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科學敎育硏究誌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6180097 
생명과학 공통성 발견 과제 수행에서 대상의 수가 공통성 지식 생성과 뇌 활성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Number of Targets on Commonness Knowledge Generation and Brain Activity during the Life Science Commonness Discovery Task Performance

  • 저자[authors] 김용성,정진수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科學敎育硏究誌
  • 권호사항[Volume/Issue] Vol.43No.1[2019]
  • 발행처[publisher]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57-172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9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number of targets on common knowledge generation and brain activity during the common life science discovery task performance. In this study, 35 preliminary life science teachers participated. This study was intentionally made a block designed for EEG recording. EEGs were collected while subjects were performing common discovery tasks. The sLORETA method and the relative power spectrum analysis method were used to analyze the brain activity difference and the role of activated cortical and subcortical regions according to the degree of difficulty of common discovery task. As a result of the study, in the case of the Theta wave, the activity of the Theta wav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frontal lobe and increased in the occipital lobe when the difficult difficulty task was compared with the easy difficulty task. In the case of Alpha wave, the activity of Alpha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frontal lobe when performing difficult task with difficulty. Beta wave activity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frontal lobe, parietal lobe, and occipital lobe when performing difficult task. Finally, in the case of Gamma wave, activity of Gamma wave decreased in the frontal lobe and activity increased in the parietal lobe and temporal lobe when performing the difficult difficulty task compared to the task of easy difficulty. The level of difficulty of the commonality discovery task is determined by the cingulate gyrus, the cuneus, the lingual gyrus, the posterior cingulate, the precuneus, and the sub-gyral where it was shown to have an impact. Therefore, the difficulty of the commonality discovery task is the process of integrating the visual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imag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comparing the attributes of the objects, selecting the necessary information, visual work memory process of the selected information. It can be said to affect the process of perception.

국문 초록[abstracts] 
이 연구의 목적은 난이도가 다른 생명과학 공통성 발견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뇌 활성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는 35명의 예비 생명과학교사들이 참여하였다. 이 연구는 뇌파 기록을 위한 블록디자인으로 설계되었다. 피험자들이 공통성 발견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뇌파가 수집되었다. sLORETA 분석 방법과 상대파워스펙트럼 분석 방법은 2개의 소재로 구성된 쉬운 난이도의 과제를 수행할 때와 5개의 소재로 구성된 어려운 난이도의 과제를 수행할 때 뇌 활성 차이를 분석하는 데에 이용되었다. 그리고 공통성 발견 과제의 난이도에 따라 활성화된 대뇌 피질과 피질하 영역의 역할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결과, 세타파의 경우, 쉬운 난이도 과제와 비교하여 어려운 난이도 과제 수행 시 세파타의 활성은 전두엽에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 후두엽에서는 증가하였다. 알파파의 경우, 쉬운 난이도 수행시보다 어려운 난이도의 과제를 수행할 때 전두엽에서 알파파의 활성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베타파의 활성은 어려운 난이도의 과제를 수행할 때 쉬운 난이도의 과제 수행시보다 전두엽, 두정엽, 후두엽에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마지막으로 감마파의 경우 쉬운 난이도의 과제를 수행할 때와 비교하여 어려운 난이도의 과제를 수행할 때 감마파의 활성이 전두엽에서는 감소하였고 두정엽과 측두엽에서는 활성이 증가하였다. 공통성 발견 과제의 난이도 수준은 대상이랑(cingulate gyrus), 쐐기소엽(cuneus), 혀이랑(Lingual gyrus), 후측 대상피질(posterior cingulate), 쐐기전소엽(precuneus), 엽하영역(sub-gyral)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공통성 발견 과제의 난이도는 이미지로부터 인출된 시각적 정보와 위치정보를 통합하는 과정, 대상의 속성을 비교하고 필요한 정보를 선택하는 과정, 선택한 정보의 시각적 작업 기억 과정, 이 모든 과정에서의 주의집중에 대한 인지과정에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49
4508 8 환자 의사 관계 보건의료전공 대학생들의 환자안전에 대한 태도와 수행자신감 / 위성욱 2019  107
4507 18 인체실험 빅데이터 기반 의료 임상 결과 분석 / 황승연 외 2019  116
4506 1 윤리학 인공지능과 법률 서비스:현황과 과제 / 전정현, 김병필 2019  225
4505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기반 과학기술과 국민의 권익구제- 자율주행차, 드론 및 의료기기를 중심으로 / 김광수 2019  157
4504 4 보건의료 철학 지역사회 보건인력의 문화적 역량과 영향 요인 / 박은옥, 강경자 2019  99
4503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 권리에 대한 개념 분석 / 전혜숙 2019  1199
4502 8 환자 의사 관계 의과대학생을 위한 환자안전 교육의 국제적 동향 및 국내 현황 / 노혜린 2019  115
4501 1 윤리학 흄의 의료윤리와 정직의 덕 / 김다솜 2019  195
4500 19 장기 조직 이식 일개 지역 종합병원 직원들의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대한 태도 분석/장윤하 2018  104
4499 19 장기 조직 이식 특수부서 간호사의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지식과 태도/오영란 2018  3323
4498 9 보건의료 감정노동과 직무소진과의 관계에서 조직지원인식과 자기위로능력의 매개효과 / 허수진 2017  139
4497 20 죽음과 죽어감 기독교 죽음준비교육이 죽음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장경희 2017  291
4496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상담 평가에서 기대되는 것 / 손예나, 이상엽 2017  120
4495 19 장기 조직 이식 안구기증에 대한 지식이 안구기증 태도와 실천의지에 미치는 영향 / 박민혜 외 2017  104
4494 19 장기 조직 이식 신체이식의 윤리적‧법률적 쟁점에 관한 고찰 / 이인영 2019  337
4493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환자의 치료지시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이정아, 김영아, 정향인 2019  118
4492 9 보건의료 바이오헬스 혁신시스템에서 규제의 역할과 새로운 방향성/ 이명화 2018  72
4491 9 보건의료 바이오 헬스케어 분야 국가연구개발 특허성과 네트워크 분석 / 권영은, 김재수 2018  155
4490 9 보건의료 임상병리 진단검사에서 사물인터넷(IoT) 융합기술에 대한 최신지견 / 김진희 2017  192
4489 9 보건의료 지속 가능한 고령사회를 위한 미래 전략: - 질병관리에서 건강관리로의 패러다임 전환 - / 어호용 2018  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