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재 일자 : | 2019-04-26 |
---|---|
키워드 : | WHO, digital health interventions, 디지털, 보건의료, 지침, 중재, intervention, 가이드라인, 권고안 |
WHO는 오늘(2019.4.17.) 국가들이 사람들의 보건의료와 필수 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해 휴대 전화, 태블릿 및 컴퓨터를 통해 접근 가능한 디지털 보건의료 기술을 사용할 수 있는 10가지 방법에 대한 새로운 권고안을 발표했음. (해당 지침: 「WHO Guideline: recommendations on digital interventions for health system strengthening」)
WHO 사무총장 Tedros Adhanom Ghebreyesus 박사는 “보편적인 의료 보장(universal health coverage)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기술의 힘을 활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궁극적으로 디지털 기술 자체는 끝이 아니다; 그것들은 건강을 증진하고, 세계를 안전하게 지키고, 취약한 사람들을 위해 봉사하는 데 필수적인 도구다. “라고 말함.
지난 2년 동안 WHO는 디지털 기술에 대한 근거를 체계적으로 검토하고 전 세계 전문가와 상의하여 보건의료시스템과 사람들의 보건의료에 최대한의 영향을 줄 수 있는 몇 가지 주요 방법에 대한 권고안을 작성했음.
일부 지역에서 이미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디지털 중재(digital intervention)는 임산부에게 산전 진료 약속을 지키고 자녀에게 예방 접종을 위해 돌아오는 알림을 보내는 것임. 검토된 다른 디지털 접근법에는 의료 종사자가 의료를 제공 할 때 안내하는 의사 결정 지원 도구, 서로 다른 지역의 개인과 의료 종사자가 건강 문제에 관해 소통하고 상담 할 수 있도록 함.
"디지털 기술의 사용은 사람들의 건강을 향상시키는 새로운 기회를 제공한다"라고 WHO의 수석 과학자 Soumya Swaminathan 박사는 말함. "그러나 또한 근거에 따르면 일부 개입의 영향에 있어 문제점이 있다."
그녀는 다음과 같이 덧붙임: "디지털 기술이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보건의료 시스템에 통합되려면 전통적인 보건의료 서비스 제공 방식에 비해 장기적인 개선 효과를 보여줄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지침은 자원(물자) 관리를 개선 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리킴. 디지털 기술을 통해 의료 종사자는 자원의 재고 및 격차의 상태에 대해 보다 효율적으로 의사소통 할 수 있음. 그러나 알림만으로는 자원 관리를 개선하기에 충분하지 않음. 보건의료 시스템은 또한 필요한 자원을 보충하기 위해 적시에 대응하고 조치를 취해야 함.
디지털 혁신과 연구 분야의 WHO 과학자인 Garrett Mehl 박사는 "디지털 개입은 문맥에 크게 의존하며 적절한 설계를 보장한다"고 경고함. "여기에는 사용 중인 환경의 구조적 문제, 사용 가능한 인프라, 해결하려는 보건의료 요구 사항 및 기술 자체의 사용 용이성이 포함된다."
Digital health interventions are not sufficient on their own
디지털 보건의료 개입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음.
이 지침은 보건의료 시스템이 정보의 가시성과 가용성 증가에 대응해야 함을 보여줌. 또한 사람들은 자신의 데이터가 안전하고 성적(sexual), 생식 건강 문제와 같은 민감한 보건의료 주제에 관한 정보에 접근했기 때문에 위험에 처하지 않았음을 확신해야 함.
보건의료 종사자는 새로운 작업 방식으로 전환하려는 동기를 높이기 위해 적절한 훈련이 필요하며, 이 기술을 쉽게 사용해야 함. 이 지침은 훈련을 위한 지원 환경을 제공하고, 불안정한 인프라를 다루는 것뿐만 아니라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정책, 그리고 이러한 도구가 보건의료 시스템 전반에서 단편화되지 않도록 하는 관리 및 조정의 중요성을 강조함.
이 지침은 의사 결정자와 구현자가 디지털 도구로 확실한 변화를 이끌어내고 환자 데이터 접근에 대한 프라이버시 고려 사항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려는 경우 이러한 조건을 검토하고 적용하도록 권장함.
WHO의 최고 정보 관리 책임자인 Bernardo Mariano는 "디지털 보건의료는 은색의 탄환이 아니다. WHO는 가능한 한 효과적으로 사용되도록 노력하고 있다. 이는 이러한 기술을 사용하는 보건의료 종사자 및 개인에게 부가가치를 보장하고 인프라의 한계를 고려하며 적절한 조정이 이루어지도록 보장하는 것을 의미한다."라고 말함.
이 지침은 또한 원거리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휴대폰, 웹 포털 또는 기타 디지털 도구를 사용하여 보건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원격 진료에 대한 권장 사항을 제시함. WHO는 이것이 대면 상호작용의 소중한 보완책이지만 완전히 대체 할 수는 없다고 라고 지적함. 자격을 갖춘 보건의료 종사자가 협의하고 개인의 건강 정보의 프라이버시가 유지되는 것이 중요함.
이 지침은 취약 계층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고 디지털 보건의료가 어떤식으로든 위험에 처하지 않도록 보장함.
WHO’s work on digital health
디지털 보건의료에 대한 WHO의 노력
이 지침은 디지털 기술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많은 탐구 중 첫 번째로, 디지털 보건의료의 여러 측면 중 일부만을 다루었음.
2018년 각국 정부들은 보편적인 의료 보장을 달성하려는 국가적 노력을 지원하기 위해 WHO가 디지털 보건의료에 관한 글로벌 전략을 개발할 것을 촉구하는 세계 보건 총회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채택했음. 이 전략은 2020년 세계 보건 총회에서 검토 될 예정임.
WHO가 자신들의 초점을 디지털 보건의료로 확대하고 있지만, WHO는 수년간 이 분야에서 일 해왔음. 예를 들면, 2012년 eHealth Strategy Toolkit을 개발하여 ITU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Union)와 공동으로 발간한 바 있음.
각국 정부가 디지털 자원 모니터링 및 조정을 지원하기 위해 WHO는 디지털 보건의료 활동을 등록 할 수 있는 온라인 글로벌 저장소인 ‘Digital Health Atlas’를 개발했음. WHO는 또한 비전염성 질병 예방 및 통제를 위한 ‘BeHe@lthy’, ‘BeMobile 이니셔티브’와 같은 ITU와 혁심적인인 파트너쉽을 확립해 옴. 또한 WHO 지역 사무소를 통해 디지털 보건의료 역량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함.
수년 동안 WHO는 ‘MAPH (mHealth Assessment and Scale for Scale) 툴킷’, ‘디지털 보건의료 모니터링 및 평가 핸드북(handbook for Monitoring and Evaluation of Digital Health)’, TB(결핵)를 종식시키기 위한 디지털 보건의료 매커니즘 등 디지털 보건의료 연구 및 구현을 강화하기 위한 많은 자원들을 발표했음.
2019년 3월 6일, Tedros 박사는 디지털 기술 평가에 있어서 WHO의 역할을 강화하고 회원국의 우선 순위 결정, 통합 및 규제에서 WHO의 역할을 강화하고 회원국을 지원하기 위해 ‘디지털 보건의료부(Department of Digital Health)’의 창설을 발표했음.
원문 출처: https://www.who.int/news-room/detail/17-04-2019-who-releases-first-guideline-on-digital-health-interventions
해당 지침 “WHO Guideline: recommendations on digital interventions for health system strengthening” https://www.who.int/reproductivehealth/publications/digital-interventions-health-system-strengthening/en/
<기타>
관련 사이트
- Digital Health Atlas : https://digitalhealthatlas.org/en/-/
관련자료
- mHealth Assessment and Planning for Scale (MAPS) toolkit : https://apps.who.int/iris/bitstream/handle/10665/185238/9789241509510_eng.pdf?sequence=1
- handbook for Monitoring and Evaluation of Digital Health : https://apps.who.int/iris/bitstream/handle/10665/252183/9789241511766-eng.pdf;jsessionid=B7457633E61BAB49A91CF9939267525B?sequence=1
- harness digital health to end TB : https://www.who.int/tb/publications/digitalhealth-TB-agenda/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