탈이란 주제는 거의 보편적인 탄식의 소리와 마주함. 왜냐하면 임상연구 스폰서들이 ICH E3 항목의 특정 요소와 프로토콜 이탈과 관련된 다른 관련 지침을 해석하기 위해 고군분투하기 때문임.
실제로 TransCelerate BioPharma 회원사 설문조사에서 사이트,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 스폰서들은 중요한 프로토콜 이탈이 무엇인지 해석과 분류하는 데 상당한 가변성이 있다고 지적하여 이탈의 식별, 수집 및 보고에 어려움을 초래한 바 있음. 예를 들어 프로토콜 이탈을 과도하게 보고하면 시스템의 소음을 증가시켜 중요한 환자 안전 정보의 식별을 지연시킬 수 있는 한편, 과소 신고(보고)는 연구 결과와 환자 안전 신호의 신뢰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임상 현장은 주요한 이탈로 간주되는 바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유사한 좌절감이 메아리친 바 있음. 통합되지 않고 분리된 그리고 때로는 상충되는 지침은 프로토콜 이탈을 효과적으로 식별하고 예방조치를 관리하는 능력을 방해하며, 이는 대상자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게됨. 이 같은 영향은 또한 IRB나 윤리위원회에 의한 포로토콜 이탈에 대한 모호한 해석을 낳고 보고를 지연시킬 수 있음.
또 다른 어려움은 스폰서들의 해석이 보건당국의 해석과 다를 수 있다는 것임. 기관의 조사관들은 스폰서들이 중요하다고 또는 중요하지 않다고 분류한 프로토콜 이탈 정의와 유형 구분에 에 동의하지 않음. 불행하게도, 프로토콜 이탈의 정의와 구분은 특정 용도에 대한 검사 시점의 전까지 알려져 있지 않고, 따라서 동시적인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시점을 훨씬 넘어서게 됨.
궁극적으로, 프로토콜 이탈의 정의상 이 같은 불일치는 신약의 효과적인 전달에 장애물을 만들게 되었고 이 같은 모호성은 해당 분야에서 어떻게 개선을 할 것인가에 대한 생각과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이끌었음.
이 같은 연유로, TransCelerate의 프로토콜 이탈 이니셔티브는 FDA의 피드백을 받아 중요한 프로토콜 이탈에 대한 개정된 정의를 제안했고, 여러 피드백을 포함하여 식별부터 보고까지 프로토콜 이탈 관리의 다중 프로세스를 명확히 하는데 도움이 되는 세 가지 도구를 개발함.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토콜 이탈 툴킷은 보다 유연한 프로토콜 이탈 관리 접근법을 설명하는 제안된 프레임워크인 프로토콜 이탈 절차 안내, 중요한 프로토콜 이탈에 대한 ICH E3항목의 정의의 제안된 해석에 기초한 고려 요소 및 기타 관련된 프로토콜 이탈 지침으로 구성됨. 또한 중요한 이탈 및 중요하지 않은 이탈과 그간 피드벡 범주와 관련하여 제안된 이탈 관리 절차의 프로토콜 이탈 맵을 포함함. 또한 툴킷에는 프로토콜별 중요 이탈의 식별 및 문서화를 지원하는 템플릿 역할을 하는 프로토콜 이탈 평가 계획이 포함되어 있음.
이 툴킷과 수정된 프로토콜 이탈 정의는 가능한 불확실성과 비효율성을 감소시킴으로써 현장이 임상시험 참가자를 더 잘 지원할 수 있도록 하며, 실제로 환자, 규제 기관, 스폰서 회사 및 사이트와 같은 모든 이해관계자는 프로토콜 편차가 정확히 무엇인지 더 잘 이해함으로써 이익을 얻을 것임.
환자 및 대상자들은 중요한 프로토콜 이탈 식별의 개선과, 안전성 및 인간 대상자의 보호 수준 향상, 연구대상자의 임상연구 경험을 잠재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현장 부담 감소 등을 얻을 수 있을 것임. 연구 현장의 주된 이점은 프로토콜 이탈 정의와 관리를 위한 관련 연구 장소 절차의 부담을 줄여 혼란을 줄이고 중요한 위반을 확인하는 속도를 증가시킨다는 것임. 다시, 이는 연구 대상자들과의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음.
스폰서들은 또한 프로토콜 이탈 계획, 처리, 분석 및 보고 메커니즘의 일관성을 증가시킴으로써 부담을 줄일 수 있음. 프로토콜 이탈 관리 절차에 위험 기반 접근방식의 ICH.E3.R2. 개념을 적용하는 것은 환자의 안전, 연구 데이터의 신뢰성, 인간 피험자의 보호 및/또는 데이터 품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상황의 더 빠른 식별을 지원할 수 있음.
마지막으로, 규제 당국은 실제로 중요한 것(즉, 환자 안전, 연구 데이터의 신뢰성, 인간 대상 보호 및 데이터 품질과 관련된 편차)에 초점을 맞춘 프로토콜 편차 보고와 편차 보고를 감소시킬 수 있게됨.
전반적으로, 프로토콜 이탈 이니셔티브는 프로토콜 이탈 관리에 대한 전체적인 접근방식을 지원하는 지속 가능한 프레임워크를 만드는 데 전념하고 있음. 그렇게 하기 위해, 우리는 연구 대상자의 안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수집된 데이터의 무결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그리고 그들이 연구를 보고 그 데이터를 평가하려고 할 때 규제자들에게 중요한 것을 식별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음. 이러한 서로 다른 상황을 더 잘 이해하면 연구 데이터나 환자의 권리, 안전 또는 웰빙의 해석 가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상황을 신속하게 식별하는 핵심적이고 실용적인 목적을 추가로 지원할 것임.
이 작업은 위험 기반 및 이슈 관리 접근법을 사용하여 현재 다양하고 복잡한 프로토콜 편차 프로세스를 효율화하고 명확하게 할 것임. 이것은 궁극적으로 생물무기산업 전반에 대한 중심적인 목표를 지원하는 데 도움이, 즉, 도움이 필요한 환자들에게 생명을 바꾸는 의약품의 공급을 촉진하는 것을 지원해야 함.
- 캐서린 스튜어트(Catherine Stewart) 기고
파이자(Pfizer) 및 로라 갈루치(Laura Galuchie) 임상과학 그룹 리더, Merck TransCelerate 프로그램 리더
*기사 출처
https://www.clinicalleader.com/doc/protocol-deviation-reporting-cutting-through-the-ambiguity-0001
*프로토콜 이탈 툴킷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