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9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고신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5050520 
간호대학생의 연명의료계획서 지식, 생명의료윤리 의식 및 호스피스 인식이 연명의료중단 태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Nursing student's Knowledge of Life-Sustaining Treatment plan,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Perception of Hospice on the attitude toward Withdrawal Life-Sustaining Treatment.

  • 저자[authors] 정유진
  • 발행사항 부산 : 고신대학교 대학원, 2019
  • 형태사항[Description]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이영은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고신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2019. 2
  • 발행국(발행지)[Country] 부산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9
  • 주제어 간호대학생,연명의료중단 태도,연명의료계획서 지식,생명의료윤리 의식,호스피스 인식
  • 소장기관[Holding] 고신대학교 문헌정보관 (221003)
  • UCI식별코드 I804:21003-200000182766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year of 2016 marks the passage and legislation of the「Act on Decisions Life-Sustaining Treatment for Patients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or at the End of Life」At the present time, nursing students must understand legal and ethical standards of nursing practice regarding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and be able to integrate them into nursing practice. Furthermore, as a future nurse, nursing students must establish appropriate attitudes regarding life-sustaining treatment as counselors in order to support the patient's family and make the right decision.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tudy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ursing student’s knowledge of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plan,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and perception of hospice on the attitude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The subjects in the study were 238 current nursing students of D, A, and K universities in B metropolitan city and K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30th 2018 to September 20th of the same year. After obtaining IRB consent from K university in B metropolitan city, data were collected via questionnaire.   The attitude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was measured by a diagnostic tool developed by Gye-Sun Park(2000), revised by Eun-Kyeong Byun(2003) as well as Soo-Jeong Lee and Hye-Young Kim(2016), which was then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the present researcher. To measure knowledge of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plan, a diagnostic tool developed by Boon-Han Kim(2010) and modified by Seong-Bok Kim(2011) was further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the researcher, taking account of the new law. The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was measured by a diagnostic tool first devised as an ethics survey by Young-Suk Lee(1990), revised by Seon-Joo Kwon(2003) to be a diagnostic tool for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later simplified by Yoon-Joo Lee and In-Oh Moon(2015), and finally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the researcher. The diagnostic tool for perception of hospice care was originally developed by Yong-Joo Lee(2004) to evaluate awareness of hospice goal and necessity, which was later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Ji-Young Han and Ne-Young Lee(2009) to measure perception of hospice car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IBM. SPSS. WIN 18.0 program to determine error, percentage, mean, minimum value, maximum value, mean, mean score,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ANOVA as well as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subjects had a low knowledge level about life-sustaining treatment plan, with mean of 54.18±16.64 points out of a 100(range: 0-100).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was above average, with mean of 44.82±5.44 points(range: 14-56) and mean score of 3.20±0.39 points(range: 1-4). Perception of hospice care was in a relatively high level, with mean of 60.76±6.68 points(range: 15-75) and mean score of 4.05±0.45 points(range: 1-5). Attitude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was above average, with mean of 47.36±5.17 points(range: 36-67) and mean score of 3.38±0.37 points (range: 1-5).  2. The subject’s attitude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certain characteristics, such as marital status(t=-2.538, p=.012), current grade in nursing school(t=-2.195, p=.026), ethical values(t=2.188, p=.030), and previous education on hospice care (t=2.257, p=.025).  3. The subject’s attitude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erception of hospice care(r=.393, p<.001) and its subcategories: perception of necessity of hospice care(r=.370, p<.001) and perception of goal of hospice care(r=.302, p<.001). Attitude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ubcategories of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fetal right of life(r=-.181, p=.005) and brain death(r=-.140, p=.031). 4. Perception of necessity of hospice care had the greatest effect on the subject’s attitude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276, p<.001), followed by fetal right of life(which is a subcategory of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186, p=.004) and current grade in school(=.119, p=.047) in order. Its over all explanatory power was 24.5%.    The finding here above results, in order to positively change the attitude toward withdrawal life-sustaining treatment, a nursing education is necessary which can improve the biomedical ethics consciousness and the perception of hospice as considering the grade.

국문 초록 (Abstract) 
2016년「호스피스 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고 시행되는 현 시점에서 간호대학생은 연명의료중단에 대해 간호실무의 법적, 윤리적 기준을 이해하고 간호실무에 통합할 수 있는 역량을 길러야 한다. 또한 간호대학생은 미래 간호사로서 연명의료중단 결정시 환자의 가족을 지지하며 올바른 판단을 할 수 있도록 상담자의 역할을 해야 하므로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올바른 태도를 정립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연명의료계획서 지식, 생명의료윤리 의식, 호스피스 인식이 연명의료중단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B광역시 및 K시에 소재한 D대학교, A대학교, K대학교 간호학과에 재학중인 학생 238명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8년 8월 30일부터 동년 9월 20일까지였다. 자료수집 방법은 B광역시 소재 K대학교의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의 승인을 받은 후 설문지를 사용하여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로 연명의료중단 태도 측정은 박계선(2000)이 개발하고 변은경 등(2003), 이수정과 김혜영(2016)이 수정 보완한 도구로 본 연구자가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연명의료계획서 지식 측정은 김분한 등(2010)이 개발한 연명의료중단 지식 측정도구를 김성복(2011)이 수정한 도구를 토대로 본 연구자가 연명의료결정법을 반영하여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생명의료윤리 의식 측정은 이영숙(1990)이 고안한 윤리적 가치관 설문지를 권선주(2003)가 생명의료윤리 의식으로 수정하고 이윤주와 문인오(2015)가 단축형으로 개발한 도구로 본 연구자가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호스피스 인식 측정은 이용주(2004)가 개발한 호스피스 목적과 호스피스 필요성에 대한 인식 도구로 한지영과 이내영(2009)이 수정, 보완한 호스피스 인식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IBM.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최소값, 최대값, 평균, 평균평점과 표준편차, t-test, ANOVA와 Scheffé test 및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연명의료계획서에 대한 지식의 점수는 100점 만점에 평균 54.18±16.64점(도구범위: 0-100)으로 낮은 수준이었다. 생명의료윤리 의식 정도는 평균 44.82±5.44점(도구범위:14-56), 평균평점 3.20±0.39점(척도범위: 1-4)으로 중간 이상이었다. 호스피스 인식 정도는 평균 60.76±6.68점(도구범위: 15-75), 평균평점 4.05±0.45점(척도범위:1-5)으로 높은 수준이었다. 연명의료중단 태도 정도는 평균 47.36±5.17점(도구범위: 36-67), 평균평점 3.38±0.37점(척도범위: 1-5)으로 중간 이상이었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연명의료중단 태도 정도는 일반적 특성 중 결혼상태(t=-2.538, p=.012), 학년(t=-2.195, p=.026), 윤리적 가치관(t=2.188, p=.030), 호스피스 교육 경험(t=2.257, p=.025)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대상자의 연명의료중단 태도는 호스피스 인식과 양의 상관관계(r=.393, p<.001), 호스피스 인식의 하위영역인 호스피스 필요성 인식(r=.370, p<.001), 호스피스 목적 인식(r=.302,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연명의료중단 태도는 생명의료윤리 의식의 하위영역 중 태아 생명권(r=-.181, p=.005), 뇌사(r=-.140, p=.031)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4. 대상자의 연명의료중단 태도 정도에 영향력이 가장 큰 요인은 호스피스 필요성 인식(=.276, p<.001)이었고, 다음으로 생명의료윤리 의식의 하위 요인 중 태아 생명권(=-.186, p=.004), 학년(=.119, p=.047)순이었으며, 총 설명력은 24.5%이었다.    결론적으로 간호대학생의 연명의료중단 태도를 긍정적으로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학년을 고려하여 생명의료윤리 의식과 호스피스 인식을 향상시키는 간호교육이 필요하다고 본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49
4508 8 환자 의사 관계 보건의료전공 대학생들의 환자안전에 대한 태도와 수행자신감 / 위성욱 2019  107
4507 18 인체실험 빅데이터 기반 의료 임상 결과 분석 / 황승연 외 2019  116
4506 1 윤리학 인공지능과 법률 서비스:현황과 과제 / 전정현, 김병필 2019  225
4505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기반 과학기술과 국민의 권익구제- 자율주행차, 드론 및 의료기기를 중심으로 / 김광수 2019  157
4504 4 보건의료 철학 지역사회 보건인력의 문화적 역량과 영향 요인 / 박은옥, 강경자 2019  99
4503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 권리에 대한 개념 분석 / 전혜숙 2019  1199
4502 8 환자 의사 관계 의과대학생을 위한 환자안전 교육의 국제적 동향 및 국내 현황 / 노혜린 2019  115
4501 1 윤리학 흄의 의료윤리와 정직의 덕 / 김다솜 2019  195
4500 19 장기 조직 이식 일개 지역 종합병원 직원들의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대한 태도 분석/장윤하 2018  104
4499 19 장기 조직 이식 특수부서 간호사의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지식과 태도/오영란 2018  3323
4498 9 보건의료 감정노동과 직무소진과의 관계에서 조직지원인식과 자기위로능력의 매개효과 / 허수진 2017  139
4497 20 죽음과 죽어감 기독교 죽음준비교육이 죽음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장경희 2017  291
4496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상담 평가에서 기대되는 것 / 손예나, 이상엽 2017  120
4495 19 장기 조직 이식 안구기증에 대한 지식이 안구기증 태도와 실천의지에 미치는 영향 / 박민혜 외 2017  104
4494 19 장기 조직 이식 신체이식의 윤리적‧법률적 쟁점에 관한 고찰 / 이인영 2019  337
4493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환자의 치료지시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이정아, 김영아, 정향인 2019  118
4492 9 보건의료 바이오헬스 혁신시스템에서 규제의 역할과 새로운 방향성/ 이명화 2018  72
4491 9 보건의료 바이오 헬스케어 분야 국가연구개발 특허성과 네트워크 분석 / 권영은, 김재수 2018  155
4490 9 보건의료 임상병리 진단검사에서 사물인터넷(IoT) 융합기술에 대한 최신지견 / 김진희 2017  192
4489 9 보건의료 지속 가능한 고령사회를 위한 미래 전략: - 질병관리에서 건강관리로의 패러다임 전환 - / 어호용 2018  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