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노인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923343 
생애말기 환자의 커뮤니티 케어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Community care for end of life period patients : mainly on Pusan City


  • 저자[authors] 김수정(Kim Soo Jung)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노인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018No.11[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노인복지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320-342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생애말기 커뮤니티 케어,생애말기 환자,죽음준비,호스피스 완화케어,Well-Dying,end of life period community care,end of life period patient,death preparation,hospice palliative care


초록[abstracts] 
[2018년 2월부터 연명의료결정법이 시행되면서 무의미한 연명치료가 환자나 가족 모두에게 바람직하지 않다는 인식도 정착되어가고 있고, 국가가 정책적 호스피스완화의료를 지원하며, 관련 의료기관도 늘고 있는 추세이다. 생애말기는 ‘죽음에 임박한 특정 시점’이 아니라 임종기를 향해가는 시간적 과정의 연속적 개념으로 생애말기 생활기반 안정(Well-Bing)정책과 임종기 생애마무리 지원(Well-Dying)정책이 동시에 지원되어야 한다. 국내 생애말기 지원정책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재택의료 서비스 미진으로 자택에 머물면서 치료하기 어려운 실정이 가장 심각한 문제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생애말기에 있는 환자들이 임종기 생애마무리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생애말기 커뮤니티 케어시스템 구축을 위한 욕구 조사에 바탕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부산광역시 호스피스 센터의 생애말기 환자의 서비스에 대한 욕구를 확인하고 현재 받고 있는 서비스의 만족도와 삶의 질을 파악함으로써 앞으로의 생애말기 커뮤니티 케어의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데 있다.    부산광역시 호스피스센터에서 재가 서비스를 받고 있는 생애말기에 놓여있는 환자 205명을 대상으로 조사원 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기대여명이 6개월 미만의 생애말기 환자의 경우 어떠한 서비스와 선택의 기준을 하는지와 죽음준비 혹은 교육에 대한 이해정도를 파악할 수 있었다. 서비스선택의 기준이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β= -.321, p<.001), 서비스 선택의 기준이 삶의 질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서비스 선택기준이 죽음준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β= -.237, p<.01)를 보여주었다. 서비스 선택기준이 죽음준비에 미치는 영향(β= -.200, p<.01)과 삶의 질에 있어서 죽음준비의 매개효과(β= .514, p<.001)를 분석한 결과,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With the enforcement of life extension decision Act, it is now well understood that meaningless life extension treatment is not desirable for both patients and their family.    The government is, with its policy, supporting hospice palliative treatment and related medical institutions are increasing. End of life period should not be seen just as a certain point of time near death, but be seen as continuous period of time approaching toward death. In that period, governmental support is necessary especially for living condition improvement (well being) during end of life period and for ending life (well dying). According the analysis of governmental support for the domestic end of life period patients, the most serious problem was that patient could not get treatment at home due to the lack of home care services.    This study is based on the research of people’s demand of establishing community end of life care system, which supports end of life pati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need of end of life period patients from Pusan area’s hospice center, and to assess satisfaction of the current service and the quality of life, and therefore to find out how to improve community care for end of life period patients. We have conducted a survey, filled in by the surveyor, on 205 end of life period patients who are provided with home care service from Pusan hospice center.    From the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s, we could understand the criteria that patients, with life expectation less than 6 months, use to decide which service they would choose, and how well they are prepared and educated for end of life.    It is found that the patients’ criteria for choosing care services affected their quality of life and their criteria have negative impact on their quality of life.    We have analyzed if their care service selecting criteria effect on the preparation for death, and found that there are statistically meaningful relationship between them.    Also we have analyzed the effect of service selecting criteria on death prepara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death preparation on life quality, and found there exists mediating effect. the introduction of a number of new social care services for older people, the need to provide home support service for them has been criticized.]

목차[Table of content] 국문초록  I. 서론  II. 문헌고찰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49
4568 9 보건의료 근거기반 요양병원 감염관리 가이드라인 수용개작 및 적용효과 / 김유정 2019  175
4567 18 인체실험 시험 불안과 임상진료시험성적과의 관련성 / 박경민 2019  105
4566 5 과학 기술 사회 인간과 인공지능의 공존 가능성에 대한 탐색: 책임의 윤리와 문학적 상상력 / 박소영 2019  323
4565 17 신경과학 온라인 자살예방 정보와 댓글 분석: 자살예방 정보의 순기능과 역기능 / 2019  118
4564 17 신경과학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자살위기개입 업무수행 경험에 대한 연구 / 노승현 외 2019  410
4563 4 보건의료 철학 외국인 환자 간호에 대한 간호사의 문화역량 영향요인 / 안정원 외 2019  124
4562 20 죽음과 죽어감 완화의료 일당정액수가제 시행에 따른 진료비와 진료행태의 변화 / 임문남 외 2019  746
4561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예방을 위한 통합적 접근의 필요성 / 박은철 2019  213
4560 9 보건의료 보건의료관련 학과 간 환자안전 교육 / 하성민 외 2019  75
4559 9 보건의료 의료기관 종사자의 직무만족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직무스트레스 영향요인 / 김혜경, 김성수 2019  74
4558 20 죽음과 죽어감 청소년 자살률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적 요인 / 박성준 2019  15987
4557 9 보건의료 병원 내 의료인 안전 향상을 위한 개념적 틀과 정책적 대응 / 강희정 2019  49
4556 14 재생산 기술 코호트 완결출산율 분석 결과와 시사점 / 신윤정 2019  74
4555 17 신경과학 국내 보건학 분야의 “정신 건강” 연구: 측정과 관점 / 임은정 2019  202
4554 9 보건의료 헬스케어와 보험업법상 쟁점 - 헬스케어서비스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 / 김영국 2019  228
4553 9 보건의료 의사의 의료행위와 한의사의 한방의료행위의 범위와 한계 / 정규원 2018  107
4552 7 의료사회학 의학전문직업성의 관점에서 바라본 대한민국 의학드라마 속의 의사상 / 강석훈 2018  201
4551 1 윤리학 인공지능은 법의 제국의 왕자가 될 수 있는가 / 서치원 2018  113
4550 8 환자 의사 관계 정부 지원 환자안전 연구의 타당성 검토 / 이 원 외 2018  54
4549 9 보건의료 의약품부작용보고시스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졸피뎀 약물 유해반응 실마리 정보 검출 / 한준우 외 2018  347