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 의료경영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567036 


개정된 의료사고 피해구제 및 의료분쟁 조정 등에 관한 법률 시행에 따른 의사의 진료행태 변화에 관한 연구 : 정신건강의학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revised medical dispute mediation act on medical practice behavior : focusing on Psychiatrists and Defensive Medicine


http://www.riss.kr/link?id=T14567036

  • 저자[authors] 강유평

  • 발행사항 서울 :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7

  • 형태사항[Description] [vi], 55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Note] 경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지도교수: 오현종 참고문헌: p. 43-48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 의료경영학과 2017. 8

  • 발행국(발행지)[Country] 서울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 : 의료사고 피해구제 및 의료분쟁 조정 등에 관한 법률,의료분쟁조정법,심리적 불안도,방어진료,의사 진료행태,정신건강의학과

  • 소장기관[Holding]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211006).



  • 초록[abstracts] 

『의료사고 피해구제 및 의료분쟁 조정 등에 관한 법률(의료분쟁조정법)』은 2012년 4월 8일 부로 시행되면서 조정신청 각하제도로 인해 조정의 개시율이 40% 정도에 머물러 있었다. 제도의 활성화를 위해 조정의 강제개시를 포함한 개정된 법률이 2016년 11월 30일 부터 시행되면서, 법률의 개정으로 의료분쟁 조정의 개시율의 상승에 대한 장점과 함께 과잉진료나 진료기피의 방어진료 증가의 우려가 제기되었다. 또한 개정된 의료분쟁조정법의 강제 조정 개시의 법률적 시행에 따른 방어 진료 행태의 변화와 함께 정신건강의학과 의사들의 불안도의 정도에 따른 방어진료의 조절효과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문헌 고찰을 통해서 의료분쟁조정법의 법적인 특성을 의료분쟁 조정을 성립하기 위한 강제성과 경제성, 의료분쟁 조정이 성립되고 난 후의 빠른 해결을 위한 신속성 3가지의 특성으로 구분하여 각 요소들이 양성 방어진료와 음성 방어진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정신건강의학과 의사들의 불안도의 정도에 따른 방어진료의 행태에 대한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설문을 개발하여 250명의 정신건강의학과 의사들을 대상으로 실증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의료분쟁 조정의 성립을 위한 강제성과 경제성은 양성과 음성 방어진료 모두를 증가하는 정(+)의 효과를 보였고 분쟁조정의 빠른 해결을 위한 신속성은 방어진료를 감소시키는 부(-)의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의사들의 불안도를 평균으로 나누어 본 낮은 집단에서는 강제성이 방어진료에 조절효과를 주지 않았지만 불안도가 높은 집단에서는 방어진료를 증가하게 하는 조절효과를 보였다. 신속성은 불안도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모두에서 방어진료를 감소시키는 조절효과를 보였다. 경제성은 불안도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모두에서 방어진료를 증가시키는 조절효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개정의료분쟁조정법에서 의료분쟁 조정을 성립하게 하는 강제성과 경제성은 정신건강의학과 의사들의 방어진료에 있어 양성과 음성 방어진료 모두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분쟁조정이 성립된 이후의 신속성은 양성과 음성 방어진료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정신건강의학과 의사들의 불안도가 낮은 집단 보다 높은 집단에서 강제성에 따른 방어진료가 증가하는 조절효과를 보였고 경제성은 낮은 불안도 집단과 높은 불안도 집단에서 모두 방어진료가 증가하며 불안도가 높을수록 방어진료를 강화하는 조절효과를 보였으며 신속성은 두 집단 모두에서 방어진료를 감소시키는 조절효과를 보였다.


초록[abstracts] The Medical Dispute Mediation Act was enacted on April 8, 2012; however, the commencement rate of mediation had been stagnant at approximately 40% due to the dismissal system as part of the Act. In order to revitalize the mediation system, the Act was revised on November 30, 2016, which included compulsory commencement of mediation. In this study, legal attributes of the revised Medical Dispute Mediation Act were first broken down into three factors of compulsory, economic, and prompt, and medical practice behavior comprised two factors of positive defensive medicine and negative defensive medicine, Subsequently, the effects of the Act on medical practice behavior were empirically studied with the degree of anxiety retained by the provider as a moderator. Psychiatrists were selected for survey through the stratified sampling method, and a total of 250 responses were used for the empirical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Compulsory and economic factors of the Act positively affected both positive and negative defensive medicine, and prompt factor had a negative effect on defensive medicine. In the group of psychiatrists with a lower level of anxiety, compulsory factor did not have a moderating effect on defensive medicine. However, in the group of psychiatrists with a higher level of anxiety, compulsory factor did increase defensive medicine. The negative effect of prompt factor on defensive medicine was moderated by the level of anxiety in both of the psychiatrist groups, and the positive effect of economic factor on defensive medicine was moderated by the level of anxiety in both of the psychiatrist groups as well.


목차[Table of content] 



제 1 장 서론 1 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제 2 절 연구의 목적 3 제 2 장 이론적 배경 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49
3608 9 보건의료 한국 의료서비스 이용과 제공의 공간적 특성 / 양호민 2018  110
3607 9 보건의료 한국의 예술치료와 호스피스 완화의료 / 김창곤 2015  327
3606 20 죽음과 죽어감 영국 성인돌봄서비스 시장에 대한 감독 개혁과 한국 장기요양의 시사점 / 전용호 2018  123
3605 4 보건의료 철학 우리나라 임상심리학자들의 전문역량, 활동 현황 및 발전방향 / 권정혜 2018  377
3604 9 보건의료 보험수가 결정과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대책 / 김영삼 2018  108
3603 9 보건의료 방사선 분야의 신의료기술평가 및 건강보험 등재 현황에 관한 연구 / 조영권 2017  65
3602 9 보건의료 이주여성과 사회보장법제 / 노호창 2017  86
3601 9 보건의료 독일 의료제도개혁에 관한 소고 / 백승흠 2017  378
3600 9 보건의료 가치 향상과 의료 혁신을 위한 건강보험 지불제도 개혁 방향 / 강희정 2017  118
3599 20 죽음과 죽어감 현대 죽음의 철학을 넘어서 : 르네 지라르와 생명신학 / 정일권 2018  162
3598 2 생명윤리 인체 유래물 사용 연구와 생명윤리법 / 김용진 2018  56
3597 1 윤리학 신경윤리의 독자성과 주요 쟁점들 / 김효은 외 2018  156
3596 20 죽음과 죽어감 사망 관련 비용(Cost of Dying)에 대한 경제적 분석 : 과잉진료와 삶의 질을 중심으로 / 안영 2018  103
» 8 환자 의사 관계 개정된 의료사고 피해구제 및 의료분쟁 조정 등에 관한 법률 시행에 따른 의사의 진료행태 변화에 관한 연구 / 강유평 2017  169
3594 20 죽음과 죽어감 사망 관련 비용(Cost of Dying)에 대한 경제적 분석 - 과잉 진료와 삶의 질을 중심으로 - 1) / 안영 외 2017  133
3593 9 보건의료 의료급여환자의 의료이용행태에 관한 질적 분석 / 박영희, 이용재 2017  1133
3592 9 보건의료 의료수요자 중심의 통합의료모델 개발을 위한 의료전문직의 인식에 대한 연구 / 정우진 외 2016  169
3591 9 보건의료 무엇이 과잉진료를 부추기는가?: 과잉진료의 원인 고찰과 대책 / 박석건 외 2016  570
3590 9 보건의료 국민안전과 존엄을 위한 의료법제의 정비 / 정철 2015  120
3589 1 윤리학 민법상 친자관계의 결정 / 우병창 2018  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